안녕하세요. 저는 AI, 웹 / 앱 개발 기술을 취미로 공부중이고, 제가 재미있고 쓸모 있다고 생각하는 소프트웨어를 하나씩 만들어 보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저희 개발쪽은 벌써부터 AI 도입으로 인해 코드 작성 보다는 전체 아키텍처 설계 등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수 있게 업무 프로세스가 “실제로” 바뀌고 있는데, 연구 개발 분야의 발전이 당연히도 다음번 큰 흐름이라고 생각을 했고, LLM의 “요약” 할수 있는 기능, “내용을 검색할수” 있는 기능 등을 활용하여 혹시 석박사 분들이 쓸만한 AI 툴을 만들어 드릴수 없을까 생각하여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대학원 생활 경험이 전혀 없으니, 어떤 어려움이 있으신지 전혀 모르기 때문에 혹시 해주실수 있으신 얘기가 있을까 싶어 글을 올려 봅니다.
꼭 인터뷰라 생각 하지 마시고 대학원 생활에 대해 잠깐 잡담 나누신다고 생각하면 되고, 편하신 시간 / 장소 (서울권 이면 모두 괜찮습니다) 에서, 커피 한잔 사드리면서 얘기 나누면 좋을것 같습니다.
<이야기 주제> - 대학원생의 하루 일과 : 조교 활동 / 논문 읽기 / 논문 작성 / 기타 공부 등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 연구 하고 계시는 주제 : 제가 잡다한 책 읽는것을 좋아하고, 여러 분야 얘기 듣는것을 좋아합니다. 연구하시는 주제가 궁금합니다. - 연구 과정의 어려움 : - 논문 읽기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으신지. / 관련된 최신 논문을 찾는것이 어렵지 않은지 - 연구 과정을 타 대학교 학생과 공유해야할 필요성을 느끼신 적이 있는지? - 현재 연구 과정에서 AI를 어떤식으로 활용 하고 계신지 : 저는 개발 업계에 있어 애초에 AI와 하루 종일 대화를 하며 일을 합니다. 이에 관해 AI 활용 방법에 대해 깨달은 바가 매우 많습니다. 이에 대해 의견 나누고 싶습니다.
👇👇 아래로 연락 주시면 됩니다👇👇 https://open.kakao.com/o/sQKviNOh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8.27
논문 관련해서 AI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요약 정리 할때도 많이 사용하고, 특히 논문을 검색할때는 Perplexity라는 서비스가 매우 뛰어납니다. 그 외에도 원하는 주제에 대해서 자동으로 논문들을 수집, 시각화 하는 서비스도 존재하구요. 사실 기존의 서비스들이 워낙 뛰어나기 때문에, 부가적인 AI툴이 필요하다고 느낀적은 딱히 없는것 같습니다.
2025.08.28
학부생이라 했다가 개발 업계에 있다 하고 ㅋㅋㅋ 이런 컨설팅은 돈주고 해야되는거 알죠? 어디 학부생인 척 하고 공짜로 정보얻으려고 합니까….
2025.08.27
202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