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6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45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55 - 문장 몇줄 안되는거로도 찐따티가 나네 신기 ㄷㄷ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6 - 근데 ㄹㅇ 그 박사님은 나를 모르지만 제가 거의 팬급으로 좋아하는 사람이 내 논문 사이테이션 해서 좋은데 쓴게 기분이 너무너무 좋습니다 ㅎㅎ 그것도 제인생 첫 citation으로요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8 - 1. 학교가 높을수록 SKP 대학원 가가기 쉬워집니다. 지거국 경북대급도 불가능한건 아닙니다만, 과에서 학점 잘 받으셔야 합니다. top급으로요.
그리고 한 3학년부터는 학부연구 인턴도 하시구요. 힘드시겠지만, 벌써부터 분야가 확고하시다면, 학부연구 인턴 1~2년 동안 낮은 저널이라도 SCI 1개는 1저자로 쓴다 생각하시고 도전하면 SKP 가느ㅇ합니다.
2. 학과가 제일 중요하죠. 기계관데 화공과 연구실 컨택하면 그 사유가 명확해야합니다. 학부 4학년때 배우는 기초 수업이 base인데, 그걸 안배우고 온다는건.... 크거든요. 핵융합 연구를 하고 싶으면 그에 맞는 과를 꼭 가세요.
3. 당연하죠. 물론 박사까지 받으면 본인 박사 연구 주제가 제일 중요해지구요, 학부과는 희석되죠. 그런데 석사까지면 학부 과가 여전히 중요합니다.. 오히려 석사가 학부를 덮지 못하죠;
4. 훌륭한 연구자가 되려면 지금 필요한 공부/연구를 집중하고 갈고 닦는 것입니다. 고등학교때는 수능을, 대학교 학부때는 전공 수업과 학점을 말이죠. 그리고 학부 때 연구 인턴을 들어가게 되면, 그 분야에 맞는 논문을 읽고 지식을 쌓는 것이구요.
대학원부터는 이러한 논문 읽고 지식 쌓는 것을 꾸준히 하면서 이제 본인의 연구를 시작해보는 단계입니다.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본인의 연구를 찾는 기간이죠.
즉, 언제나 불평 없이 주어진 상황에 잘 적응하고 꾸준히 하시면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편법을 노리지 말고, 남과 비교하지 말구요.
그렇게만 하면 비교적 낮은 대학교에 입학하더라도 이 스텐스를 유지해서 좋은 대학 교수까지도 가능합니다.
조언좀 해주세요
7 - "제가 만든거라 좀 그랬지만 프로그램을 드렸습니다." "그래서 그건 어려울거같다고 했더니".....
거기서 관련 연구를 한다는거 자체가 본인이 연구실 지원을 받고 있다는걸 언제 깨달을까
너가 그 연구실에서 연구 관련 무언가를 하면 다 연구실 소유야 제발. 니가 코드 좀 짰다고 니꺼마냥 굴지말고. 니꺼라고 쳐도 좀 공유하고 그래라 별 같잖은거로 소유욕 탐내지말고.
3.5년이나 있었으면 연구실에 하나라도 도움이 되고 그래라 좀.
아니다 넌 박사 과정 안 가는게 그 연구실에 도움 되는거니 하나는 도와줬네.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그럴 거면 군대도 2번 갔다와. 군대 갔다오면 사회가 다 착해보이고 헬조선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감. 전역하면 사회가 천국으로 보임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9 -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임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29 - 그런 애들 친하게 지내면서 콩고물 받아 먹어야징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1 - 흔하지는 않지만 전무하지도 않은 정도인거 같네요. 아마 모종의 이유로 나를 단체로 거절중이신가 라는 의심을 하시는 것 같은데 솔직히 그럴 이유는 크게 없을 것 같습니다.
해당 대학의 policy 를 잘 모르겠는데, 아주 많은 경우에 실제로 첫 학기를 시작하기 전부터 본인의 지도교수와 진학할 연구실을 결정해두는게 일반적입니다. 말씀대로라면 합격 이후 실제 개강 전에 해당 연구실 진학이 불가하다는 말을 들으신 것 같고 이후 약 6개월이 지나도록 지도교수를 정하지 못하신 것 같은데요. 훨씬 더 빠르게, 학기 시작 전에 진학할 연구실의 교수님과 출근 일정 조율을 끝냈어야 합니다. 이미 다른 연구실들은 대학원생 TO를 정리해둔 뒤일겁니다.
보다 드물게 첫 학기는 진학할 연구실을 정하지 않고 오픈랩 형식으로 진행하는 대학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이런 경우 아마도 처음 컨택한 분과 연관 분야 교수님들의 연구 분야가 상당한 인기분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학과 규정에 반해서 암암리에 미리 학생을 뽑아두는 경우가 많아서 순진하게 오픈랩동안 코스웍만 열심히 들은 학생들의 뒤통수를 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유감스럽게도 작성자분이 매력적인 학생 후보가 아니었다는 뜻이겠지요.
양 쪽 모두 연구 관심 분야를 좀 더 넓히거나 다른 타협을 하더라도 최대한 빠르게 다른 분에게 컨택하고 연구실에 소속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7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59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2
인생은 새옹지마다 ㅋㅋ다들 포기하지말고 대학원 잘 보내시길!
2023.08.22

SKP 교수 연구실인데 교수가 매우 욕심이 많았음 ㅋ
그러면 자연스레 자기 전공도 아닌 분야지만, 자기가 한 거 조금만 응용하면 되겠다 싶어서 이것도 시키고, 저것도 시키는데..
교수 본인이 잘 모르면서 너무 벌여놓은게 많아서 학생 다 못챙기는 스타일 ㅋㅋ
그래도 SKP 교수니 기본 H-index는 뽑는데 (>30),
자기가 잘 아는 분야 애들이랑 주로 디스커션하다보니 걔내를 더 아끼고, 자기가 시켜놓고는 다른 분야에 있는 애들을 같은 학생이 아닌 서폿으로 쓰는 거야 ㅋ
예를 들어,
과제 하더라도 행정적인 업무나 수업 조교는 맨날 B그룹 (비선호 분야) 애들을 시키고, 논문 1저자 같은건 A그룹 (선호 분야)만 밀어줬음.
그래서 3종류의 선배를 봤는데,
- 교수 비호를 받으며 논문 1저자 10개 이상 챙긴 잘 큰 X
- 교수의 잡일은 다 감당하고 논문 1저자 1개 쓰고 졸업한 Y
- B그룹에서 Y를 보고, 아 나도 저꼴나겠네 해서 석사만하고 다른 학교가서 잘 큰 Z (실은 이게 나임ㅋㅋ)
인데...
Y 선배가 항상 하는 말이, 자기는 회사 갈꺼라서 논문 안 나와도 괜찮다 그리고 지금 와서 박사를 다시하면 시간아깝지 않느냐..어차피 회사는 학벌만 필요할테니 맨날 괜찮다라는...암튼 그런 분이였는데
X랑 Y랑 따로 만나서 술 한잔씩 하고, 근황을 들어봤는데 ㅋㅋ
Y가 훨씬 잘살더라 ㅋㅋㅋ
- X는 교수 될려고 포닥갔다가 자리 못잡고 대기업가서 내가 여기서 이럴사람이 아닌데..하소연 하고 있고 (이제 교수 버프가 없으니 더욱더 처량해보였음 ㅜ)
- Y는 애시당초 논문 못쓰고 졸업해서 연구소는 못가고 같은 대기업 사업부(?)인가를 가서 발발발탁인가? 승진도 빠르고 과책도 잘해서 계약서를 하나 더쓴다고 그러다라고.
나도 솔직히 같은 연구실일때는 사람이라는 짐승의 감으로 X 선배쪽으로 줄서야겠다 해서, 약간 Y 선배를 무시했던 것 같은데(내 기억으론, 물론 그 선배한텐 티 안나게),
6~7년 지나고 보니깐 박사 받을 정도의 개인의 역량이면, 환경에 따라서 다시 인생 잘 필수도 있겠다 싶더라..그래서 더욱 겸손해졌음..
암튼...
실적못내고, 연구못하면 교수가 갈구고, 후배가 무시하고 그런 애들이 많다는 걸 앎. 그리고 인간 사회면 어쩔수 없고.
그래도 포기하지않고 계속 나아가면 분명 좋은 일이 있을듯함!
-
407 75 54266 -
146 54 27254
ㅈ소에서도 일해봤지만 김GPT 6 1 846
대학원 다니는 애들 대체로.. 김GPT 28 12 6603
대학원 생활에서 깨달은 것들 김GPT 69 10 19498
대학원 = 김GPT 0 0 914
대학원에서 배운 것 김GPT 29 19 7329
연세대 야간대학원 김GPT 0 1 571-
69 32 35132 -
79 18 10904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288 34 6229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0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73 - 내가 글을 정말 못쓰는구나.....
37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6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5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2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37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4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3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9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0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15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20 - 석사 월급 다들 얼마 받으시나요?
22 - 안녕하세요. 졸업을 앞두고 매우 고민이 많은 상황입니다.
9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8 - 교수 신고
7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1 -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카이 면접 후 다들 어떻게 지내시나요...............ㅠㅠㅠㅠㅠ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3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1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4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5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0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73 - 내가 글을 정말 못쓰는구나.....
37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6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5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2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37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4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3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9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0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15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4 -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20 - 석사 월급 다들 얼마 받으시나요?
22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8 - 교수 신고
7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1 -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카이 면접 후 다들 어떻게 지내시나요...............ㅠㅠㅠㅠㅠ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3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1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4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5
2023.08.22
대댓글 1개
2023.08.22
대댓글 1개
2023.08.22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