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잘 생각해보면 석사가 논문 팍팍 써내는게 연구면 그게 연구 일까요?
석사가 실적이 많이 나오지 않은 이유
31 - 저 기사 읽은거 맞음?
결국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 개선하고
직급과 직무 우선주의인 직무급제 시행해서 정년 늘려도 경영부담 안되게 바꾸고 실력과 직무에따라 임금 더 받게 바꾸겠다는 기사인데 저걸보고
석사=박사라고 결론내는거임?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9 - 랩바랩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14 - 이렇게 어그로 끌지 않기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20 - 분야가 달라서 우린 학부생이 논문 썻다고 하면 그냥 의미 없는 거 하면서 시간 때우다가 논문에 저자라고 할수도 없는 n저자로 이름 넣어줬구나 싶음 그래서 큰 의미가 없음 학부생이 논문 썻으면 대단하다 보다 그냥 그런 갑다 함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16 - 팩트는 MDPI 들고 석사졸업해도 잘한거임 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19 - 자격지심ㅋㅋ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11 - 환경주의자 LGBT 이런거 좋아하시나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8 - AI를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동의합니다 과학 기술 발전 과정 중 소외된 부문들에 대해 눈을 돌릴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8 - 동의합니다... 언젠가부터는 필요에 의한 발전이 아니라 작성자님 말씀처럼 '발전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8 - 과학기술이 발전해온 양상을 살펴보자면, 사실 과학에 인류 전체의 복지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이 가미된 건 극히 최근 들어서의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장 칼세이건의 저서 코스모스에서도, 고대 과학자들이 인류의 안녕을 고민했다는 언급은 없었죠. 때문에 인간이 과학이라는 행위를 하는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미지에 대한 탐구와 이해 그 자체에 가깝다고 봅니다. 오히려, 이 당시 사람들의 행복과 심신의 안정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은 종교인이 아니었을까 해요.
고대를 지나, 인류사의 여러 시점에 과학자들이 등장하죠. 데카르트, 오일러,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수많은 사람들이 과학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그것은 인류의 행복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학문적 호기심과 성취욕에 의한 업적으로 보입니다.
중세를 넘어 근대로 오면, 과학이 인류 전체를 위한 학문이라는 교과서적인 말에 의구심을 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방직기의 자동화를 필두로 이루어진 산업 혁명은 인도를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시켰고, 이후의 극적인 산업화는 러다이트 운동이 촉발될 정도로 노동자들을 곤궁하게 했죠. 그런가하면 하버 보슈라는 인간은 살상용 독가스를 만들고는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물론 인류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들도 다수 있지만, 그러한 예시들이 인류가 과학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성을 대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히려 누군가의 이권을 위해 추구되는 경향이 강하죠. 기술 자체는 가치중립적이라는 말들도 많이 합니다만, 이는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담기는 의미가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어떠한 문맥도 없이 고유한 의미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건 그냥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9 - 깨시민인척 하지만 본인의 능력 부실을 저주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세상을 저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는 점 잘 알았습니다.
부족한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비슷한 사람들과 즐겁게 살아가시면 됩니다. 다만 이상한 신념을 구구절절 설파하며 정상인들의 노력하는 사회를 병들게 하지말아주세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9 - 요즘은 학부만 놓고 보면 SK YKP가 맞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1
인생은 새옹지마다 ㅋㅋ다들 포기하지말고 대학원 잘 보내시길!
2023.08.22

SKP 교수 연구실인데 교수가 매우 욕심이 많았음 ㅋ
그러면 자연스레 자기 전공도 아닌 분야지만, 자기가 한 거 조금만 응용하면 되겠다 싶어서 이것도 시키고, 저것도 시키는데..
교수 본인이 잘 모르면서 너무 벌여놓은게 많아서 학생 다 못챙기는 스타일 ㅋㅋ
그래도 SKP 교수니 기본 H-index는 뽑는데 (>30),
자기가 잘 아는 분야 애들이랑 주로 디스커션하다보니 걔내를 더 아끼고, 자기가 시켜놓고는 다른 분야에 있는 애들을 같은 학생이 아닌 서폿으로 쓰는 거야 ㅋ
예를 들어,
과제 하더라도 행정적인 업무나 수업 조교는 맨날 B그룹 (비선호 분야) 애들을 시키고, 논문 1저자 같은건 A그룹 (선호 분야)만 밀어줬음.
그래서 3종류의 선배를 봤는데,
- 교수 비호를 받으며 논문 1저자 10개 이상 챙긴 잘 큰 X
- 교수의 잡일은 다 감당하고 논문 1저자 1개 쓰고 졸업한 Y
- B그룹에서 Y를 보고, 아 나도 저꼴나겠네 해서 석사만하고 다른 학교가서 잘 큰 Z (실은 이게 나임ㅋㅋ)
인데...
Y 선배가 항상 하는 말이, 자기는 회사 갈꺼라서 논문 안 나와도 괜찮다 그리고 지금 와서 박사를 다시하면 시간아깝지 않느냐..어차피 회사는 학벌만 필요할테니 맨날 괜찮다라는...암튼 그런 분이였는데
X랑 Y랑 따로 만나서 술 한잔씩 하고, 근황을 들어봤는데 ㅋㅋ
Y가 훨씬 잘살더라 ㅋㅋㅋ
- X는 교수 될려고 포닥갔다가 자리 못잡고 대기업가서 내가 여기서 이럴사람이 아닌데..하소연 하고 있고 (이제 교수 버프가 없으니 더욱더 처량해보였음 ㅜ)
- Y는 애시당초 논문 못쓰고 졸업해서 연구소는 못가고 같은 대기업 사업부(?)인가를 가서 발발발탁인가? 승진도 빠르고 과책도 잘해서 계약서를 하나 더쓴다고 그러다라고.
나도 솔직히 같은 연구실일때는 사람이라는 짐승의 감으로 X 선배쪽으로 줄서야겠다 해서, 약간 Y 선배를 무시했던 것 같은데(내 기억으론, 물론 그 선배한텐 티 안나게),
6~7년 지나고 보니깐 박사 받을 정도의 개인의 역량이면, 환경에 따라서 다시 인생 잘 필수도 있겠다 싶더라..그래서 더욱 겸손해졌음..
암튼...
실적못내고, 연구못하면 교수가 갈구고, 후배가 무시하고 그런 애들이 많다는 걸 앎. 그리고 인간 사회면 어쩔수 없고.
그래도 포기하지않고 계속 나아가면 분명 좋은 일이 있을듯함!
-
399 74 51778 -
137 53 24639
ㅈ소에서도 일해봤지만 김GPT 6 1 785
대학원 다니는 애들 대체로.. 김GPT 28 12 6496
대학원 생활에서 깨달은 것들 김GPT 69 10 19190
대학원 = 김GPT 0 0 803
대학원에서 배운 것 김GPT 29 19 7211
연세대 야간대학원 김GPT 0 1 483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명예의전당 153 22 21248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281 34 60404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62 43 4185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71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24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69 -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134 - 정출연이라고 해서 왔는데 생각보다 물경력인 분들이 많네요;;
34 - 대한민국 연구의 문제점 하나만 고르라고 한다면
39 - 몰랐는데 생각보다 지방대에서 yk ist ssh는 많이 가는군요
29 - 이게 기분이 나쁜 게 정상인지 알려주세요
17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18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0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4 - 공동 연구 제안 (EUV lithography)
5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5 - 리뷰논문 도움되는지 궁금합니다
1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1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10 - 타대학 교수님과 컨택은 됐는데, 입시 자체가 걱정돼요(??)
8 - R&D 예산 복구 관련 질문
7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1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9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9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71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24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69 -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134 - 정출연이라고 해서 왔는데 생각보다 물경력인 분들이 많네요;;
34 - 대한민국 연구의 문제점 하나만 고르라고 한다면
39 - 몰랐는데 생각보다 지방대에서 yk ist ssh는 많이 가는군요
29 - 이게 기분이 나쁜 게 정상인지 알려주세요
17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18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0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4 - 공동 연구 제안 (EUV lithography)
5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 고민
55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5 - 리뷰논문 도움되는지 궁금합니다
1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1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10 - 타대학 교수님과 컨택은 됐는데, 입시 자체가 걱정돼요(??)
8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1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9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9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2023.08.22
대댓글 1개
2023.08.22
대댓글 1개
2023.08.22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