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때부터 유학 생각이 있어 다니던 연구실이 있었는데 졸업 전까지 페이퍼가 요망해보여 고민입니다.
학점은 꾸준히 잘 챙겨와서 4.3만점에 가까운 학점 유지 중인데 5학기 돌아와서 보니까 남는 게 이게 전부더라고요. 그외에 대장금이나 학교 장학금 등 받은 게 있긴 한데 그게 딱 끝입니다.
연구 경험 타 학부생에 비해선 오래하긴 했지만 결국 페이퍼로까진 이어지지 못한 터라 추상적으로 이런 테크닉 할 줄 안다 정도가 끝인 상황이네요.
요즘 다이렉트 미박이 쉽지 않을 듯해서 여러모로 선택지 고민이 많습니다.
크게 2가지에서 고민 중입니다. 사실 고민이라는 것도 좀 사치스러운 말 같은데요. 페이퍼 빨리 낼 수 있는 연구실에 어플라이해서 어떻게든 페이퍼를 내고 가는 것. (2년이라는 기간 동안 N저자라도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다른 하나는 희망 진학 대학에 교환학생으로 가서 희망 연구실에서 인턴 생활하며 추천서 받는 것. (전혀 선택지에 없었는데 최근 주변에 이렇게 간 친구가 있어서 확 고민이 되더라고요.)
물론 연구자를 지향하는 자세로서는 유학은 수단이지 목적이 되어선 안 되겠지만 과고 영재고-SKP라는 비슷하고 익숙한 환경에서 계속 있다보니 스스로 competitive한 자세에서 계속 멀어지는 것 같다는 생각과 경계심이 드는 게 가장 큰 것 같습니다. 또한 조금 빨리 미국에서 자리잡고 싶어서 유학이라는 수단을 당장엔 어떻게든 잡고 싶습니다.
어린 학생한테 조언한다고 생각하시고 지나가다 한 마디씩이라도 덧붙여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8.24
저희 랩에서는 바이오 분야로 석사 후 박사 유학을 많이 나갔습니다. 케이스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한빛사급 저널에 1저자로 논문을 내거나, 혹은 IF가 낮더라도 1저자 경험을 가진 친구들이 잘 진학했습니다. 학부 때부터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1저자로 논문을 쓰며, 공동연구도 활발히 해서 교수님들 추천서를 탄탄히 받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사실 그 모든 것보다 중요한 건,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스스로 논문을 쓰고 연구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법을 체득한 점입니다. 미국에서 연구자로 살아남으려면 이 역량이 반드시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최근 한빛사에 논문을 낸 연구실들의 학사·석사 졸업자 진로를 살펴보면 대략적인 흐름을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대댓글 3개
2025.08.25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한빛사는 종종 정보 찾다가 들어가봤는데, 말씀하신대로 진로 찾아볼 생각은 못했네요ㅎㅎ 그렇다면 댓글 달아주신 분께선 일단 국내에서 페이퍼를 써보는 게 나을 거 같다라고 생각하실까요? 그래도 나름 지난 2년간 연구실 생활하면서 저널 보는 법, 실험 설계나 여러 랩에서 공통적으로 쓰는 테크닉들은 배웠다고 생각하는데요. 이를 더 보완하고 커미티에 어필할 수 있는 방향성으로는, 현재까지.했던 분야랑은 다소 차이가 나도 응용 가능성이 높은 랩에서 논문을 실제로 작성해보는 것이 도움이 더 될까요?
2025.08.25
논문 내는게 admission이나 대학원 적응에도 유리합니다. 학부생에게 논문을 쓰게 하는 랩이 많지 않은데, 없는건 아닙니다. 예전에 유학은 GRE나 SOP 위주로 봤지만, 이제는 논문 실적이 점점 중요하니, 써보는게 좋고 1저자로 내보는게 훨씬 좋습니다.
2025.08.25
예 감사합니다. 학부생 논문 나올만한 랩으로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2025.08.25
매년 1학기쯤에 모집하는 막스플랑크 인턴십도 도전해보세요. 제 친구도 막스플랑크에서 써준 추천서로 미국 가더라고요
대댓글 2개
2025.08.25
예 감사합니다. 막스플랑크 이름은 참 좋아보이는데, 어떨지 한번 알아봐야겠습니다. 유럽 쪽 교환은 생각 못하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2025.08.25
ㅋㅋㅋㅋㅋ 요새 막스플랑크 해외에선 죽어도 안감.. 거기 내부 연구원분들의 40퍼 이상이 지금 줄초상 분위기인데
2025.08.25
사실 석사 2년하고 가는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모쪼록 좋은선택 하시길..
대댓글 1개
2025.08.25
일단 당장은 학부 다이렉트로 목표를 잡고 학부선에서 할 수 있는만큼 최선을 다하고 생각해보려고요. 국내 연구실에서 하게 되면 해당 가능성도 언급드리며 컨택해볼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8.24
대댓글 3개
2025.08.25
2025.08.25
2025.08.25
2025.08.25
대댓글 2개
2025.08.25
2025.08.25
2025.08.25
대댓글 1개
2025.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