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 실적 평가

2025.08.18

8

1602

교수 임용이나 정출연 입직할 때, 연구실적 평가를 진행하잖아요.

제1저자(주저자, 교신저자)와 공동저자를 어떤 식으로 차등을 해서 실적 인정을 하나요?

이번에 투고한 학술지에서 공동주저자 표기가 불가능하다고 해서 공동저자로 내렸는데, 주저자와 공동저자 차등을 어떻게 하는지 예의주시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같이 작업하신 분이 다음 논문도 함께 하자고 하는데 공동저자에 대한 인정이 형편 없으면 그냥 개인연구(내가 주저자인 논문) 해야 되나 이런 생각도 듭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8.18

거의 주저자만 본다고 보면 됩니다.

대댓글 3개

2025.08.18

Author Contributions 에

00 and 00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이라는 문구 기재하는것도 저널에서 안된다고 했어요? 표기 자체는 안되어도 해당 문구는 거의다 가능할텐데...

해당 문구만 있어도, 공동주저자로 인정됩니다...

2025.08.18

이게 맞을 듯. 이름 옆에 기호 쓰는 건 없는 저널도 많은데,
문구만 있어도 공동1저자라서 실적 제출 등에는 표시만 잘 해서 제출하면 괜찮아요.
요새 문구도 못 넣게 하는 저널이 있는지..

2025.08.18

이번에 낸 건 사회과학 분야 KCI등재지라서.. 학술지에서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2025.08.18

이번에 낸 건 사회과학 분야 KCI등재지라서.. 학술지에서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2025.08.19

공동저자에 대한 인식은 형편없습니다. 그나마 kci니까 공동주저자도 큰 메리트가 없었을 듯 하네요.

2025.08.19

1. 임용 시 1차 정량 점수: 기관 방침에 따라 다름. 단독 1저자와 공동 1저자와 공저자를 1:0.8:0.5 수준으로 나누는 곳이 있고, 단독 1저자와 공동1저자(2명까지)는 똑같이 봐주는 곳이 있고, 단독 1저자 > 공동1저자=공저자 로 봐주는 곳이 있음.

2. 임용 시 1차 이후 심사위원 평가: CV로 판단하는 심사위원들은 단독 1저자 > 공동 1저자임. 공동 1저자중에서도 이름이 앞에 있는 경우만 그냥 1저자로 봐줌. 즉, CV에서 이름이 제일 앞에 있는지만 대략적으로 본다는 거임. 물론 사람by사람임.

3. 과제 실적 제출용: 과제 수행 시 연간 논문 X편 같은 실적을 채울 때는, 사사 여부가 중요. 사사가 있고 주저자면 다 똑같음. 단독1이나 공동1이나 교신이나 공동교신이나 그냥 1편으로 취급해줌. 사사개수가 여러개면 1/n 되기도 하지만.

4. 과제 지원 할 때 실적 평가용: 과제 지원 시 평가할 때는 2번의 임용 심사위원 평가와 동일, 심사위원들이 주관적으로 보고 판단.

2025.08.24

두분이 1저자 교신저자 이렇게 나누는게 그나마 학교에 따라서는 두분다 주저자로 점수 주는 방법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