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MD인 랩 진학 고민

2025.07.16

6

182

교수님이 의사이신 연구실 (5대 의대 중 1) 에서 인턴 중이고 진학을 희망하고 있는 학부졸업예정자입니다.
컨택부터 인턴을 하고 있는 지금까지 단점이랄 거는 딱히 못 느껴서 별 생각이 없었는데 여기서 MD lab은 거르라고 하시는 의견들을 많이 보니 걱정도 되고 고민도 돼서요.

교수님은 젊으신 분이고 스승님? (확실한지는 모름)이 꾸리신 연구실을 물려받아 운영해서 체계는 잘 잡혀있는듯한 랩실입니다. alumni는 아직 잘 모르고 현재 박사과정 대학원생 2-3명 정도 계시고 포닥 및 연구원분들이 계십니다. 인턴한 지 얼마 되지는 않았지만 사람들도 좋고 분위기도 나쁘지 않습니다. 의대생 출신 학생은 앞으로 들어올지는 몰라도 현재는 없습니다.

교수님도 의사임에도 불구하고 저를 비롯한 연구실 사람들과 꾸준히 개별미팅을 통해 연구에 대한 디스커션과 새로운 인사이트와 관련해 소통하십니다. 다들 연구실을 볼 때 그 연구실에서 나온 논문들, 학생이 주저자인지 등등을 보라고 하셨는데 대학원생분들도 입학한 지 얼마 안됐거나 출산휴직? 후 돌아온 지 얼마 안되어 검색을 해도 정보가 부족하긴 합니다.. (출간되는 논문의 퀄이나 내는 저널은 좋아보입니다)

md lab은 독립적인 연구나 1저자 논문 내기가 어렵다고 하셨는데 전자의 경우 연구 주제는 차차 얘기하면서 정해보자고 하셨고 큰 키워드 하나를 던져주시긴 헀습니다.
제가 입학을 하면 바이오 쪽 S~A급 정출연으로 파견되어 연구하게 되는데 혹시라도 있을 md lab의 단점이 어느 정도 보완되고 오히려 더 나을까요?

얘기가 길어지긴 했는데 일단 저는 대학원 기간동안 빠른 졸업, 어느정도 독립적인 연구, 개인의 성과를 인정받으면서 논문 1저자, 우선적으로 박사 졸업 후 대기업 취업 을 원합니다.

제 상황에 대해 많은 분들의 의견 듣고 싶습니다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7.16

다들 연구실을 볼 때 그 연구실에서 나온 논문들, 학생이 주저자인지 등등을 보라고 하셨는데 대학원생분들도 입학한 지 얼마 안됐거나 출산휴직? 후 돌아온 지 얼마 안되어 검색을 해도 정보가 부족하긴 합니다..
-> 졸업생도 있을테니 이 부분을 더 알아봐야 합니다. 포닥 및 연구원도 해당이에요. 어쨌든 다른 교수님이나 의사나 다른 방이 아닌 그 방 연구하는 사람이면 됩니다.

제가 입학을 하면 바이오 쪽 S~A급 정출연으로 파견되어 연구하게 되는데 혹시라도 있을 md lab의 단점이 어느 정도 보완되고 오히려 더 나을까요?
-> 이건 또 다른 이야기인데요.. 더 안좋을 수 있는데.. 정출연 연수생으로 검색하면 많은 이야기가 있을 듯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7.16

Md 랩 장점: 돈은 충분하다 적어도 부족해서 빌빌 댈 정도는 아님 md는 md끼리 과제 싸움해서 다른 바이오랑은 다름

Md 단점: 교수가 바쁨 임상 교수면 연구교수나 포닥한테 실험실 자동사냥 맞기고 끝임 임상교수면 논문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짐 임상 논문만 읽고 그냥 연구교수나 포닥이 이해시켜주거나 이해하려고 하지 않음 따라서 졸논을 써도 이해 못할 수 있음
Md phd 라도 바쁨
------------
여기서 문제임 연구교수나 포닥 한테 맞겼다= 교수가 실험실에 자주 안온다= 연구교수나 포닥이 왕임 착한 사람이고 능력 있으면 괜찮으나 신임 교수이며 지거국 이면 포닥 안옴 혹은 자기 후배 대려오거나 = 정치질과 능력 없는 지도의 환장의 콜라보, 많이 보는 편임
------
다음 문제, 가장 중요한 문제임. 글쓴이는 바이오이고 논문 실적이 매우 중요함 근데, 글쓴이가 교수가 될 가능성 보다 md 학생이 교수될 가능성이 큼. 솔직히 md 하는 사람은 이해 자체가 안됨. 나가서 임상 의사하는 게 돈 더 많이 벌음 교수로 큰 논문 써서 대가랩이나 spk 의과학대학원으로 옮기지 않는 이상 의미 없음. 따라서 노력은 다했는데 아무 것도 안한 md 학생한테 논문 1저자 넘겨줘야할 가능성 높음
아직 없다? 아직 없으니 더 문제 아님? 진짜 들어온지 몇 달 채 되지도 않은 애가 논문 가져감

Md 교수가 착해야 님이 논문 2개 썻을 때 1저자 1개 가져갈 수 있음. 쑈부를 치든가
-----------
다음 문제. Md 면 그냥 머리가 좋음. 님이 어느정도로 공부하는지 모르나 논문을 이해 못하거나 뭔가를 틀린다면, 그것 자체를 이해 못해줌 이건 사바사이긴한데 그렇고
실험실 박사나 선배가 틀리거나 사람 자체가 나뻐도 물어보라고 함. 왠지 알음? Md는 항상 주변에 좋은 사람만 있었거든
-----------
인턴 기간동안 잘해주는 건 당연한 거임 입학하면 달라질 가능성 높음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7.16

이거는 랩바랩 교바교가 큰 부분을 차지할거라 지도 교수님과 대화를 많이 해보세요. 여기에 글 올리면 큰 도움은 안 될 거에요. 저도 MD PhD 랩에서 석사 중인데 밀님 처럼 저희 지도교수님도 처음 저희 분야 임상 대가이신 교수님 (지도교수님 스승님)께서 창설한 랩을 물려받아 운영중이십니다. 저희는 기초, 임상 연구 분리되어 있고 기초 연구에서 나온 모든 논문은 프로젝트 진행자가 다 가져가는 시스템이라 제가 진행한 프로젝트는 제가 다 1저자로 올라 갔습니다. MD이신 펠로우 선생님이나 리서치 펠로우 선생님들도 PhD 따려고 저희 랩 들어오는데 그렇게 되면 보통 기초 하는 사람이랑 같이 팀을 짜서 연구를 진행합니다 (의사 선생님 혼자 웻실험을 모두 다 설계하고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저자는 당연히 공동 제 1로 주시구요, 그래서 1저자를 뺏기거나 그런 건 못봤습니다.

독립적인 연구도 지도교수님 성향에 따라서 얼마든지 할 수 있습니다. 연구비가 없더라도 저희 교수님은 학생이 하고 싶다면 연구비를 따와서라도 시켜주고 싶어 하셔서 저도 제가 아이디어 내서 처음부터 다 세팅한 연구 주제로 프로젝트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지도교수님 성향과 랩 시스템 에 따라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도 교수님과 대화를 해보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연구를 위한 연구만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치료를 위한 연구가 목적이라면, 한국은 임상파트너 없이 임상 적용을 하기 불가능 한 시스템인 것 같아서 MD랩이 큰 우산이 되어 많은 것을 경험해볼 수 있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