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10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학부 2학년입니다. 향후 대학원(유학) 관련 고민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2025.04.20
3
122
안녕하세요, 현재 서울대학교 학부 2학년에 재학 중인 사람입니다. 현재는 다른 공학 과를 전공하고 있으나, 딥러닝과 알고리즘 쪽으로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에 확신이 들어 이번 학기부터 컴퓨터공학부 쪽으로 진로를 결정했습니다.
향후 대학원을 진학할 계획이고, 대학원 또한 CS로 진학하고 싶어서 이쪽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찾아볼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현실적인 몇 가지 문제 때문에 여쭤보고 싶은 부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군대 문제가 해결이 안 된 상황입니다. 그래서 현재는 전문연을 고려 중인 상황이나, 해외 대학원과 서울대 / KAIST이 향후 저의 커리어 또는 연구 환경에 큰 차이가 있는지 체감이 잘 안 되는 상황입니다. 군대를 가서라도 해외로 나가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2. 가능하면 최대한 빠르게 랩인턴을 하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대학원생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또란 랩인턴 고르는 방법도 팁이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실텐데 글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04.21
1. 미국 박사과정 중에 실적 열심히 채워서 NIW로 졸업 전에 미국 영주권 받으면 군대 면제입니다. 제가 그렇게 해서 군대 뺐고요. 단, 37세까지 1년에 6개월 이상 한국에 체류하지 못하고 한국에서 취업 못합니다. 그런데 한국에서 잡 찾을 거였으면 미박을 왜 가나요.
2. 무조건 미국에 커넥션이랑 네트워킹 있는 교수님 밑에서 랩인턴 하세요. 저는 K 출신인데요, 포닥을 MIT에서 하시다가 최근에 임용된 교수님 밑에서 랩인턴 했습니다. 열심히 하다가 교수님이 MIT에서 진행하던 프로젝트에 사람이 필요하다고 저를 MIT에 보내줘서 MIT 교수님이랑 학생들 밑에서 여름방학+2학기동안 인턴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렇게 MIT 교수님께 추천서 받아서 석박사는 MIT로 왔습니다.
2025.04.21
1. 차이가 크죠. 연봉부터 연구환경까지 한국이 나은건 별로 없는거 같네요. 그리고 요즘은 군대가 1년 6개월이여서 그냥 다녀오는게 더 나은 선택같아요. 물론 안가도 뺄 방법은 있지만 제약이 큽니다. 위에 사람 말한것도 사실 영주권이 어떻게 될지 몰라서 (미국 정부 정책따라 기준이랑 얼마나 걸리는지 달라지니) 변수를 최소화 하기 위해 학부 중 일반을 다녀오시는거 추천드려요. 2. 위엣분 말씀에 동의합니다. 커넥션이 진짜 중요해요.
2025.04.23
1. 목표가 무엇인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전 유학은 안나가봐서 다이렉트 비교는 어려울 듯 하나 자대 cs 랩도 잘 알아보시면 괜찮은 곳들 있는 것으로 압니다. 물론 해외 취업 목표시면 유학 준비하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딥러닝이라고 하셔서 하는 얘긴데 요즘 cs 특히 딥러닝 쪽 유학이 쉽지 않습니다. 학점에 1저자 논문 여럿 들고도 떨어지는 케이스를 종종 봐서 잘 알아보고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2. 당연합니다. 가능하면 최대한 빨리 랩인턴 해보면 좋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보고 맞는 분야 교수님깨 연락드려보세요. 그런데 요즘 ai쪽은 인턴 지원자도 많아서 지원한다고 무조건 될지는 잘 모르겠네요 직접 알아보는게 좋을것같습니다.
2025.04.21
2025.04.21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