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대학원 진학 준비하는 수도권 3학년인데, 자대 연구실도 고려중이지만 가급적이면 타대로 진학하고 싶어서 여기저기 알아보는 중이고 제목에 적은 세 곳의 대학원도 고려중입니다.
찾다보니까 대학원은 학부랑 다르게 학교 이름보단 연구실 이름이 더 중요하다고들 하시더라고요. 근데 제가 아직은 학부생이라 그런지 대학원의 이름이 정말로 연구실보다 가치가 떨어지는 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여기 있는 분들께 여쭤보고 싶은데, 저 학교 대학원들이 나중에 졸업하고 사회에서의 평가가 어떤지 궁금함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8.05
모든 대학원을 똑같이 평가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학위 대학원 이름이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저 대학에서 학위한 석사, 박사를 인하대 박사, 아주대 박사, 세종대 박사로 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 그러니 사회에서 평가가 딱히 다를 이유도 없지요
2024.08.05
ㅇㅇ대학원은 어떤가요 라는 질문 자체가 잘못됨
2024.08.06
S는 최근 상승한 곳이고, l와 A는 워낙 공대로 유명하죠. 대학원 졸업 후 정출연, 대기업 취업은 무난하나, 주요대학 교수로 임용되기는 힘들어요. 일부 임용되신 분들이 계신데 실력이 넘사벽임.
대댓글 1개
2024.08.06
박사까지는 일단 고려하고 있긴 한데...교수는 별로 생각을 안하고 있어요. 그러면 저 세 대학이 딱히 다른 대학보다 크게 떨어지진 않는다는 건가요?
2024.08.06
윗분들 말씀에 공감하는바도 있지만, 나와보면 생각보다 대학원 간판을 통한 인식이 있는분들도 많습니다. 실적이 뛰어나면 그 모든것에 대한 편견을 벗을수있으나, 심지어 간혹 실적이 좋아도 지도교수덕이라는 편견을 갖는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실적이 뛰어나면, 학위를 어디서 받으시든지간에 대우는 받으실겁니다. 다만, 실적이 동일하다면 대체로 좋은대학원 나온사람들의 손을 들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나와보시면 아시겠지만, 생각보다 실적에서 눈에띄는 차별성을 두기는 정말 힘듭니다. 만약 언급하신 학교에 정말 어나더레벨의 실적의 연구를 꾸준히 하시는연구자가 잇으면 당연히 추천합니다. 다만, 비슷한 실적을 낼수있는 상위권 대학원에 갈수있으면 웬만하면 높은곳으로 가세요.. ㅎㅎ 언급한학교에 같이 미국에서 포닥했던 친한 지인이 조교수로 간지 1년즈음 됐는데 학생들 수준에 대해서 솔직히 볼맨소리 많이합니다. 선배교수들한테 조언해도 그냥 학생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라는 조언만 한다고 합니다. 운좋게 박사과정한명 받았는데, 그친구 데리고 어제도 논문쓰는데 그냥 본인이 처음부터끝까지 다쓰는데 주저자가 내가되야하는거 아니냐고 하더라고요. 높은학교에 잘하는 학생들이 많고, 대체로 좋은실적을 낼 확률이 높아요. 그게아닌이상 낮은학교에서 좋은실적을 내는경우는 많은경우 지도교수가 정말 훌륭한겁니다. 그리고 그렇다는 편견을 갖는사람들이 많기도 하고요.
2024.08.05
2024.08.05
2024.08.06
대댓글 1개
2024.08.06
2024.08.06
대댓글 1개
2024.08.06
2024.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