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2023 Impact factor 나옴

2024.06.22

22

7993

내가 게재한 저널 박살났네.
1점 가까이 떨어졌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4.06.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부분 다 떨어짐. 그런데 해당분야 %는 저널이 많이 포함됨. 이젠 상위저널 구분을 해당분야 %로 판정할듯

대댓글 4개

2024.06.22

사실 예전부터도 JCR이 중요하긴 했죠.
다만 JCR로만 보면 넷컴도 6%저널, 사어도 8%저널수준..

2024.06.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IF 10점대 계속 유지하는 저널, 혹은 해당분야 5 or 10% 저널정도가 살아남을 듯.
최근 문어발식 저널 수가 너무 많아졌고, 상대적으로 인용이 적어지면서 IF가 전체적으로 하락한 듯..

2024.06.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래도 MULTIDISCIPLINARY SCIENCES 분야는 작년보다 2점 정도 떨어졌어도,
해당분야 저널이 73개에서 134개로 늘어나서 오히러 작년 7.5%에서 올해 5.6%로 소폭 상승함 ㅋㅋ

2024.06.23

우리나라가 좋아하는 5% (출연연도 대체로 탑저널을 5%라는 기준으로 맞추다보니) 저널에는 이번에 AFM도 안들어가더라고요.
제가 정출연에 재직중일때 넷컴하나 냈는데, 본부장이 저한테 본부 대표연구실적 기대했다가 넷컴이 7%저널이라고 하니 실망했던게 아직까지 기억나네요. 5%가 안되는 저널이냐면서 ㅎㅎ 오히려 옆부서에서 한 책임분이 중국인들이 만들어서 IF/JCR 높은 (초반에만 바짝높고 지금은 10%됐지만) 저널에 낸것갖고 이곳저곳 뉴스기사내면서 떵떵거리시던게 아직도 생생해요.
JCR %갖고만 아주그냥 저널 수준을 평가하는것도 솔직히 정말 코미디라고 생각해요. 그것도 정출연이라는 곳에서도 그러고있는게 참 웃길뿐이죠. 보직자중 절대다수가 탑저널 한번도 못써본분들이 많아서 그런것같긴하지만. ㅎㅎ

2024.06.22

갑자기 궁금한게 2022년도에 발표된 논문이면 2021년도 jcr을 말해야하는 건가요?
만약 online publish가 2021년도인데, 최종 출판이 2022년도이면 해당 논문은 2022년도 논문이니깐? 2021년도 jcr을 말해야하나요?

대댓글 3개

2024.06.22

가장 최근에 발표된 JCR을 말하는게 일반적이에요. 홈페이지같이 공식적인곳이 아니면 그냥 출판당시기준으로 많이 말하긴하죠.
개인적으로 홈페이지에 (~%)이렇게 하는거 조금 짜친다고 생각은 들지만요.

2024.06.22

평가하는 곳마다 다른 경우들이 있어요 저희 학교는 온라인 말고 정식 출판연도 기준 JCR로 impact factor 및 분야 별 percentile 반영합니다 아직 안 나온 경우는 가장 최신 것으로 하구요

2024.06.22

2024년 발표된 IF
JCR 2023

2024.06.22

green chemistry jcr% 계속 떨어지네.....

2024.06.22

어차피 각 분야별로 어떤 저널들이 좋은지 다들 알고있는데 임팩트팩터 따지는게 뭔 소용이 있나싶음.

대댓글 3개

2024.06.22

반대로 본인분야밖에 모르죠. 여러군데 심사들어가실때 생각보다 본인분야 사람만나는게 쉽지않습니다. 하다못해 박사졸업논문도 학과교수 3인 포함시킬때 분야가 맞지않아도 적당히 끼워맞출수밖에 없잖아요.
그래서 jcr %나 if로 출판된 저널수준을 유추를 하는게 도움이 되긴 하죠.

2024.06.23

펀딩 딸 때, 정량적 실적 기재할 때는 소용이 있는걸요..ㅎㅎ

2024.06.26

그러니까 한국이 유독 그 정량적 평가에 집착하는게 아직 선진국 따라가려면 멀었다는걸 말합니다. 공정성을 얻는 대신에 무의미한 정량적 지표를 맹신하는게 무슨 소용이 있나 싶네요. 이런 정량적 지표에 대한 맹신이 사실을 왜곡해서 분야를 망치는 케이스가 워낙 많아서요.

2024.06.22

뭔일이 있었길래 IF 변동이 심한걸까요?
2020, 2021, 2022 코로나 때 논문들을 마구잡이로 인용한 것도 아닐텐데요. 그 시기에 다들 집구석에서 논문을 엄청 찍어냈나요?

대댓글 3개

2024.06.22

그때 의학/바이오는 1년에 한 페이퍼가 200건 이상 인용되기도 했습니다 ㅠㅠ.. 코로나로 인용이 엄청나졌습니다.

2024.06.23

올해부턴 ESCI (SCIE 아님) 저널들도 IF 계산에 포함됩니다. 이게 제일 큰 변수같네요.

2024.06.23

IF 산정 기준이 바뀌었습니다.
저널 논문 인용수 카운트 기준을 최근 2년도? 기준으로 바뀌었다고 하네요.

2024.06.23

바이오관련 쪽은 전반적으로 다 엄청나게 다 떨어졌네요. 특히 네이처 자매지들도 10점 가까이 떨어진 저널도 몇개씩 보이는걸로 봐선 예외없네요 ㅎ pnas도 10점 아래로 가고.. 작년에 제 논문이 퍼블리쉬 된 저널이 그래도 제 분야에선 꽤 저명한 저널이고 과거 인플레 전 10년동안 15점 내외로 유지 되었던 논문인데 처음으로 9점대로 떨어졌네요ㅎ 재밌는건 모두 다 떨어지고 랭킹 논문수도 많아져서 퍼센트는 상위 2프로로 올라왔네요 ㅎ

2024.06.23

Jacs엄청떨어졌네여

2024.06.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널에서 미루고 미루다가 얼마전 합격시켜줬는데 저도 1점정도 떨어졌네요. 연구결과도 그저 그래서 실망했었는데 하필 IF도 떨어지다니...

2024.06.24

12점짜리 10점짜리로 떨어졌네요..그래도 jcr 탑 3프로 이내로 남아있으니 그나마 위안을 ㅜ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