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아직 너무 부족한 화공 학부생이라 나름 찾아본다고 찾아봤지만 모르는게 많습니다 ! 조금 더 다양한 조언도 듣고 이것저것 알아보려고 여쭤보는거니 너그러운 마음으로 양해 부탁드립니다..
우선 저는 제약/바이오 R&D 파트에서 근무하는걸 희망합니다. 그래서 host-microbe(pathogen) interaction 관련 연구하는 랩실에서 학부연구생을 짧게 했습니다. 이 때 배운건 많지 않고, 기본적인 세포배양(공배양), 그리고 논문도 읽으며, 몇 가지 실험기기 겉핥기 식으로 배운 것 정도입니다.
일단 제약/바이오 기업에서 연구 직무 가고 싶은 마음은 확실히 있는데, 세부 전공과 랩실 정하는데 있어 고민이 많이 됩니다. 그냥 원래대로 실험하는 랩실 가서 제약/바이오 제제연구/분석연구/합성연구 쪽으로 가야할지 요즘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이 뜨는 것 같아서 인공지능 랩실이나 생명통계분석쪽 랩실 가는게 나을지 (근데 이 랩실을 가서 제약/바이오 기업을 들어갈 수 있을까요..? 아직까진 보편화되진 않은 것 같아서요..) 고민이 됩니다.
정해진 답은 없다는거 잘 알지만 제가 앞서 언급한 분야를 미리 경험하고 계신 분들의 주관적인 조언이 듣고싶습니다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6.10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을 해도 쌩 dry랩을 가서 그 데이터를 내면 결국 그걸 테스트하는 분들은 wet랩 출신 사람들이므로..어느정도 장단이 있을겁니다.
저는 프로젝트를 약물재창출로 했는데 협업해서 진행했엇는데 실제 제약회사에서 약물재창출 전략이 인기는 없다 하더라구요.. 실제 A 질환에 쓰이는 약물 ㄱ이, B질환에 효과가 있어서 허가를 받았는데, 그러면 특허권 등의 문제로 ㄱ약물이 추가 비용을 낼 수도 있으니까 의사 입장에서는 걍 A 질환있어서 ㄱ 처방했다고 해버리면 뭐라 할 말이 없다하더라구요 ㅋㅋㅋㅋ;; 그래서 약물재창출 전략은 제약회사 입장에서는 큰 돈이 안된다고 합니다.
아직까지는 chemical target prediction 정도나 유용하지않을까 싶습니다.
대댓글 2개
2024.06.11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ㅜㅜㅜ
그럼 제가 wet 랩 간 후에 혼자 공부해서 그걸 적용시켜보는게 제일 나을 것 같은데, 이건 괜찮게 보시나요? 일단 제가 원래 있었던 랩실은 코딩은 일절 안하는 곳입니다. (참고러 In vitro 만 진행하고 장내 모사환경, 세포 대사활동 분석 이런 쪽입니다.)
2024.06.11
wet랩가서 개인적으로 배우시는걸 추천합니다.
2024.06.11
어차피 wet 랩 가면 데이터 분석할때 쫌쫌따리로 AI이나 파이썬, 통계 프로그램 다 씁니다. 저는 전통적인 바이오 연구를 하는 랩실에 가길 추천드립니다. dry랩은 본인이 특히 계산,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등에 자신 있는거 아니면 비추합니다. 단백질 구조 모델링, 계산, 머신러닝에 특화된 랩도 있습니다만.. 제약 바이오 취업이 목표라면 거기서 쓰는 실험 방법이나 장비를 쓸 줄 알아야겠죠. 그냥 좋은 학교 화공과 랩 중 바이오 연구하는 데 중에 논문 잘나오고 졸업생 진로 좋은 곳부터 컨택해보세요.
대댓글 3개
2024.06.11
헉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ㅜㅜ 혹시 한 가지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
혹시 제약/바이오 취업이 아닌 경우라면 이야기가 달라지나요? 저는 사실 회사생활과 일 하는 환경 자체에도 중점을 많이 두고 있습니다. 물론 생명 쪽 공부 자체는 재미있었지만, 실험실 안에서 평생 일해야한다고 생각하면 조금 힘들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쉬겠다는 핑계로 잠시 나온거기도 합니다..!
2024.06.11
본인 적성에 따라 다를 것 같네요. 취업이랑 상관이 없고 계산 쪽에 더 관심이 있으면 그쪽으로 진학하는 것도 좋습니다만... 결국은 바이오랩이어도 연구를 위해서 수학/물리/모델링 같은 공부를 많이 하셔야될 겁니다. 본인 적성에 따라 다를 것 같네요. 단순히 바이오 wet lab 실험이 몸이 힘들 것 같아서 싫은 거라면 다시 잘 생각해보세요. 실험은 어딜가나 힘듭니다. 데이터 뽑으려면 반복해야라는 것도 다 비슷하구요. 다만 실험을 제외한 연구결과는 어디까지나 예측과 추론일 뿐이지 실제로 뭔가를 바꾸긴 어렵죠. 연구직을 한다고 해서 평생 실험을 하지는 않습니다. 어느 정도 레벨이 되면 관리자 직책를 하게 됩니다. 과학자가 되는 방법(남궁석, 매드 사이언티스트) 책을 한번 읽어보세요.
2024.06.10
대댓글 2개
2024.06.11
2024.06.11
2024.06.11
대댓글 3개
2024.06.11
2024.06.11
2024.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