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일본에서 유학 중인데 논문 준비 과정은 똑같네요

깜찍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IF : 1

2024.04.24

6

1760

박사과정 중인데 실험 이론 데이터 정리 등 A to Z까지 1저자가 다 하는 군요.
당연한거겠지만, 외국은 조금 다를거라고 생각했네요ㅋㅋ

테크니션이 있어서 셋업해준다거나
재료비 많아서 외주 쓴다거나
이론 및 수식을 교수님이 세워주신다거나...

살짝 기대했는데 그냥 A to Z까지 다 하네요.

완벽하게 만족 안되는 데이터지만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주셔서 이걸로 쓰자고 오늘 컨펌 받았습니다.
피규어 준비하라고 하시네요ㅎㅎ...

쓰게 될 논문은 아무도 시도 안해 본거라 노벨티는 확실히 있는데, 아무도 안해본거라 제가 시초가 되게 됩니다.
그래서 이게 맞는 방법인지 조금 두렵긴 하네요.
결과는 확실히 나왔는데...

수식적으로 표현을 했는데, 그 유도 과정에서 추상적인 혹은 정성적인 개념이 들어가 있어서 흠...
설명을 잘 해야 될듯 싶네요...하하...

기분좋아서 일기 한번 써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4.24

일본은 정말 자발적으로 혼자 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2024.04.24

재료 쪽으로 일본 유학 중인데 정말 공감이 되네요..

2024.04.24

저도 일본서 박사 했는데
하나부터 다~~
지도교수는 길잡이만
지나고 나니 그게 맞는듯요~~

더 좋았던건 우리 센세는 제 의견을 존중해주셨고
하고 싶은 주제 연구할수 있도록 울타리가 되어주셨음

2024.04.24

일본에서 학, 석하고 박사 진학 준비하고 있습니다.
교수님들이 너무 바쁘시나봅니다 ㅠㅠ

2024.04.24

엥 진짜요? 저흰 실험 따로 분석 따로 논문 따로 써서 제일 공헌 높은 사람 1저자 주는데 (일본입니다)

대댓글 1개

깜찍한 에이다 러브레이스작성자

IF : 1

2024.04.24

논문은 보편적으로 초안 작성한 사람이 가져가는 걸로 압니다.

일본 석사생들 논문 욕심 거의 없잖아요?
취업 목표라..
그런 얘들 잘 구슬려서 걔네들이 실험한 데이터로 분석하고 논문 쓰면 됩니다.

근데 이것도 真面目な学生경우는 되는데 랩실 출근도 안하는 얘랑 팀으로 움직이면 본인이 싹다 해야죠.
구제국에서 학위중인데 잘 하는 얘들도 있지만 개판인 얘들도 많아서 놀라긴 했습니다.

한국에서 sci 2편쓰고 왔는데 이때도 혼자서 다 했었습니다. 뭐 길잡이 역할 해주신 교수님과 선배가 있긴 했지만 실험, 분석, 초안, 리비전은 전부 제가 주도적으로 했죠. 연구실 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여기서도 똑같이 다 합니다.

아마 님께서 말씀하신 경우는, 박사과정 1명 밑에 서포터 느낌의 석사과정생이 한 팀으로 이룬 경우 공헌도 따져서 1저자가 정해질 수 있다고 봅니다만...
근본적으로 그리고 보편적으로 혹은 연구윤리적인 면에서 무조건 초안 쓴 사람이 1저자 가져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