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에서 연구보다 공부한다고 할 때 공부라는 건 아마 학점 채우려고 하는 공부일 겁니다. 그건 필요한 만큼만 하면 되죠. 하지만 넓은 의미의 공부는 연구와 구분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교수는 평생 공부하는 게 직업이다라는 말을 할 때 교수가 학점 따려고 시험공부한다는 뜻으로 말하는 건 아니지요?
대댓글 1개
2024.02.08
구분 될수도 있죠. 이미 알고있는 지식에서 주제를 찾고 확장시킬지, 새로운 지식에서 주제를 찾고 확장시킬지를 구분하면 더 효율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2024.02.08
다들 감사합니다
2024.02.08
연구랑 공부가 뭐가 다른지 모르겠네요
대댓글 1개
2024.02.09
난 측도론을 연구하겠어 (X) 난 확미방을 연구하겠어 (X) 난 확미방을 나중에 내 연구주제의 이론적 분석의 도구로 써보겠어 그러니까 지금 공부해봐야지
다정한 로버트 보일*
2024.02.08
공부를 안하고 연구를 어떻게하죠....; 님이 말씀하시는 공부는 코스웤 말씀하시는거 같네요. 코스웤 보단 연구가 맞죠.
2024.02.11
공부를 위한 연구가 아니라, 연구를 위한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모든 것을 이해하고 연구하면 좋겠지만, 그러지 못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연구를 하면서 틈틈히 공부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2024.06.12
분야마다 달라서 분야의 목표에 따라서 본인이 알아서 해야할듯요. 분야에서 인정해주는게 어떤 실적을 원하는지 잘파악하고 그 부분을 극대화 시킬수있는 부분을 공부하거나 실험을 해야합니다. 그런 실적이 아닌 실험이나 공부 해봤자 시간 낭비고 시간 지나면 다 까먹어요 특히 공부같은경우 그래요 할때 또 찾고 또 찾아보기때문에 괜히 쓸데없는거 넓게 공부하면 진짜 최악의 시간 낭비일겁니다. 뭐실험도 비슷할거구요. 경험은 눈에 보이질 않으니 사회 나가서 증명할때 매우 곤란해요. 결국에 남는건 실적뿐입니다. 잘 판단 하시길..
2024.02.08
대댓글 1개
2024.02.08
2024.02.08
대댓글 1개
2024.02.08
2024.02.08
대댓글 1개
2024.02.08
2024.02.08
2024.02.08
대댓글 1개
2024.02.09
2024.02.08
2024.02.11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