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런 고민은 진지한 관계가 된 다음에나 시작하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4 - 보통 동양인 남자는 다른 인종에게 인기가 정말 없습니다. 이성으로 볼 확률은 희박하니 (우리가 흑인 여자 보는것과 비슷하려나요) 괜히 상처주지 마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4 - 걍 이미 김박사넷에서 연애상담하는 행위자체가 이성으로써 Red flag임다.....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5 - 일단 미국박사냐 국내박사냐 양자택일의 고민을 할 정도로 미국박사가 (아시겠지만) 그리 쉽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본인이 대학원 생각이 있으시다면 미국박사를 도전하실수 있는 레벨을 만들어 두시고 고민해도 늦지 않다고 봅니다.
석사냐 박사에 따라 다를거 같은데 풀펀딩 이야기 하시는거 보니 박사 기준에서 말씀드릴께요.
일단 박사과정에서 gpa는 일정 이상만 넘으면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아마? 소자쪽이시면 논문이 비교적 잘 나오는 분야로 알고 있는데 탑스쿨이 아니더라도 international 기준 주저자 논문 몇편씩 들고 가는 경우가 적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다이렉트 박사 생각하시는거면 따로 연구경험/실적이 없다면 거의 확률이 0에 가깝습니다. 석사 진학하시고 연구 경험 및 실적 쌓고 + 양질의 강력한 추천서를 들고 지원하시면 가능성이 생길 겁니다.
국내리턴도 생각하면 미국 박사 vs 국내 박사
9 - 트럼프 행정부가 끝나는 2028년까지 이전 년도에 지원했지만 떨어진 사람들이 누적되기 때문에 다음에 도전한다 해도 더 좋은 결과를 얻긴 힘들 것 같습니다. 심지어 이전에 합격했던 곳도 내년에 지원할 경우 떨어질 수 있고요.
실망스러운 지원 결과와 현지 상황
12 - 음.. T20 밑이더라도 충분히 괜찮은 수준이라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히 경쟁이 심하다고 꿈꾸지 말라는 거면 공감이 안가네요.
대학원이 과거보다 경쟁이 심해졌다한들 여전히 T20에 한해 많은 한국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습니다. 고우해커스에만 열명 넘고 그 모두가 수석차석도 아니요 spk만 있지도 않죠. 저는 학점 3초반으로 T10, 20 받았는걸요. 그 누구에게든 꿈꿔서도 안될 높은 목표는 아닙니다.
만약 T50이라도 좋은 곳이라고 얘기하고 싶은거면 이해가갑니다. T50은 대부분 이미 서울대 카이스트보다 수준이 낫고, 종종 각 나라 최상위 학교 뿐 아니라 심지어 미국의 최상위 학부도 박사학위하러오니까요. 그렇다고 “이렇게 뛰어난 애들이 있으니 너에게 그 위는 언감생심이다“라는 식으로 말하면 안되죠.
기본적으로 한국사회는 철저히 랭킹위주의 생각을 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남들따라서 T10이니 T20을 읊는 학생이 많을 뿐입니다. 그렇다고 그 목표를 바라고 물어봐서도 안되나요?
CS T10 T20 질문은 그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9 - Kist 선임인데 서울과기대랑 비교당하는거 자존심 상하네..
적어도 인서울 상위권이랑 비교해야 레벨이 맞고 나는 sky 아래로 이직할 생각 전혀 없음
소득 측면에서는 과제 인센티브가 많아서 서울과기대 보다는 높을듯. 근데 회사과제 인건비가 없어서 회사 과제 많이 하는 교수님들보다는 적게 벌듯. 기술이전 하시는 분들은 더 많이 범
학생은 세종대, 지거국 정도 레벨에서 오는데 학교랑 다른 장점은 포닥 수급 잘 되고 퀄리티가 높음. 나도 포닥 위주로 랩 운영중. 서울대, 카이스트에서도 많이 와서 연구로만 치면 잘하는 랩들은 국내 최고 수준임. 평균으로 봐도 서성한이나 적어도 중경외시급은 될듯.
출퇴근, 출장은 거의 자유롭고 개인 오피스도 주는데, 조직 문화는 센터마다 많이 다름. 교수들처럼 자율적으로 랩 운영하고 수평적으로 대하는 조직도 있고 회사보다 상명하복 더 엄격한 조직도 있음. 나는 전자에 있어서 만족하는데 돈은 후자가 더 많이 범. 과제를 조직적으로 따와서
KIST 선임 vs 국립대(서울과기대 공주 한밭..)
20 - 진짜 철없는 소리다....
대학원을 무작정 버텨서 졸업하라는 것은 옛말
19 - 닥 미국임 해봐서 압니다.
미박을 갈 수는 있을까요
9 - 작성자분도 교수님의 눈에서는 탁월한 사람일겁니다. 그렇게 모인 사람들 사이에서 빛이 난다는 건 쉽지 않겠지요.
교수님이 자기는 탁월한 사람만 뽑는다
18 - “우리 랩에는 버러지만 있어“라는 말을 듣고 싶진 않았을거잖아요 😱.
교수님이 자기는 탁월한 사람만 뽑는다
14 - 참 재밋네요 ㅋㅋㅋㅋㅋㅋ 키스트분들이 서성한급 아래는 이직으로 쳐다도 안본다고요? ㅋㅋㅋ 본인들이 그렇게 생각하는거면 급이올라가는거에요? 그들이 생각하면 그게 세상의 이치에요? ㅋㅋㅋㅋㅋㅋ 죄송한데 지방대 교수들도 이직할때 서성한중경외시급 아래 가능하면 고려 안합니다. 이러면 자연스럽게 지방대 =서성한 되는거에요? ㅋㅋㅋㅋ 뭔 개똥같은 논리를 들이대고 있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위에 댓글들은 교수와 정출연 연구소 연구원의 차이와 가치를 단지 연구에만 놓고 키스트>>>공주/한밭대 라고 결론들 지으시는데. 각자의 위치에서 하는일이 다르고 장단점이 있습니다. 감히 어떻게 그런말들을 함부러 내뱉는지 모르겠네요?
키스트가 포닥을 쓴다고 그래서 뭐 네이처 펑펑내세요? 어차피 아무도 안보는 일주일후에 묻히는 저널의 이슈에 내는거 다 똑같을텐데요 :) 키스트가 포닥위주로 쓴다는데 제대로된 포닥은 외국 다 나갑니다. 국내포닥으로 제대로된 사람 구하기 어려워요. 여기가 뭐 미국입니까? ㅋㅋㅋㅋ 뭐 그렇다고 석사학생 사정사정해서 받는 공부대 한밭대가 뭐 연구환경이 나은건 아니죠. 사실상 학자로써의 큰 꿈을 이루는 연구는 하기 쉽지 않다고 봐야겠죠? 그래도 학생들 크는거 보람차게 보며 교수생활하는거고요.
KIST 선임 vs 국립대(서울과기대 공주 한밭..)
8 - Skp yk 순으로 컨택하세요.
Skp는 추가 입학조건 보시구요.
능력 충분하니까요
한양대 서강대 지스트 디지스트 대학원 가도 괜찮을까요?
8
높은 자리 또는 성공한 사람들은 마인드가 다른듯.....
2023.12.31

1. 기본적으로 워커홀릭이다. 진짜 이 분들은 주4일제 주5일제 이딴거 없음. 그냥 주6일제는 기본에 주7일제 하는 사람도 많이봄. 심지어 잠도 자는게 맞나 싶을때도 있음. 제 일화로 석사때 지도교수님한테 데이터 정리해서 다음날 출근하면 곧장 볼 수 있도록 데이터 정리 끝나자마자 새벽 3시40분에 보냈는데 새벽 4시에 잘받았다고 내일 아침 9시30분에 미팅하자고 답장옴......나는 어쩌다가 야근하게되면 그때마다 이메일 보내드리면 30분안에 답장이 옴..... 추석이나 설날 연휴에도 실험실 사람들 없다고 조용히 데이터정리 할 수 있다고 좋아하심......우리 학과 어떤 교수님은 교수실에 침대도 사서 평일엔 본인 교수실에서 자고 주말에만 집감....
2. 하루 계획표 한달 일정표보면 자신만의 루틴과 방식이.있음. 그리고 그 루틴과 방식과 스케줄이 틀어지는걸 극도로 싫어하심. 저희 삼촌이 미국에서 교수를 하고 계신데 아침 6시에 일어나서 러닝하고 샤워하고 준비해서 7시30분까지 랩실에 도착해서 점심시간전까지 무슨 일을 하고 오후엔 무슨 일을 하고 저녁에 무슨일을 하고 자기만의 루틴이 있음. 심지어 비가 많이 내리는데도 우비입고 러닝함. 하루는 눈이 정말 많이내려.아침 러닝을 못하게되자 트레이드밀 사버림.....
3. 기본적으로 배움을 좋아함. 논문 읽는걸 좋아하시고 취미 물어보시면 다큐멘터리 감상 역사서 읽기, 팟케스트 듣기등 이런 류임. 독서 좋아하시는 분들도 많음.
4. 한 번 일에 몰입하면 끝장을 봐야함.
이건 나 박사때 교수님이 학회에서 유전자 분석법을 듣고 한 때 유전자 분석에 꽂히셨음. 진짜 농담 안하고 한달동안 그와 관련된 논문공부하고 해당분야 교수 초대해서 강의도 듣고 장난 아니였음. 그냥 설렁설렁 대충하자가 아닌 이 분야에 대가가 되겠다라는 심산으로 공부하셨음........
진짜 성공한 사람들은 마인드가 다름......
지잡대생의 열등감 김GPT 246 66 40293
자존감을 지키는 마인드 김GPT 11 0 1192
너무 열심히 살필요 없더라.... 김GPT 146 11 28353
인성썩은 얘가 잘나가는게 정말 싫다. 김GPT 28 7 3672
학생 잘못 뽑는 것에 대한 넋두리 김GPT 123 43 11585
면접 멸망전치름 김GPT 22 12 5532-
54 11 7642 -
23 5 1347 -
47 21 8942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57 33 23466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2 33 23546-
149 49 5598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미국 유학의 명과 암
60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98 - ML탑티어, PAMI 다써본 입장에서 정리해줌
23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34 -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226 - 개 미 친 싸 이 코 같 은 리 뷰 어 새 X
133 - 공대 박사 주저자 논문이 없어요
12 - 대학원 그만두고 싶은데 그냥 출근 안해도 되나요?
34 - 미박을 갈 수는 있을까요
4 - 사람이 많이 갈리는 랩은 들어갈 때 고민을 좀 하세요.
5 - 교수님이 자기는 탁월한 사람만 뽑는다
6 - 이틀 밤새 준비한 데이터 교수님께 빠꾸먹었네여
6 - 경북대와 부산대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BK장학금마저 가져오라고 한 교수님… 자퇴하며 겪은 마지막 일화입니다
45 - 대학원을 무작정 버텨서 졸업하라는 것은 옛말
15 - 학점 낮은 학부생은 대학원 어디로 가야 할까요?
11 - 대학원 스펙 평가해주세요..
10 - 28살 대학원 신입생 적응이 걱정됩니다.
7 - 한양대 서강대 지스트 디지스트 대학원 가도 괜찮을까요?
14 - 영어 공부 어떻게 하시나요?
6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6 - 대학원 목표로 하는 학부생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12 - 전전 대학원 입학 궁금한 점 있습니다.
6 - 석박통합은 누가만든건지...
14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11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5 - 미국 유학의 명과 암
60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98 - ML탑티어, PAMI 다써본 입장에서 정리해줌
23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34 - 개 미 친 싸 이 코 같 은 리 뷰 어 새 X
133 - 대학원 그만두고 싶은데 그냥 출근 안해도 되나요?
34 - 미박을 갈 수는 있을까요
4 - 사람이 많이 갈리는 랩은 들어갈 때 고민을 좀 하세요.
5 - 교수님이 자기는 탁월한 사람만 뽑는다
6 - 이틀 밤새 준비한 데이터 교수님께 빠꾸먹었네여
6 - 경북대와 부산대
6 - 학부 문제입니다. 도와주세요.. 한양대 컴소 선택 안하고 서강대 컴공을 해버렸습니다.
3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 펀딩 오퍼 받았는데 생활 가능할까요?
34 - 국내리턴도 생각하면 미국 박사 vs 국내 박사
12 - 실망스러운 지원 결과와 현지 상황
18 - CS T10 T20 질문은 그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10 - PHD 대기자 이메일 받았습니다
10 - 대학원을 무작정 버텨서 졸업하라는 것은 옛말
15 - 학점 낮은 학부생은 대학원 어디로 가야 할까요?
11 - 대학원 스펙 평가해주세요..
10 - 28살 대학원 신입생 적응이 걱정됩니다.
7 - 한양대 서강대 지스트 디지스트 대학원 가도 괜찮을까요?
14 - 대학원 목표로 하는 학부생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12 - 석박통합은 누가만든건지...
14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11
2023.12.31
2023.12.31
대댓글 2개
2023.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