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한국에서 학벌은 현대판 신분제와 같다

2023.11.11

26

11761

이렇게 주장한 이유는 한국에서는 지잡대생이 노력해서 굉장히 좋은 성과를 내더라도 자기보다 높은 학벌을 가진 사람들의 가치를 높여주는 효과밖에 없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고등학교 이후로 아무리 노력하더라도 고등학교 졸업의 순간 정해지는 신분(학벌) 을 초월하는게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지잡대생이 학과별로 중요한 주제 (ex: cs, ce의 경우 OS, Compiler, Database, Machine learning engine, Game engine ...) 중 1개에 대해 기초원리를 모두 통달하고 응용하여 플랫폼을 만든 후, Github와 같은 곳에 공유한 결과 많지는 않지만, 어느정도의 국내외 사용자들을 모았다 치자 그러면 대다수 한국인들은 대놓고 말은 안하지만 친한 사람들끼리 있을때 내비치는 심층적 논리는 아래와 같은 논리중 하나 혹은 복합논리를 만들게 된다.

1. 지잡대생이 저런주제를 연구한다고? 애초에 빡대가리가 연구할 주제가 아닌데? 뭐 거지같이 만들었겠지 안봐도 뻔하노
2. 지잡대생이 저 주제를 연구해서 저정도 성과를 낼 정도면 spk얘들이 각잡고 노력했다면 1000% 훨씬 대단한걸 만들었겠지 (자신의 성과가 자신보다 높은 학벌을 가진 사람들의 가치를 높여주는 효과)

즉 위의 논리는 모두 학벌이 구리다는 이유만으로 그 사람의 성과를 가치절하하거나 그 사람보다 높은 학벌을 가진 사람들의 가치를 더욱 높여주는 효과로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고등학교 졸업전까지의 노력만 인정받게되고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노력은 하등 의미가 없는 결과를 낳게 되며, 이로 인해 고등학교 졸업시기에 정해지는 학벌은 이후에 어떠한 노력을 하든 뛰어넘기가 아주 힘든 현대판 신분제와 비슷한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까지의 내용은 이제까지 살아오며 사회현상을 관찰한것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며 아래는 사견이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하자면 사람은 모든 분야를 잘할수가 없기에 특정 분야를 잘한다고 해서 다른분야 (설령 비슷한 부분이 조금 겹친다하더라도) 를 잘한다는 보장이 없다. 예를 들어 복싱챔피언이라고 ufc도 반드시 잘할거라는 보장이 있는게 아닌 것과 같고 델타포스 챔피언이라고 오버워치도 잘할거라는 보장이 있는게 아닌것과 같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고

마찬가지로 고등학교 교과과정을 잘했다고 하여 대학교때 자신의 전공분야도 반드시 잘할것이란 보장은 없다. (심지어 대학교 전공과정은 자연과학이나 수학계열로 진학하지 않는한 고등학교 공부와 겹치는게 많이 없는 분야가 더 많다.)

그리고 고등학교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였으나 대학교 진학이후에 자신의 분야에서 뒤늦게 늦공부 터지는 케이스도 종종 있는데 이들이 고등학교때 마음잡고 공부했다면 또 결과는 달라졌을수 있으므로, spk 얘들이 각잡고 했다면 더 잘했을 것이라는 논리 또한 현재 학벌이 좋지 않지만 자신의 분야에서 대단한 성과를 보인 사람이 고등학교때 각잡고 공부했다면 고등학교 공부도 더 잘했을 것이다 라는 논리로 받아쳐지기에 옳은 논리라 보긴 힘들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한국 사회는 고등학교 졸업시기에 결정되는 학벌이 그 사람의 모든 것을 평가하는 절대적 신분제도로서 자리잡은 것이 어쩌면 편협한 사고로 특정 분야의 인재를 놓칠수밖에 없는 구조로 자리잡은것은 아닌가 싶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IF : 1

2023.11.11

왤케 피곤하게사시나요..

대댓글 1개

2023.11.12

그러게요. 안타깝네요. 첨부터 끝까지 뇌피설인데. 저정도 생각할 정도면 고민 꽤나 했을 듯.

2023.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건동홍 지거국만 되도 본인 노력에 따라 충분히 아웃라이어 될 수 있음

2023.11.11

일단 말씀하시는거 보니 인터넷 커뮤니티부터 끊으셔야 할듯

2023.11.11

늦공부가 터진다는 건 모종의 계기로 철이 들었다는 증거임. 그리고 그렇게 철이 든 사람이라면 지금 내게 처한 상황이 학창시절에 공부 안하고 쳐 논 것의 인과응보임을 인정하고 지금부터라도 개과천선할 생각을 하지 사회 탓을 하진 않음. 내가 하고자 하는 일에 학벌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면 수능을 다시 보든지 해서 학교를 옮기겠지 그에 따라 뒤쳐지는 출발선은 내가 책임져야 할 문제고. 무슨 말 하려는지는 알겠는데 비유가 너무 극단적임..
허기진 아담 스미스*

2023.11.11

학벌이 낮으니까 학벌탓 ~
뭐같은 교수를 만났으니까 교수탓~
뭐같은 주제를 잡았으니까 주제탓~
어디 빅가이랩으로 포닥가서 좋은 주제받았는데 다른 포닥한테 뺏기면 다른 포닥탓~

인생 참 살기 쉽죠?

대댓글 1개

허기진 아담 스미스*

2023.11.11

어디 좋지않은 고등학교, 대학교나와서 갑자기 대학원들어가고 해외포닥가더니
네이처 셀 쓰고 교수된 케이스들이 이 글을보면 어이가없어하겠네요.

2023.1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카데미아에 있고 사회생활 없어서 시야가 존ㄴㅏ게 좁아진것뿐이에요...
ㅋㅋㅋㅋㅋ

2023.11.11

그렇다기엔 내가있는곳은 낮은대학에서 온 자존감만 높은애들 개판쳐서 자대출신들만 갈려나가는중
출신상관없이 실력과 역량에 따라 가는게 맞는데 역차별당하는곳들도있음

2023.11.11

직장에 취직하게 되면 좀 달라요. 학벌로 플러스 되는건 SPK와 유명 외국대 정도. 나머지는 도토리 키재기입니다.

대댓글 1개

2023.11.11

삼성이 왜 학벌을 별로 안보는줄 아시나요? 설대 미만 잡이기 때문입니다. 너무 학벌에 연연하지 않고 자기분야에서 최선을 다 하면 인정 받을수 있어요

2023.11.11

지방대 학부나와서 skp 교수로 지내면서 국내에서 그 분야의 권위자가 된 사례도 있는데, 능력만 출중하면 학벌 따위가 무슨 소용일까요.

2023.11.11

1,2가 님 뇌피셜인데 그 아래는 읽을 필요도 없겠네요.

2023.11.11

이런 애들 특) 회사 가서 일하게 되면 상사 욕 회사 욕 오지게 하고 이직 못함ㅋㅋㅋㅋ

2023.11.12

학벌 열등감이 있다면 수능을 치시면 됩니다. 편입도 좋구요. 수시 6광탈하고 열등감에 쩔어있을 때의 제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좋은 대학에 진학하거나 모종의 성과를 거두어본다면 시야가 넓어지거나, 적어도 조금은 달라지긴 할겁니다. 건승하세요.

2023.11.12

아직 어리시고 시야도 좁고 딱히 상위권 학교 안나와서 이런 글 쓰는 자격지심은 이해합니다.

나이 더 들고 사회생활 하시면 학벌 말고도 계층 나누는게 훨씬 많아요
직업, 돈, 영예, 배우자, 집, 차
대표적인 것만 나열해도 이정도지만 그 외에도 수백가지

그나마 학벌은 좀 공정한 편
적어도 한 만큼은 인정해줌

내 학벌에 벌써 자격지심 가지는거면 내 걸어온 길을 냉정히 되돌아 봐야함

2023.11.12

내가 서울 중위권 학교에서 학생들 20년가량 가르쳐 본 봐로는. 우리학교 애들 중에 가끔 서울대 정도ㅜ가도 될법한 애들이 눈에 뜨이는데. 걔들하고 친해져서 학창시절 이야기 들어보면. 보통은 3가지 경우로 나누어 지더라. 1. 중학교 정도 까진 공부 좀 했는데 ㅜ고등하교 때 오락을 하던가 좀 문제가 많아서 몇년 정신을 못차렸다. 2. 수학과학은 좀 잘했는데 당췌 국어 영어를 하기가 싫고 안되더라 뭘 어찌해야하는지고 모르겠고. 해서 구냥 수학 과학으로 대학왔다 3. 시골에서 그냥 아무생각 없이 놀다가 대학와서 공부하는데 재밌더라.

이 범위가 대부분인 듯.

2023.11.12

경험담을 이야기해드리자면...정작 설카포연고들은 처음부터 소위 말하는 지잡...출신의 학벌이나 경력에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고, 오히려 지잡...출신의 사람들이 훌륭한 성과를 낸다면 오히려 대단하고 훌륭하다고 치켜세우고 자신들과 같은 반열에 올려주는 경향이 큽니다. 오히려 서성한...중경외시...이런 애매한 클래스의 선생님들이 말씀하신 경향이 크고...같은 지잡이나...고졸, 중졸같은 분들이 학벌에 굉장히 크게 연연하는 경향이 컸죠

대댓글 2개

2023.11.12

맞아요. 최상급 출신들은 오히려 차별 않고 쿨 합니다

2024.07.05

맞아요.서성한 중경외시 애매한 클래스가 학벌컴플렉스도 크고 학벌 차별도 심하게 하고 상대방 깎아내리기도 하고... 고졸 중졸은 학벌을 엄청대단하게 생각하고. 설카포연고는 오히려 쿨하고. 맞습니다. 그래서 성공하려면 오히려 애매한 서성한중경외시 사람들은 피하는게 낫습니다.

2023.11.12

지잡대 이면서 능력은 있는 경우에는, 미국으로 석박가서 미국에서 취업하는거 추천합니다.
한국은 학벌 사회라 억울하게 살거고, 미국은 실력 사회라 제대로 대우 받을겁니다.
그러려면 김박사넷 부터 끓고 유학고수tv 유튜브 구독 추천합니다.
김박사넷은 미국 대기업 취업 못해본 루져들의 뇌피셜 집합소라 미국 대기업 취업에 매우 안좋은 정보만 가득합니다.

2023.11.12

저렇게 피해의식과 열등감에 사로잡혀 있다니 ... 님은 커뮤부터 전부 끊는게 급합니다

2023.11.12

요즘은 학부를 극복한 연구자들이 많아지고 있어. 점점 실적 위주의 사회로 가다보니... 바람직해지고 있는거지.

2023.11.13

시야가 상당히 왜곡되어있는것같은데요. 인터넷 커뮤니티 좀 끊으시고 현실 사회를 좀 경험해보시는게 ?

이렇게 시야가 굳어지면 학습된 무기력도 생겨요. 종종 그런 친구들이 있는데 이걸 제때 못부시고 나이가 차버리면 굉장히 깨기가 어렵습니다.

하루라도 어린 나이에 깨시는 노력을 해보시길…

2023.11.14

신분제는 신분이 세습되니까 문제고... 학벌이 세습 안되고 순수 능력만으로 학벌이 만들어진다면, 그건 신분제라고 부르는게 아니라 능력주의라고 부르는게 맞지요? 오히려 능력이 아닌 방법으로 학벌이 만들어지는게 문제임. 거기서 신분이 만들어지는거임. 마치 조민 케이스처럼.

2023.11.15

본문에 통감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