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포닥이 과제를 딸 때 써놓은 과제 목표가 있었고, 그 목표는 하나의 연구가 될만큼 상당히 쉽지 않은 목표였습니다. 그리고 그 목표가 시작될 때쯤 제가 들어왔습니다.
그리고 포닥이 설정한 목표를 포닥이 가지지 않은 기술로 해결할 가능성을 찾았습니다. Feasibility를 봤을 때쯤 포닥이 이걸 너가 한 번 해보면 어떻냐 했고,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전 과제 몇 년간 구르며 결국 그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포닥은 이걸 논문화하자며 몇가지 아이디어를 냈지만, 현실성이 부족해 딱히 실험에 채택되진 못했습니다. (그와중에 저도 여러개 냈지만, 비슷했습니다.) 세부적인 실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스터디, 대부분의 실험은 제가 했고, 포닥은 약 2개월간 저와 실험을 같이 하고 미국으로 갔습니다.
교수님과 이제 결과들에 대한 논문화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이 부분에서 포닥의 기여가 얼마나 될지 궁금합니다.
저의 생각은
포닥 : 과제를 쓸 때 이걸 하겠다! 목표를 제시,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하지 않음, 제가 랩 들어왔울 때 실험 같이하며 적응 도움, 미국 간 후 한달에 1-2번정도 1시간정도씩 discussion(실험 진행 1년차부터는 제가 그냥 보고 느낌이었습니다), 미국가기전 약 2개월간 같이 실험 진행
저 :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도입, 가능성 실현, 현실성있게 다듬는 optimizing 과정 2년간 진행, 과제 마무리, 추후 논문화 작업 대부분 진행 예정
초년차째 포닥은 공1을 제안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가면서 느낀건, 아마 제가 writing, data, 이후 revision을 하고, 교수님도 상당히 좋은 저널에 투고를 기대하고 있어 그 시간이 매우 쉽지 않을 것 같은데, 포닥의 기여에 대한 고민이 됩니다.
이럴 경우 다른 분들의 생각과 의견이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10.30
드래프트 까지 쓰고 나가도 마무리 하는과정애서 워낙 많이 갈아엎어야 하기 때문에 1저자 주장하기 어려운데 라이팅 시작도 안했으면 2저자도 충분.. 저걸 공1을 달라는게 요즘 공1의 인플레을 보여주네요.
대댓글 1개
2023.10.30
그렇군요. 제가 그 포닥과 다른 주제로도 얽혀 있어 고민이 많습니다
2023.10.30
학생은 데이터뽑기 최적화등등 수고를 많이 했겠지만 그 일의 양이 늘 1저자를 보장해주는건 아닙니다. 포닥은 계약기간이든 커리어사정상 떠나야 햇겠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그 포닥이 과제를 안따놓고 목표를 지정하지 않았다면 지금까지 올수 있었을까요? 제생각에는 두분이서 더 디스커션하고 같이써서 공동1저자 하셧으면 좋겟네요. 글쓴분이 주도해서 쓰면서, 반대로 포닥한테 공동1저자 드릴테니 드래프트하는거 도와달라고 말해보세요. 물론 지도교수하고 먼저 이야기가 되야하고요. 떠난 사람 입장에서는 솔직히 지금 그분이 혼자서 낼수도 잇는게 아니다보니 껴준다고하면 두손들고 환영할일입니다.
대댓글 1개
2023.10.30
음 이런 생각도 가능할 수 있겠네요..!
2023.10.30
제가 포닥인 상황이고, 후배랑 비슷한 상황이였습니다. 아이디어와 지속적인 연구지도를 했고, 논문쓸때는 제가 많이 맡았던게 조금 다를수도.. 당시 논문얘기 나올때, 저는 제가 공동주저자 역할은 아니라고 생각했고, 정말 잘되면 공동교신이라 생각했습니다. 근데 공동교신 관련된 얘기를 교수님께 꺼내기가 좀 그래서 그냥 2저자로 들어갔습니다.
2023.10.30
교신저자가 결정할 문제입니다.
2023.10.30
공동1저자 = 실험에 참여한사람들 넣어주자가 아닌 equally contributed. 그래서 포닥이 한일이 분명히있지만 이후 논문구성 초안작성 리비전에서 큰 역할을 하는게아니라면 공1은 아니라봅니다. 다만 안볼사이아니고 프로젝트 또 연관되있다고하니 이 부분도 고려해서 잘 생각하시는게 좋겠네요. 그래도 첫번째 공1은 꼭 가져가시길
진지한 라이프니츠*
2023.10.30
다른 주제로도 얽혀있다면 더더욱 공1을 줘야겠네요.
저자문제로 얼굴 붉히지말고 사이 좋게 지내는게 베스트입니다.
작성자분 1저자, 포닥분 공1저자, et al 순으로 가시는게 베스트입니다.
2023.10.31
Writing 안하면 1저자 아니지 않나요?
2023.10.31
공1 저자로 가는 대신에 포닥을 많이 괴롭히세요. 여기서 괴롭히라는 말은 인격적으로 괴롭히라는게 아니라, 지속적으로 포닥분이 논문에 참여 많이 할 수있게 discussion도 많이하고, 논문 feedback도 자주 요청하기도 하면서, 많이 참여하게 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아마 정상적인 포닥이라면, 공1저자로 들어가는 순간 자기 논문인것 처럼 꼼꼼히 지도해주고, 좋은 쪽으로 발전시키게 많이 도와줄것 같네요
2023.10.31
일반적으로는 안주는게 맞긴 한데요. PI와 한번 얘기를 해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여의치 않으시면 글쓴이께서 제일 앞에 오신다는 전제하에 공1저자를 주시고 author contribution에 자세히 적으시면 될거 같네요..
대댓글 1개
2023.10.31
그리고 방향지도같은걸 주기적으로 해주신것을 보면.. 사실 PI의 역할을 대신 해주신거 같은데요. 교수님의 성향을 잘 아신다면 교수님께 조심스럽게 공동 교신저자를 제안해보시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2023.10.30
대댓글 1개
2023.10.30
2023.10.30
대댓글 1개
2023.10.30
2023.10.30
2023.10.30
2023.10.30
2023.10.30
2023.10.31
2023.10.31
2023.10.31
대댓글 1개
2023.10.31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