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열정있으나 평범한 능력을 가진 사람의 연구 분야 선택

2023.09.11

7

783

저는 인서울 중위권 대학 전자공학과이고, 3학년 2학기를 재학중입니다.
저는 전공에 열정이 있어서 학점이나 연구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실제로 학점은 높게 받았습니다. 그런데, 학부연구생을 1년 해보니 저는 연구 능력에 있어서는 평범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아직 제대로 연구 해보지도 않고 이런 말을 하는 게 웃기지만, 저는 교수가 되는 것이 목표라 아래와 같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AI 분야를 현재 학부연구생 하고 있는데, 평범한 연구 능력을 가졌다는 가정하에 사람이 많이 몰리고, 하지만 채용 규모?도 큰 AI 분야가 나중에 연구 경쟁이나 교수 임용에서 좋을까요?

아니면, 현재 학과 분야 중 관심 있는 무선통신 같이 상대적으로 덜 사람이 몰리는 분야가 추후에 편할까요??

미래는 아무도 모르고, 이런 마음으로 연구 분야를 정하는 것이 맞나 싶기도 합니다.
슬슬 대학원을 선택해야 하는 입장인데, 요즘 AI와 무선통신 분야 중에 진로 고민이 많아 글 올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9.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분야를 모르는데 열정이 있을 수가 있나요...

대댓글 2개

2023.09.12

비전이 재밌어서 1년 밤낮으로 연구햇엇는데 현실적으로 경쟁이 박터지는게 느껴져서 고민이 됩니다..!

2023.09.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비전이 경쟁 심한건 맞고 논문 퍼블리시 하려면 1년이 다른분야 5년, 10년 같은건 맞습니다만.
그 와중에 연구되지 않은 창의적인 부분을 개척하는 사람들도 많고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퍼블리시 더 쉬울 수도 있고요(다른 학교 등에서 규모-성질-커넥션 면에서 접근이 어려운 어플리케이션이라던지).

2023.09.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재료 신소재쪽이 그나마 만만한듯 합니다

산업공학쪽도 뭐 유사 공대니깐 만만할거 같고요

대댓글 1개

2023.09.12

정말 혹시지만 저도 제 질문이 이상한 것 압니다.
무선통신 쪽이 어떤가요? 아무래도 연구자적인 이상만큼 생활적인 이상이 커서 그럽니다.

2023.09.12

그런데가 숨겨진꿀일수있음

꾸준히 수요가있지만 엄청핫하진은않은분야

대댓글 1개

2023.09.12

비전이 재밌어서 밤낮으로 연구하고 논문도 냈는데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니 경쟁이 너무 박터진다는 생각이 연구하면서도 항상 들더라고요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