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제 조부모님이 저 유학 올 때 보이셨던 태도가 떠오르네요. 저런 말씀을 하실 때 기저에 있는건 본인 자식을 자기가 아예 모르는 곳에 내놓는것에 대한 불안함을 자기가 아는 방식대로 통제하고 싶어서 그러신것 같습니다. 너무 말 내용 자체에 휘둘리지 마시고, 그냥 작성자님이 알아서 충분히 잘 할 것이고 부모님과 완전히 끊어지지 않을 것임을 가볍지만 꾸준하게 표현해드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픈 하우스 참석, 유학 따라가기 등 이런 요구를 하실 때에는 '현실적으로 비자 받을 명분도 없이 뭘 가냐, 나 혼자서도 충분히 잘 한다' 이런식으로 가볍게 쳐내시고요. 가치관적인 것들 (인종이나 문화 비하)도 그냥 '사람 사는게 다 다른거다, 나는 열심히 내 단도리 잘할 테니 걱정마라' 이런식으로 가볍게 쳐내세요. 돈 관련한 것들도, '귀중한 교육 받으러 가는데 이정도라도 돈 주는 게 어디냐, 이렇게 전문성 가지면 나중에 더 많이 벌 수 있다' 이렇게 말씀하시면 되구요. 적당히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되, 부모님의 안심은 챙겨드릴 수 있는 가볍지만 단호한 표현을 추천드립니다.
미국 생활, 대학원 과정에 대한 이해가 없는 부모님
13 - 그러니깐 돈 없으면 처음부터 오지 말라고 하는데 왜 오냐구요
대학원생 인건비에 대해서,
18 -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요인, 이를테면 나이, 성별, 국적, 인종 등으로 타인을 판단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물론 특정 집단을 겪은 경험에 기반해서 어느정도 스테레오 타입을 가질수 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 타입을 밖으로 표출하거나, 입시나 면접 등에서 불이익을 주거나 하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해야만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동양인을 많이 겪어봤는데 영 별로라서 동양인 신입생은 안받으면 좋겠다' 와 비슷한 말인데, 저런 말을 대놓고 하면 당장 인종차별로 난리가 나겠죠.
실리적으로 생각할 때, 교수님이 만약 저런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나이 많은 학생들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믿으시는 편이라면 화내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분위기를 흐린다, 라고 하지는 마시고, 특정 인물과 그의 행동을 지정하면서 연구실 분위기에 악영향이 있다고 하시면 교수님께서 적당히 개입하실 수도 있겠네요.
나이 많은 사람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ㅠ
53 - 대학원 입학하셔도 됩니다. 아무도 신경 안써요
나이 많은 사람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ㅠ
14 - 한 두명이 아니라 올해도 그 전년도도 석사 신입생이 전부 30살 근처이거나 넘어가는 학생들이에요ㅠ 제대로 연구할 능력있고 의욕있는 사람은 다 빠지고 저런 사람들만 받으니 연구실 분위기 엄청 안 좋은데 교수님만 몰라요ㅜ
나이 많은 사람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ㅠ
18 - 특정 집단이 실제로 문제를 일으킨다고 판단이 되더라도, 개인이 선택할 수 없는 요소로 불이익을 주지 않으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현대 사회에 필요한 덕목이 아닌가 합니다.
교수님께 투서를 쓴다고 해도 분위기를 흐리는 정확한 행동을 지적해야 합니다. 이를테면 연구실에 정해둔 출퇴근시간이 있는데 지키지 않는다거나, 실험실에서 잡담을 너무많이 해서 실험에 집중이 어렵다거나 하는 식이 되겠죠.
단순히 나이 많은 사람 받지 말자 는 혐오발언으로 보일 가능성이 큰듯해요.
나이 많은 사람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ㅠ
11 - 아이디어는 누구나 내고 중요한건 실제로 연구 성과를 내는거죠. 아이디어 뺏기는게 싫으시면 오히려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같이 낸 성과로 만드세요
랩실 후배가 제 아이디어를 차용해서 연구중이라면 그냥 넘어가나요?
19 - 이딴 ㅂㅅ같은 소리하는 도둑놈들이 많으니깐 우리나라 연구실에서 연구하기 ㅈㄴ싫음. 당신 같은 사람 때문에 한국 연구문화가 쓰레기 소리 듣는 거에요
랩실 후배가 제 아이디어를 차용해서 연구중이라면 그냥 넘어가나요?
23 - 애초에 국숭이 무슨 대학원을 간다고ㅋㅋㅋㅋ
skp랑 yk 차이는 왜이리 심할까요ㅠㅠ
15 - 저는 통합 7년차에 첫 1저자 논문 쓰고 졸업했고 2년 포닥 후 9년만에 인서울 임용됐습니다. 저희 분야도 논문 쓰려면 학부연구생이 2달만에도 씁니다.
특히 연구자라면 남과 속도를 비교하지 마세요.
성과가 안 나니까 점점 나태해져요
15
열정있으나 평범한 능력을 가진 사람의 연구 분야 선택
2023.09.11
![](https://dqwc99gnfppi1.cloudfront.net/media/board/free/dable/content/image-114-a.jpg)
저는 전공에 열정이 있어서 학점이나 연구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실제로 학점은 높게 받았습니다. 그런데, 학부연구생을 1년 해보니 저는 연구 능력에 있어서는 평범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아직 제대로 연구 해보지도 않고 이런 말을 하는 게 웃기지만, 저는 교수가 되는 것이 목표라 아래와 같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AI 분야를 현재 학부연구생 하고 있는데, 평범한 연구 능력을 가졌다는 가정하에 사람이 많이 몰리고, 하지만 채용 규모?도 큰 AI 분야가 나중에 연구 경쟁이나 교수 임용에서 좋을까요?
아니면, 현재 학과 분야 중 관심 있는 무선통신 같이 상대적으로 덜 사람이 몰리는 분야가 추후에 편할까요??
미래는 아무도 모르고, 이런 마음으로 연구 분야를 정하는 것이 맞나 싶기도 합니다.
슬슬 대학원을 선택해야 하는 입장인데, 요즘 AI와 무선통신 분야 중에 진로 고민이 많아 글 올립니다.
AI 분야 거품임 김GPT 26 22 14405
랩 선택 고민이 있습니다 김GPT 0 6 739
AI 분야가 어느 정도냐면... 김GPT 17 17 14594
랩 선택 고민 김GPT 0 2 568
ai분야는 정말 분포가 넓은듯 김GPT 15 11 4758
인지과학중에 김GPT 0 5 5780-
1 5 1020 -
4 20 3538
통신이냐 제어냐 그것이 고민입니다. 김GPT 0 3 2666-
184 34 21531 -
66 17 18385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53 25 7237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08 - 일을 잘 한다는 것.
149 - 이젠 솔직히 서카연이 맞음
92 - 대학원생들은 원래 오지랖이 넓나요
26 - 대학원생 인건비에 대해서,
11 - 컨택 메일은 최소 일주일 정도는 기다려라
16 - 실적으로도 숨기지 못 하는 것들
12 - kukist
8 - 논문 쓰는 거 정말 힘든거네요
6 - 소수랩 보다 대형랩이 나은 점
1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72 - 미국 생활, 대학원 과정에 대한 이해가 없는 부모님
11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08 - 일을 잘 한다는 것.
149 - 이젠 솔직히 서카연이 맞음
92 - 대학원생 인건비에 대해서,
11 - 컨택 메일은 최소 일주일 정도는 기다려라
16 - 실적으로도 숨기지 못 하는 것들
12 - kukist
8 - 소수랩 보다 대형랩이 나은 점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9.11
대댓글 2개
2023.09.11
대댓글 1개
2023.09.12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