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가 어떻게 되냐에 따라 다름. 취업: 없는것보다 나음. 학계: 없는게 훨씬 나음. 학계에 남을 예정인데 mdpi 쓰는건 자기 CV에 똥칠하는거. 교수나 연구원들 일부는 mdpi 진짜 싫어하는데 만약 그런 사람이 committee에 들어왔다? 무조건 탈락임.
2023.09.02
원글은 석사 때 잖아요. Mdpi 저널을 싫어하는 사람은 있겠지만 석사 학생 때mdpi 썼다고 아예 없는 것보다 못하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저도 싫어하고 다른 저널 보단 못하지만 없는 것보단 낫지요. 그리고 임용 심사도 여러 곳 들어가 봤는데 대표논문들 아닌 거에 mdpi 도 더 있어서 편 수 많아지면 플러스지 마이너스는 아니던데요. 메인 프로젝트에 지장을 주면 안되지만 엄청 대가 아니면 데이타 버리느니 거기라도 내는게 낫죠.
2023.09.02
학계에서 mdpi 있다고 CV에 똥칠한다니.. 그리고 탑저널 n편에 다작도 가능한걸 보여주는 낮은저널 n편 같이있는게 본인어필하기에도 더 좋습니다. mdpi가 주논문인경우에는 누구나 뭐라하겠지만, 좋은논문도 썼는데 mdpi하나있다고 뭐라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사람이 이상한거죠. 케인즈님 혹시 학계에 계신분은 맞을까요??
2023.09.02
학계 맞습니다. 윗분들은 mdpi논문 없으신거 맞죠? mdpi 옹호하는 사람들치고 mdpi 쓰지 않은사람 못봤습니다. 주변 교수님들도 그 전까지는 mdpi 싫어하다가 당장 재임용 실적 급해서 mdpi 한번 쓰면 갑자기 옹호론자로 돌변하더군요. mdpi 가 학계를 좀먹고있고 다른 저널들도 mdpi가 돈벌이가 되니까 그런 방향으로 선회하더군요.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학계를 망치는 존재같아서 같아서 정말 싫어합니다.
2023.09.03
어디 학계입니까?? ㅋㅋ 저도 정출연/학교 모두 있어봤고, 두곳 모두 mdpi만 쓰는 박사/교수들 봤습니다. mdpi한두편 있으면 탈락이라는건 뭔 난생처음들어보는 뇌피셜같네요.. ㅋㅋ 본인은 어디인지 모르는 학계인 곳에서는 ncs 본지/탑자매지 있어도 mdpi있으면 바로 심사탈락 시키나보군요.. ㅎㅎㅎ 어딘지 궁금하네요
2023.09.03
어디에 본인 연구성과를 낼지는 PI가 정하는 거지만.. 제가 공부한 랩들은 mdpi에 내려고 매뉴스크립을 쓰진 않았습니다. 괜찮은 저널 많고 게제료 안내도 되는곳도 많은데.. 분야마다 다르겟지만 제가 있는 분야는 굳이 거기까지 낼 필요가 없네요. 늘상 게스트 에디터 해달라고 메일 날리고.. 리뷰어 기간도 엄청 짧고, 무엇보다 네가티브 의견 주면 그냥 다른리뷰어 또 찾아서 어떻게든 어셉시키는게 피어리뷰 자체의 본질과는 멀어진거 같네요. 망한 메뉴스크립트 쓰레기통이 아닌가...
2023.09.02
분야 마다 다름. 배터리 같은거면 전자가 낫고 이상한 합성 분야면 후자랑 별 처이 없을 듯
2023.09.02
Mdpi면 후자일듯. 석사 취업은 근데 학부가 더 중요함. 학부가 완전 동일하면 mdpi면 후자, Mdpi아닌 괜찮은 저널 1저자면 전자가 약간 나을 여지는 있음.
2023.09.02
이런 비교가 아무의미 없음을 취업시장 들어가보면 알게될겁니다,,,,,이런고민할 시간에 열힘히 공부하고 연구한 사람들이 성공합니다. 아님 운수대통 이던가,,,,
2023.09.02
대댓글 7개
2023.09.02
2023.09.02
2023.09.02
2023.09.02
2023.09.02
2023.09.03
2023.09.03
2023.09.02
2023.09.02
2023.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