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1저자 앞자리 누가 가져가는게 맞을까요?

2022.09.03

23

3091

1. 사수가 제의해준 아이디어에 대한 모든 실험을 수행한 부사수
2. 논문에 대한 아이디어 제의, 실험 세팅, 모든 실험에 대한 지도, 논문 작성 지도까지 해준 사수

누가 앞자리 가져가는게 합리적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2.09.03

2거나 공동1저자. 논문을 누가 썼는지가 중요. 2번이 지도교수라면 얘기가 다르겠지만 같은 학생이라면 2번이 1저자 요구할만 함

대댓글 1개

2022.09.03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2.09.03

기본적으로 논문 쓴 사람. 이 경우에는 2 가 1저자로 더 적합.

대댓글 1개

2022.09.03

답변 감사드립니다~~

IF : 5

2022.09.03

2-1 순으로 공동1저자

대댓글 1개

2022.09.03

답변 감사드립니다~
꼼꼼한 마키아벨리*

2022.09.03

2가 논문 썻으면 2가 단독1저자거나
2가 양보한다면 코퍼스트 2,1순서

2022.09.03

2 -> 1 순 공동저자가 합리적

2022.09.03

제가 2번케이스였고, 후배가 1로 석사주제로 진행한거였는데 후배 기 살라고 첫번째 주저자 줬습니다. 저는 논문도 90퍼센트 이상 써줬고요. 근데 이건 저는 다른 실적들도 충분하다고 생각했고 석사후배는 본인 첫논문이라서 그랫던것고 잇는것같네요. 절대적으로 시간많이쓴것도 저보다는 실험노가다한 후배기도 했고요.
근데 빅저널이엿으면 저도 조금은 욕심냇을수도..?
저는 개인적으로 1번이 시간을 많이썼을텐데 웬만하면 1번에 첫번째순서 양보해주는게 연구실측면애서는 좋아보입니다.

대댓글 2개

2022.09.03

정답. 동의합니다.
쓴 사람이 일저자 가는게 원론적으론 맞지만, 실제론 실험을 다 시켰는데 공동일저자라도 안주고 단독으로 다 가져가면 앞으론 아무도 그렇게 같이 일 안할겁니다. 공동일저자가 현실적으로 베스트고 순서는 상황에 따라 서로 합의해서 가는게 좋습니다. 세상을 원론대로만 살 수는 없습니다.

2022.09.03

맞는 말 같네요. 저도 원래부터 후배일 많이도와주는 오지랍퍼 성격때문인지 모르지만, 제 전문분야 외적인 연구도 저한테 전반적인 연구흐름이나 논문작성 지도 받는 후배들 많습니다. 반대로 저자 욕심부리던 박사과정 학생은 특정분야에서 연구능력은 정말 좋지만 결국 같은분야 연구하는 후배들도 다들 같이 일 안합니다.
그 덕분에 저는 주저자로 쓴것도 많지만, 2저자인 공동저자 논문들이 상당히 많아졋어요. 졸업후에는 교수님께서도 공동교신자리로 양보해주셔서 덕분에 프닥인데도 교신도 꽤있네요..
어느정도 서로 양보하는게 단기간에는 손해같아보이지만 길게보면 결국 주고받으면서 얻는것도 많아지는것 같네요.

2022.09.03

2-1순 공동 1저자. 계속 볼 사이고 평화를 위해서인거지 실질적인 1저자는 사수임
귀여운 카를 가우스*

2022.09.03

1이 1저자면 그 연구실 고년차들은 아무도 열심히 안함. 죽써서 개주는꼴.

2022.09.03

2-1 순서로 공동1저자 가져가는게 맞을듯요.
쑥스러운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2.09.03

2 단독1저자요.

2022.09.03

현직인데, 작성을 한 사람이 1조자가 되어야하고요.
1이 작성을 했다면 1이 가장 합당해보입니다. 2의 역할은 보통 공저자 역할이에요.
보통 석사과정이 1역할 박사과정이 2 역할인데, 박사과정이 본인이 논문 쓰고 싶다면 실험 및 작성까지 스스로 다해야죠.

대댓글 3개

2022.09.04

논문 안써보셨나? 논문에 실험 하는게 어려움? 논문의 아이디어 발견하고 그 아이디어 검증 뒷받침하고 실험 설계하고 논문 작성 지도하는게 어렵지? 님 말대로면 고등학생도 1저자 할수 있겠네요

2022.09.04

실험이나 프로그래밍 자체는 안어렵습니다. 핵심 아이디어 제안 및 이를 타당하게 만드는 실험 설계가 훨씬더 어렵습니다. 논문을 최소 30개 이상 읽고 분석및 통찰해야기 때문이죠.

2022.09.04

연구윤리 교육은 들으셨나요? 저널방침은 보시나요? 어떻게남의 아이디어로 실험한 사람이 1저자가 될 수 있죠?
혹시라도 님처럼 생각하는 후배들어올까 봐 소름돋네요

2022.09.04

앞자리 말하는거 보니 co-1st 전제인거 같은데, 누가 앞에 들어가도 이상하지 않음. 그러나 1이 논문 작성을 main으로 하고, 2가 검토 및 수정 제시를 했다면 나는 1이 앞에 가야 한다고 봄(단, 보통 논문 안 써본 사람이 처음 써서 가져오면 개차반이고, 검토하는 사람이 거의 새로 작성해야 하므로 2가 불만을 갖을 수는 있을 듯). 사실 그까짓 논문 하나 co-1st 먹으면 누가 앞에 오든 큰 의미 없음. 둘이 진지하게 말로 풀어보고, 맘 상하지 않는 수준에서 사이 좋게 정리하는게 훨 좋음.

2022.09.04

1번이 맨앞자리 가야지

2는 말그대로 지도 해준거고

논문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 1번이 다 얻었으니까

2022.09.04

공동1저자이면 누가 앞에 가도 상관없지만
한명만 뽑으라면 2가 무조건 1저자이고 실험하고 1저자 줄거면 그냥 외부 연구원이나 포닥 고용해서 실험만 시키죠.
저널 방침에도 라이팅한사람-논문 아이디어제공자 순으로 1저자로 표기하라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애초에 테크니션이 1저자 가져가는게 말이 안되죠..그럼 어떤 사수가 귀찮게 후배 실험 알려주고 도와주려 하겠습니까 걍 본인이 다하죠. 본인 아이디어로 실험한게 아니라면 공동저자가 적당합니다.

2022.09.09

이제 봤는데 답변이 생각보다 많이 달렸네요.. 의견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리며, 참고하면서 연구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