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쪽 계열 입장에서 질문해보자면
탑티어 컨퍼런스 oral/best paper 1편 내는게 나을까요
탑티어 컨퍼런스 2~3편 내는게 나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2.07.07
둘다 하는게 베스트지만 저같음 후자요
찌질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2.07.07
Best award는 사실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서 양쪽다 탑티어면 후자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후자는 oral session이 아닌건가요?
대댓글 2개
IF : 1
2022.07.07
후자는 그냥 포스터 세션으로 말씀드린거였습니다!
찌질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2.07.07
아.. 저는 포스터를 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지만 그럼 전자하겠습니다.
허탈한 마리 퀴리*
2022.07.07
좋은논문 2-3개요. 양과 질 모두 챙기는 느낌이라서?
2022.07.07
1편은 원히트원더 느낌이라 둘 중에 고르라면 후자
2022.07.07
제 지도교수님들은 전부 임팩트 있는 한편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제 생각에도 알만한 사람들은 아는 논문 한편 있는게 짜잘이 많은 것보다 훨씬 인상깊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2.07.07
근데 oral 이랑 best paper 는 좀 차이가 넘사인데...
2022.07.07
ResNet 1편 vs 듣보잡 포스터 100편 ㅋㅋ
대댓글 1개
2022.07.07
근데 함정은 ResNet을 만든 사람은 매년 3~4편씩 cvpr에 냄ㅋㅋㅋ
2022.07.07
1티어 학회 1개가 2티어 2개보단 좋긴합니다. 같은 1티어라면 best paper 하나보단 2개가 나을수도 있을거 같은데, 이게 AI 쪽 같이 페이퍼가 매년 수백개씩 뽑히는 분야랴면 Best Paper 1개가 나을거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7.07
노벨상급 논문 1편 vs 네이처 평균수준 논문 10편 어느쪽이신가요
2022.07.07
당연히 노벨상이죠. 이건 너무 넘사라...
2022.07.07
오랄은 별 차이 없고 best paper면 그게 나을듯
IF : 2
2022.07.07
국내 취업이다 = 후자
해외 취업이다 = 전자
성급한 그레이스 호퍼*
2022.07.07
오럴 억셉률 4%
포스터 억셉률 25%
그리고 정말 좋은 논문과 그럭저럭 괜찮은 논문이 커리어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지는 다음을 참조.
https://billf.mit.edu/sites/default/files/documents/cvprPapers.pdf
대댓글 2개
성급한 그레이스 호퍼*
2022.07.07
이걸 후자를 고르는 사람이 있다는거 자체가 질보다 양을 중시하는 한국 학계를 잘 대변
2022.07.07
AI 분야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다른 CS 분야들은 애초에 acceptance rate 이 15퍼 정도로 1년에 40개 미만의 페이퍼가 뽑히는 탑학회도 많아요 (예로 ISCA, SOSP, OSDI, SIGCOMM, MOBICOM, S&P, etc). 이 정도면 그냥 2개가 Best 하나보다 나을수도 있어요. Best Paper 는 생각보다 운적인 요소도 많이 포함됩니다.
2022.07.07
ㅎㅎㅎ여러 연구를 하다가 논문을 쓰면서 어쩌다가 이거 좋은데 하는 논문이 나오는 거죠.
아니면 처음부터 흉내 내기 어려운 자료를 만들거나 얻어오거나요. 그래도 어렵습니다.
경험상 탑티어 학회가 아니라도 잘 쓴 건 관련 분야에서 알아줍니다.
2022.07.07
2022.07.07
대댓글 2개
2022.07.07
2022.07.07
2022.07.07
2022.07.07
2022.07.07
대댓글 1개
2022.07.07
2022.07.07
대댓글 1개
2022.07.07
2022.07.07
대댓글 2개
2022.07.07
2022.07.07
2022.07.07
2022.07.07
2022.07.07
대댓글 2개
2022.07.07
2022.07.07
20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