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서칭하고 주제 정했을때는 아무도 안한걸로 했는데 중간에 몇번 연구방향성이 수정되면서 지금찾아보니 유사연구가 이미 있음. 근데 당연히 난 그 연구를 몰랐기에 접근방식이 조금 다르긴한데 같은 문제로 연구를 했기에 비슷한 면도 좀 있음. 이 경우 어케야함? 1. 학회 저널 포기하고 아카이브투고만함? 2. 이 경우 유사연구를 참조문헌으로 표기해야함?
이미 논문은 마무리단계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3.07.20
그냥 버려야지ㅜ
대댓글 1개
2023.07.20
접근방식이랑 도구가 좀 달라도 걍 파기야?ㅠ 아카이브에나 대충 던져?
2023.07.20
분야를 잘 모르지만 보통 차별포인트 잘 잡아서 다르다고 주장해야죠..왜 버려요..아예 똑같은것도 아닌데..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던가..
대댓글 1개
2023.07.20
딥러닝분야고 제가 학부연구생따리라 차별포인트는 있지만 수준이 높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살려볼만할까요
2023.07.20
보통 논문작업 등을 하는데 1년정도의 시기가 충분히 걸리기에, 당해연도에 나온 논문정도면 괜찮을수도 있습니다. 리뷰어중 해당 논문을 읽어본사람이 없길 기대하셔야겠죠. 리뷰어중 해당논문 읽은사람이 있으면 XX논문과 차별성이 뭔지 물어볼수도 잇겠고요.
2023.07.20
유사 연구 없으면 네이쳐 사이언스 아닌가....? 원래 완전히 새로운건 없는데...
2023.07.20
한번 교수님과 이야기 해보세요 교수님께서 보실때 차별점이 충분하다면 살리는 방향으로, 아니면 파기나 개선으로 지도 해주실겁니다. 어떤 논문인지 어떤 개선점인지 모르는 상태에서는 뭐라 말씀드릴게 없네요.
2023.07.20
잘 포장해서 쓰면 됨 유사 연구는 물론 cite하고 비교하는게 맞고 억지로 숨기려고 하면 안됨 다른 점을 잘 어필하세요
2023.07.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차별성 살려야 하는데 그거 하는데 지금까지 한거보다 노력 더들어갈거임.
도도한 알베르 카뮈*
2023.07.20
더 발전시켜서 제출하면 됩니다
2023.07.21
시간 차이 별로 안나면 concurrent work로 언급해주면 됨. 별문제 안됨
2023.07.21
유사연구가 출판된거임? 아님 아카이브임? 아카이브면 무시해도 됨. 학회 리뷰 정책이 보통 아카이브 논문이나 학회 제출 기한로부터 3달 안에 퍼블리시된 논문으로 지적 못하게 되어있음
2023.07.21
그걸 왜 학생이 고민함. 교수랑 얘기하면 답 나옴. 아카이브에 던지는걸로 끝나진 않음 보통. 그리고 이전 논문 잘 인용해야함. 안그러면 바로 까임.
2023.07.22
같은 문제를 다루었다하더라도, 문제 해결 방식이 다르다면 논문으로 퍼블리싱해볼 여지가 있는 것 아닐까요? 딥러닝 분야라면, 퍼포먼스를 직접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장단점을 보여줄 수도 있겠고요.
2023.07.20
대댓글 1개
2023.07.20
2023.07.20
대댓글 1개
2023.07.20
2023.07.20
2023.07.20
2023.07.20
2023.07.20
2023.07.20
2023.07.20
2023.07.21
2023.07.21
2023.07.21
2023.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