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대학원 생활 너무 힘들어요.. 포닥이랑 박사랑 원래부터 아는 사이였어서 그런지 박사한테 실적 주려고 안달이 난건지
원래 포닥 선생님이랑 저랑 둘이서 맡은 연구과제가 있어서 저, 포닥 선생님, 지도교수님 이렇게 셋이서 논문 저자로 올라가기로 했는데....
포닥이 저한테 시킨 실험 제가 다 했고, 심지어 실험 프로토콜도 없어서 제가 선행논문 다 찾아가면서 프로토콜 정립하고, 알아서 혼자 실험하고, 해석도 내가 다 해놨는데 갑자기 박사한테 논문쓰는거 시킨다고(실험결과는 다 나왔고 결과 모으고 진짜 쓰는것만) 저를 빼고 박사를 논문 공동1저자로 올린다고 하네요ㅋㅋㅋㅋㅋ 이거 연구윤리재단에 신고할 수 있는 부분인가요?
진짜 어이가 없는게 연구실에서 a파트랑 b파트가 있는데 박사는 a파트만 연구하고 b파트는 나랑 포닥 둘이서만 연구하고 있어요. 둘이 연구분야가 아예 다른데 박사 실적 주고싶었는지 뭐때문이지 제가 한 논문 도둑질 당하게 생겼네요 ㅋㅋㅋㅋ 어차피 박사가 논문 쓴다고 해도 저한테 일일히 다 물어보고 써야하는데 기여순서로 따지면 당연히 저랑 포닥이 1저자인데... 너무 억울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2.12.07
박사가 딱히 연구에 기여한게 없다면 논문에 이름들어가는거 자체가 말이 안되는겁니다 우선 박사생과 포닥 각각을 불러서 따로 상황에 대한 얘기를 들어보세요
교수가 시켜서~로 얘기가 나오면 교수랑 얘기해보구요
서로 좋은게 좋은거지~하고 넘어가면 바보되는거고, 내가 이해하고 파악한 상황이 어떻고 내가 불만을 거진 부분이 뭐고 어떤 시정을 바라는지 합리적인 선에서 정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실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논문은 글로 쓰여지는 것이기 때문에 글쓴사람이 저자로 들어가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 글을 쓴 사람을 보통 제 1저자로 봅니다. 본인이 글쓰는 실력이 좋다고 생각하시면 포닥에게 말씀하셔서단독1저자 인정 받으시고 그게 안될 것 같으면 공1저자로 올리는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셔야 할 것입니다.
대댓글 9개
2022.12.07
무슨 논문이 글만 쓴사람이 1저자에요....; 실험 과정부터 실행까지 한 사람보다 오직 글만 쓴 사람이 1저자면, 세상에 모든 논문 1저자는 문과감성 풍부하신 분들이 되겠고, 연구 잘뽑고 창의성있으신분들은 글못쓴다고 평생2저자 하는건가요?
2022.12.08
네이쳐도 그렇고 애초에 보통 저널 정책보면 최종적으로 메뉴스크립트 작성한 사람을 1저자로 넣어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실험데이터는 말그대로 해당 연구실 데이터인거지 최종적으로 데이터로 디스커션하고 논문 작성하는 사람이 1저자입니다. 교수님 입장에선 석사는 그냥 PI아이디어로 데이터만 모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거 같은데 본인 기여도를 다시 한번 교수님한테 잘 정리해서 상의 하셔야 될 거 같습니다.
긍정적인 제임스 맥스웰*
2022.12.08
글쓴 사람이 1저자 하는게 맞습니다. 대개 실험을 한 사람이 글도 직접 쓰니까 문제가 없는거죠.
2022.12.08
이거 너무 실험랩 마인드인 것 같아서 항상 의문이었습니다. 수학이라고 쳐봅시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했는데 영어를 잘 못해서 혹은 귀찮아서 동료한테 증명 검증도 받을 겸 설명해서 동료가 글을 썼어요. 이러면 동료가 1저자 하는게 맞다고 보시나요? 글 쓴 사람이 1저자라고 하는 분들은 항상 “실험 데이터” 같은 말을 하셔서 실험 자체에는 novelty가 크게 부여되지 않아 그런건지 궁금하네요. 저희 분야에서는 글 쓴 사람이 1저자라고 생각하지는 않거든요.
2022.12.08
개인적으로 이 문제에 대해 이렇게 많은 비율로 의문을 표하는 연구자들이 있을지 예상하지 못 했습니다. 연구 윤리를 기술한 그 어느 문서를 보더라도 보통 제 1저자의 의무로 글쓰기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최근들어 학생들이 실험을 해오면 PI들이 글을 거의 다 써 주시는 경우가 많아지다 보니 실험을 하면 그 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는 다 본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것은 제 1저자의 의무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 한 결과입니다. 제 1저자는 연구기획, 실험, 논문작성을 모두 한 사람입니다. 이것은 결국 과학적 '논리'를 구성하고 완성한 사람이 제 1저자 이고 보통 글을 쓰는 사람이 과학적 '논리'를 구성하고 완성합니다.
페르마가 살던 시기와 비교해서 현대 과학은 더 고도화 되고 체계화 되었습니다. 요즘은 수학과 물리 같은 이론 분야 조차 본인 생각을 스스로 글로 정리하지 못 한다면 인정받기 힘들 것입니다. 연구윤리 같은 경우도 그 시절과 지금은 확연히 다르고 현대를 사는 우리는 현대의 기준에 부합되는 연구활동을 통해 본인의 온당한 몫을 주장해야 할 것입니다.
2022.12.08
논문 원고 글쓴사람이 1저자가 되는건 의심의 여지 없지만 메인데이터 확보 대부분에 결정적 가여를 했고 논문을 위해 figure화까지 했다면 관대하게 처리하면 공동 1저자, 하다못해 2저자 정도 자격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애초에 연구에 기여한 바가 없는 사람에게 논문 작성권한을 주는 것 자체가 좀 이례적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그냥 포닥이 혼자 논문 적성해서 단독 1저자, 이 글 작성자가 2저자면 모를까요.
피치못할 사정이 있었다고 해도 본글 작성자에게 사전에 이야기가 되었어야 했고, 그러지 않았다면 그건 포닥이나 교수의 실책이죠. 박사생 실적 몰아주기가 목적이라면 “논문 작성자가 1저자”라는 원칙을 적용하기 이전에 도덕적으로는 문제가 있는거고요.
2022.12.08
젊은 맹자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이 경우는 여러가지로 이례적인 상황인게 맞습니다. 저는 설마 공저자에서 실험을 하신 분이 배제된 상황이라고 생각하지 못 했습니다 (제 1저자에서 배제된 상황이라 이해했습니다). 가장 바람직한 방향은 글을 올리신 분이 실험을 하셨으니 직접 글을 쓰셔서 제 1저자로 본인의 공을 인정받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짓궂은 시몬 드 보부아르*
2022.12.09
장난쳐까나 ㅋㅋㅋㅋ 논문에 들어가는 피규어를 작성자가 다 뽑았는데 강제로 저자를 할당하고 그걸 썻으니 1저자? 뭔 사람들이 다 빙다리 핫바지로 보이나 ㅋㅋㅋㅋㅋㅋ 그건 일반적으로 쓰는걸 기여를 제일 많이 한 사람이 쓰니까 1저자로 인정을 하는거지 데이터 다뽑아놧더니 강제로 쓰지말라하고 다른사람보고 쓰라하면 그건 연구윤리 위반이지 뭔 그지같은 논리로 깨시민인 척이야 ㅋㅋㅋ
2022.12.11
@케플러 수학계의 경우 그런 이유로 저자를 이름 ABC순으로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언짢은 프랜시스 크릭*
2022.12.08
제가 알기로 american standard authorship은 기여방식에 따라 논문작성시 1저자, 아이디어 제공시 교신저자, 그 외는 공동저자, 2저자 등으로 간주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즉, writing에 참여한바가 없으면 1저자를 주장하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만 논문에 기재된 내용 중 작성자님께서 기여한바가 명백히 존재하는데 의도적으로 저자목록에서 누락시켰다면 그 또한 연구윤리위반이 아닐까 사료되니 교수님과 이야기 잘 나누어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2022.12.08
포닥이 저한테 시킨 실험 제가 다 했고,
이러면 아이디어 및 큰 그림 상의 진행은 포닥이 한거네요. 이상적인건 포닥과 글쓴이 공동 1저자가 맞긴 하겠는데, 여기서 writing을 또 딴 사람이 하게 되면... 아이디어 및 큰 그림 진행, 실험, writing 이 다 다른 사람이 하게 되는 상황이라 매우 애매해지네요. 이런 것을 정리하는 것이 PI의 역할이라 지도교수와 상의하는 것 밖에는 없어 보입니다. 어떠한 상황이든 포닥이 1저자에서 빠질 일은 없어 보이고요.
대댓글 1개
2022.12.08
그러게요.. 근데 만약 이렇게 진행된다고 하더라고 글쓴이가 1-3저자가 되더라도 공동1저자를 3명까지는 주는게 도의적으로 맞을 것 같긴한데 안타갑네요
2022.12.09
위 댓글들 보니 안 되겠네요. 그냥 본인이 글 쓰겠다고 강력하게 주장하세요. 솔직히 글 쓰는거 날 잡고 하면 하루면 다 하는 걸 가지고 짧으면 수개월, 길면 수년동안 연구 진행하고, 중간중간에 막힐 때마다 아이디어 짜내서 풀어내고, 이리저리 발품 팔아서 완성된 데이터를 모은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했다고 1저자로 쳐줘야 한다는게 상식적으로 말이 되는 일인지 ㅋㅋ
2022.12.09
???: 야 2저자 넣어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게 생각해~
2024.05.29
하... 글만 봤는데도 다 자기가 한 것처럼 포장한것 같은데? 박사가 기여를 안하면 왜 공동1저자를 넣자고 하겠습니까? 막힌 피규어같은게 있었는데 박사가 해결한건 아니고? 그리고 포닥이 왜 그랬을까? 실험하라는대로 한건 맞고? 일찍 출근하고 퇴근하고 그런거는 아니고? 그리고 포닥이 그런다고 교수가 가만놔둘까? 교수도 수긍했으면 글쓴이 본인 자아성찰을 해보는게 낫지않나? 본인이 잘한다고 생각하는데 포닥과 교수가 봤을때도 잘하는게 맞을까? 답답하네 진짜 ㅡㅡ
대댓글 1개
2024.05.29
추가로 박사에 대한 기여 부분을 언급도 안하고 자기한테 유리하게 글쓰는것 자체가 이미 신빙성이 없다고 봅니다. 아마 3자 대면 해보면 바로 답나올걸요? 왜 갑자기 박사가 공동1저자로 오게되었는지.
제1저자에 들어가고싶으면 교수님께 상의드려서 본인도 글쓰고 리비전하는데 적극 참여하겠다고 의사표현하세요 그래도 거절당하면 어쩔수없지만요
2025.01.02
본인이 대부분의 실험에 기여 하셨으니 writing도 본인이 직접 하고 싶다고 PI에게 강력하게 어필하십시오... 제 경험상으론, 결국 하나의 논문이 나오기 위해선 PI 혹은 포닥의 판단과 지시 아래에서 여러 일을 분업하는데, 그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writing, conceptualization에 큰 기여를 한 저자가 1저자 혹은 교신저자를 가져갔습니다... 지금 상황에선 PI께서 글쓴분의 writing 실력이 다소 낮다고 판단하시고 박사 과정에게 해당 결과로 논문 작성을 지시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일종의 분업을 지시하신 거죠.. 그렇다면 writing과 conceptualization에 가장 크게 기여한 포닥과 박사과정이 1저자를 나눠 갖는 것이 제가 몸담고 있는 분야에선 자주 있는 일이구요.. 다만 아직 원고 작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면, 글쓴분께서 강하게 어필해 authorship은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쪼록 원만하게 해결됐으면 좋겠습니다.
2025.06.28
M&M, 피겨레전드, 리설트 섹션, 디스커션, 모든거에 관여하지 말고 편집불가능 버전 피겨파일만 일단 던져주세요. 이후 논문 혼자 작성 못하고 공동작성 요청이 오면 데이터 생성에 논문까지 작성하니 나도 공1저라로 해달라고 하세요.
2022.12.07
2022.12.07
대댓글 9개
2022.12.07
2022.12.08
2022.12.08
2022.12.08
2022.12.08
2022.12.08
2022.12.08
2022.12.09
2022.12.11
2022.12.08
2022.12.08
대댓글 1개
2022.12.08
2022.12.09
2022.12.09
2024.05.29
대댓글 1개
2024.05.29
2024.08.23
2024.12.18
2025.01.02
2025.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