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저자논문은 2개뿐이고 2저자 공저자등등 자잘하게 7개정도 물리오고나서 설마설마했는데 네이쳐지는 한번도 못써보고 리젝은 개뿔 교수선에서 처리되고 내가 읽어보다가도 이게 무슨 논문일까싶은것 뿐인데 지방쪽이라고 교수님밑에서 저보다 논문수가 많은 학생이 우리랩실이 아니라 우리학교기준으로도 한손가락이랍니다.
지방대출신이라 자격지심이 없던것도 아니지만 제실력은 날이갈수록 제자리는 커녕 내려가는느낌이고 교수님은 그와중에도 너만보고 가는거라고 하시고 그렇다고 을이 아닌것도 아니고 저번에 두달간잠수타셔서 논문진행이 1도못했던적도 있습니다.
구글스칼라에 검색해볼때마다 인용도 2-3짜리인거볼때마다 이젠 1이 아닌거에 만족하는 제 자신이 참 어디서부터 어떻게 망가진지 갑갑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3.07.02
'네이쳐지는 한번도 못써보고 리젝은 개뿔 교수선에서 처리되고 내가 읽어보다가도 이게 무슨 논문일까싶은것 뿐인데' > 구냥 존인 실력부족.
대댓글 3개
2023.07.02
애초에 본인 실력부족에 한탄하는 글에다 대고 대단한 지적이라도 하는 것마냥 "구냥 존인 실력부족."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3.07.02
깨달은 현자마냥 어휴 ㅋㅋ
2023.07.02
인성에 문제 많다
2023.07.02
힘내세요 원래 잘나가는 분야부터 논문 인용수가 올라가는거니까.. 언젠간 작성자님 논문들도 다른 연구자들에게 귀감이 돼서 많이 인용될겁니다^^
2023.07.02
아직은 인용수에 연연하기보단 내공을 다지는 데 집중할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화이팅입니다
도도한 밀턴 프리드먼*
2023.07.03
실제로는 겨우겨우 졸업 요건 마추고 졸업하는 사람이 대부분..
2023.07.03
인용수는 연구분야마다 차이도 크고.. 높으면 좋은거기는 하지만 인용이 잘됫다고해서 좋은 연구냐? 하고 물으면 글쎄요... 공저자 논문 많이내면 인용수도 엄청 올라가는데 문제는 그게 내가 잘나서 올라갓다고 말하기가 어렵다는겁니다 인용수 신경쓰지마시고 어떤논문에서 내 연구를 어떤식으로 인용해줫는지를 체크해보시고, 향후 논문에서는 사람들이 인용할만한 문구를 넣을수있도록 하는거도 방법입니다. 가령 딱히 꼬집을만한 실험 설명이 부족한 영역이나.. 두세가지 다른 원재료로 합성을 했더니 결과가 조금 다르게 나왓다거나.. 인용 트렌드는 대부분은 초기 몇년은 적은수에서 맴돌거에요. 그러다가 인용잘되는 논문을 하나둘씩 내면서 연간 기울기가 늘어나는... 저도 박사중간에는 인용이 한 20 정도였는데 ㅋㅋ 졸업때는 1000.. 지금은 3000 갑니다. 연간 인용수도 계속 늘어나요. 한번 인용해준 사람들이 다음에 낼때도 줄줄이류 넣어주고.. 출신 그룹과 콜라보하는 그룹 등등.. 잘하는 랩에서 나오는 논문에서 언급해주면 인용이 잘올라가는것도 있고요.. 본인이나 그룹멤버들 논문쓸때 인용넣으세요. 보통 연구 주제가 연속성이 있으니 관련연구면 문제없다 봅니다
2023.07.03
저는 석사생이기는 한데 위에 '석박6년차 인용수가 아직도 한자리'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건가요?
박사학위 아무나 안 줍니다. 인용수 신경쓰지 마세요~ 지도교수님보다 뭐가 나은지 한 번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지도교수님이 얼마나 자신에게 많은 질문을 하는지도, 계속 지시만 받으면 학위를 빋아도 소용없습니다. 교수님과 단둘이 디스크션이 돼야 하고 교수님 논리도 잘못이 있으면 지적을 할 정도 되면 그걸로 어디를 가도 인정받습니다. 네이쳐, 싸이언스 좋은 저널 맞습니다. 근데 대한미국 교수님들 중에 한국에서 게재하신 분 별로 없어요, 그러니 다들 미국에 가죠, 조바심을 낼 게 아니라 논문 한 편을 쓰더라도 자기가 다 마무리 할 줄 알면 나중에 네이쳐, 싸이언스 논문 쓸 기회는 옵니다. 그때 잘 쓰면 되니 기다리는 마음으로 학위 잘 받으시길 바랍니다.
2023.07.04
"저보다 논문수 많은 학생이 학교 기준으로 한 손가락입니다." 이 멘트는 글쓴이를 위험한 생각 및 나태해지게 만드는 것 같은데? 실적은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지 남과 비교하지마세요. 나보다 논문 많이 쓴 학생 수가 왜 중요하세요? 지식과 경험 그리고 실험 테크닉은 시간이 갈 수록 쌓이고 늘어나기 마련인데 실력이 내려간다는 것은 그만큼 본인의 번아웃에 의해 아무것도 안했다고 느끼는건 나뿐인가요? 두 달간 잠수 타신 행동도 책임감 없는 행동이구요. 논문 인용수 타령 하시기 전에 인용수 때문에 번아웃이 온건지, 번아웃이 와서 인용수가 안올라가는지 판단해보세요. 특히 지방대학교 대학원에서 다른 학생들과 경쟁할 생각 하지마시고 자기 자신과 경쟁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다른 학생과 경쟁하다 보면 자기 우월감에 갖혀서 탱자탱자 거리는 경우를 많이 봐왔거든요. 그냥 지나가려다 안타까워 댓글 남겨요. 힘내세요.
2023.07.02
대댓글 3개
2023.07.02
2023.07.02
2023.07.02
2023.07.02
2023.07.02
2023.07.03
2023.07.03
2023.07.03
대댓글 4개
2023.07.03
2023.07.03
2023.07.03
2023.07.04
2023.07.03
2023.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