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외국인도 시켜라 행정일 다 짬맞고 개인 연구도 못하는데 랩실 외국인들 장학금 신청은 첫 번째로 제출하더라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0 - 선긋는 정상적인 어른이라 님이 좋아할 가치가 있는 사람인거죠. 그거 사제지간인데, 헤벌쭉 하고 받아주는 천지분간 못하는 인간이면 님이 눈알을 빼서 씻고 다시 넣고 봐야되여. 좋아할 가치가 없는 종자임.
맘껏 좋아하세여. 어릴 땐 그래두 되여~ 어른이 알아서 단도리 해야 함.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6 - 영어는 잘 할 수록 좋습니다.
학생이 준비를 하지 않고 본 토익이 900을 못 넘으면 영어 실력이 박사 진학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할 것 같습니다.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8 - 다 지랄이네
지피티한테 번역해줘 하면 얼마나 편한데
언제 영어로 읽고 자빠짐?
영어는 따로 시간내서 공부보다는
영어가 뇌에서 언어적 자동화가 되게
훈련하세요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12 - 엄청난 성과이고 그 자체로 향후에 분야 커뮤니티에서 지속적으로 주목받을겁니다. 그러나 그 뒤에 본인의 실력으로 꾸준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면 지도교수빨 일회성이었구나 하고 잊혀질겁니다. 아무튼 부담스럽지만 대단히 좋은 스타트입니다.
네이처 사이언스 1저자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13 - 교수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과제계획서 마저 쓰세요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9 - 네 존나 대단하시네요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9 - 그니까 지금 학부생이신거죠? 그리고 본인은 k 출신인데 학벌 후려쳐지는 것 같아서 기분나쁜데, 대학원은 학벌은 또 서열화하는게 기분나쁘다는 건가요...?
대학원 진학해보시면 학부가 별로 안중요하다는게 무슨 말이신지 알 겁니다. 연구 잘하는 척도는 일반적으로 학부 서열 순도 아니고 학부에서 얼마나 잘 했는지도 아닙니다. 그냥 연구 그리고 대학원이라는 환경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에 대한 문제인거죠. 일반적으로 좋은 학교 나왔다고 꼭 연구실 에이스가 되지는 않습니다. 좋은 학교나오고 똑똑하면 잘 할 확률이 높긴 하겠죠. 하지만 이 당연한걸 겪어보시지 않았으니까 다른 분들이 하시는 말이 와 닿지 않는거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중간에 k 가는 사람들의 풀이 어떻고... 그 사람들이 어떤 교육을 받고.. 이런걸 말하는 게 굉장히 편협한 사고를 가진 것 같아 보이네요. 본인도 다른 사람의 환경을 겪어보지 못했으면서 쉽게 판단하려는 것 같습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31 - 원래 사람은 가장 자신 있는 것으로 본인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은 본인 '연구 실적'으로 얘기하고,
그게 없으면 그 다음은 학벌이죠.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0 - 연구를 해보고나서 논문실적으로 보여주세요
저는 일반고 졸업, 수능 상위 0%대 출신이고 박사졸업한지 좀 된 사람인데, K 자부심이 넘쳐 보이네요. 대학원은 결국 실력, 실적으로 얘기하는건데 내세울게 SPK밖에 없는 사람이 되지 않길 바랍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1 - 시진핑 고아해봐
중국인 욕하는 사람들 보면....
9 - 과고/서울대 나와서 서울소재 모 대학 수업하는 입장에서 보면, 서카포랑 인서울만 해도 커리큘럼 수준이나 학생들 학구열 면에서 꽤 큰 격차가 있는건 사실임.
그래도 연구능력으로 옥석을 가리면 서카포 아니더라도 옥이 제법 있음. 서카포에도 돌이 상당히 섞여있고.
까놓고말해서 서울대카이스트 다녀보면.. 부자부모 만나서 큰돈써가며 억지로 공부해서 좋은 대학 오긴 왔는데 사실 자연과학/공학엔 별 관심/재능 없고 의대 못간게 컴플렉스고 졸업하고 뭐할지 모르겠는 어벙이들 널렸지. 훌륭한 학생도 많지만.
어차피 박사는 하나를 오래 파고드는 게임이라서, 초기격차보다 비전과 성실함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함.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9 - 첨언으로, 아마 제가 글쓴이 분보다는 나이가 더 많을 것 같은데, 또 세상을 살아보니 날카롭게 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혹시 남보다 더 뛰어난 점이 있으시더라도 너무 내세우지 말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며 주변 사람들과 둥글둥글 지내는 법을 배우신다면 더 좋은 연구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9
[데이터마이닝 석사 진학]데이터마이닝, 데이터사이언스, 산업공학 쪽 석사 진학 관련해서 고민되어 질문드립니다.
2023.02.24

안녕하세요. 마지막 학기를 앞두고 있는 학생입니다.
대학원 진학을 결심한 뒤 고민되는 부분이 많아 카페분들께 고민 공유 및 질문드립니다.
학교 : 인서울 중위권 (국숭세단 라인)
전공 : 주 - 통계학, 복수 - 금융학
학점 : 총 4.14 / 4.5, 전공 - 주전공만 포함 시 4.02 / 4.5 | 복수전공까지 포함시 4.16 / 4.5
공모전 수상경력
- 문화관광 데이터 분석대회 우수상 수상
- 뉴스 빅데이터 해커톤 대상 수상
인턴 경험
- 자대 AI연구단 연구원 활동 4개월 (딱히 논문 작업은 X, 연구원들 연구 보조 역할 수행)
- 언론사 데이터분석직 6개월
- 은행권 디지털기획직 2개월
자격증
- ADsP
- 빅데이터분석기사
기타
- 교내 성적우수장학금 3회 수상
- 단체 동아리 활동 다수
사기업 취업과 대학원 진학을 계속해서 고민하다 이제 최근에 제대로 석사진학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하고 싶은 분야는 데이터마이닝, 머신러닝 등을 기반한 데이터사이언스 쪽입니다.
현재 진학 목표 대학원은
-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 카이스트 산업공학과,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 포스텍 산업공학과
- 연세대 통계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응용통계학과)
- 고려대 산업공학과
입니다. SSH라인에도 가고 싶은 랩실은 존재하는데 되도록 위의 대학원을 희망하고 있는 중입니다.
통계학과 출신인데 데이터사이언스나 산업공학 쪽으로 진학을 결심한 이유는 통계학 이론 기반의 연구보단 현업과 더욱 연관시킬 수 있는 실질 프로젝트을 공부하고 연구하고 싶어서 택하였습니다.
주 이용 언어는 Python입니다.
질문드리고 싶은 건
1. 진학 가능성이 있을 지입니다. 위의 학교들에 있는 연구실 중에서 컨택이 가능한 학교들은 김박사넷 기준 높은 점수를 보이는 인기랩실을 위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내 인원들의 출신 학교를 확인하니 그래도 저의 학부 수준의 대학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2. SSH 라인의 랩실에도 컨택을 해봐야 할 지입니다.
현재 성균관대 시스템경영공학과, 한양대 산업공학과에도 관심 있는 랩실이 존재합니다.
인턴 생활 때문에 좀 늦게 고민을 했던 것 같아서 되도록 빠르게 컨택을 내리려고 하고 이번 주에 TEPS 시험도 앞두고 있습니다.
제 고민 읽어주시고 위의 질문 이외에도 좋은 말씀 해주시고 싶은 선배님들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김GPT 2 11 45376
데이터 사이언스 vs 산업공학 김GPT 0 4 7273-
4 7 10780 -
0 2 2214 -
2 19 13652 -
3 8 8662 -
5 6 8421 -
0 9 12226 -
1 12 14269 -
214 34 26920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49 34 99560-
219 30 7979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30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4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4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9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13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연구과제 중단
5 - 난 그냥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었던 것 뿐인데
7 - CS분야 상위권 교수 임용, 커트라인이 오르고 있습니다.
5 - 대학원에서 연구 performance 발동 가능한 학점
1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2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30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4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4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9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13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연구과제 중단
5 - 난 그냥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었던 것 뿐인데
7 - CS분야 상위권 교수 임용, 커트라인이 오르고 있습니다.
5 - 대학원에서 연구 performance 발동 가능한 학점
1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2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2.24
대댓글 1개
2023.02.26
대댓글 1개
2023.02.27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