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야 말 참 예쁘게 한다
인턴 지원자가 우리 연구실 논문을 싹 읽어왔네요
50
- 그 어떤 학과던지 한국은 spk/yk가 압도적이죠. 아주 마이너한 학과나 분야 빼면.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ist 중 하나인데 저 숫자는 아닌거 같은데 가까운데만 봐도 저 숫자 보다는 많음.
개인적으로는 생각 하는 이유는 비전 하는 사람 인원수가 아예 다를거임.
ai 신생랩이 더 많은거 같아서 인원수가 적은 느낌임
ai에서 비전이 메이저 같아 보이지만 nlp랑 vision 합쳐도 전체 파이의 20프로임. 비전 외에 다른 류의 ai를 연구 하는 연구실이 많은거 같음. 다학제학문에 응용하는 연구나 코어 한 연구를 할수도 있음.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학생들에게 일부러 받을 돈 보다 많이 주고 그걸 다시 돌려 받아서.. 공금으로 쓴거면 다들 그러지 않나?? 특히 공식 처리 어려운 공금이 필요할 때도 있으니.. 그냥 운영의 묘 아닌가? 개인 착복도 아니고
KAIST 교수가 직전 근무 대학서 학생에게 연구실 운영비 걷어
18
- 성한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는 건, 학교 구조와 인식 상 어쩔 수 없고 약간... 학풍 (?) 비슷합니다.
일단 학교가 사립인데, 포공처럼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이 쩌는 것도 아니고~
수도권에서는 서연고에 굵직굵직한 연구비 수주에 있어 밀리다 보니,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되죠.
교수 입장에서도 학교 차원에서 지원이 약하니, 대학원생들 먹여살리려면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따라 다르지만, 목적이 논문인 학술 연구와는 달리 프로젝트는 그 목적이 좋은 논문이 아닌 경우가 많기에... 논문 쓰기에는 불안정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이건 프로젝트 by 프로젝트 이긴 합니다...)
성한 대학원 가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나요??
16
인생을 돌아보며...
2023.01.25
23
1519

그래도 혹시라도 만약에 저랑 비슷한 경험이나 비슷한 고민을 가져보신 분이 계시다면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제 인생을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모자란것 없이 좋은 환경에서 자란 남들이 말하는 금수저입니다.
사립초등학교를 나오고, 중학교를 다니다가 미국 사립 기숙학교로 유학가고, 군대도 다녀오고, 미국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실 23년 전기를 지원했다가 불합격해서 제가 옳게 산것인가 싶은 생각이 요즘 크게 들었습니다.
초중학교는 평범하게 지냈다고 할 수 있지만, 제 인생이 급변하게 된건 미국으로 유학을 가면서부터 인거 같습니다.
사실 유학에는 별 뜻이 없었는데, 제 주변 친구들, 저희 집안사람 모두, 그리고 부모님들의 주변인들이나 주변인들의 자제분들 대부분이 미국에서 유학을 했거나 하고 있는 사람들이라서 당연히 가야한다고 생각해서 너무 간단하게 결정하고, 지금 생각해보면 경솔했다라고도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미국에서 고등학교는 재밌었습니다. 추억도 너무 많고, 얻은 것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성적은 그렇게 뛰어나지 않지만, 그래도 엄청나게 좋은 대학은 아니지만 그래도 좋은 대학교에 수학과로 진학을 했습니다.
그렇게 대학생활을 보내고, 군대도 다녀오고, 졸업을 했습니다. 성적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총 GPA는 평균이지만 전공 GPA는 높은 이상한 성적으로 졸업을 했습니다. 돌이켜보니까 저는 고등학교, 대학교 생활을 그냥 적당히 하고, 망하지 않게만 보내야겠다라는 마인드로 보냈던거 같습니다. 그래도 재밌게 지냈고, 사고 안치고, 공부도 열심히 하면서 지냈습니다.
졸업을 한 후, 한국 대학원으로 진학을 결정하고 resume를 쓰는데 쓸게 없다는걸 느겼습니다. 대학원 카페를 가보니 모두들 연구경험, 공모전 경험이나 논문에 이름을 올린 분들이 대부분인데 저는 하나도 없더라고요. 그래서 급하게 인턴을 알아보았고, 운 좋게도 컨설팅 펌에서 한달동안 인턴을 하게 되었습니다.
많이들 왜 한국으로 가냐, 미국에 있는게 이득이다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으로 돌아오고 싶었던 가장 큰 이유는 사실 남들이 말려서 입니다. 부모님이나 가족들은 말리지 않았지만, 제 친구들은 다 말렸거든요. 미국에서 나오는게 더 확실한 방법인데 왜 돌아가냐가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저는 제 인생의 끝은 한국이라고 못을 박아놨고, 사실 미국이라는 나라가 싫어지기 한것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싫어하는 나라에서보다 제가 좋아하는 나라에서 성공할 자신이 있었고, 제 친구들이 틀렸다고 증명하고 싶었습니다.
인턴이 끝나고, 사실 안일한 마음에 연세대 응용통계대학원만 준비를 했습니다. 전 당연히 붙을 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결과는 처참했습니다.
서류마저 통과를 못한겁니다. 결과가 나오고 한달동안은 좀 심하게 망가져있었습니다. 인생이 부정당한 느낌이었습니다.
어디가서 빼어나지는 못하지만 꿇리지는 않는 스펙이라 생각했고, 양보다는 질이 좋은 스펙이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최근 좀 괜찮아지고 생각해보니까 그냥 저는 세상물정 하나도 모르는, 자기객관화가 안되어있던 애새끼더라구요.
하루동안 제 인생을 돌아봤는데, 좀 처참한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대학교 성적을 제외하고는 제 노력으로 제가 간절해서 얻은건 없었습니다.
초등학교, 중학교를 제외하고는 부모님의 노력으로 된것이었습니다. 고등학교도 부모님이 다 알아보시고, 돈쓰셔서 유학원 구하고, 학원보내고 시험보게해서 고등학교 보내고,
고등학교 성적은 모두 방학에 부모님이 보내주신 학원에서 선행하면서 만들어진 것이고,
SAT도 마찬가지로 그 비싼 학원 보내면서 만든 점수였습니다.
대학교도 저희 아버지가 나온 학교로 갔구요(legacy로 붙었다는게 제 정설입니다.)
흔히 친구들과 하는 말이 저희는 년에 1억을 투자받지만, 원금회수도 안될수 있는 회사랑 같다고요.
제 총 유학기간은 8년입니다. 그말은 즉, 전 8억을 투자받았지만, 원금회수도 안될 수 있다는 소리죠.
위에서 추억이 많다고 했지만, 그 추억은 돈이 안된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제 친구들과 비교를 시작했죠
어떤친구는 아마존에서 일하고, 어떤 친구는 한국 대기업에서 일하고, 어떤친구는 치대를 갔으면 어떤친구는 사업을 하고있더라고요.
네. 너무 뒤쳐진겁니다. 고작 인생업적이라곤 지금 대학교 졸업장, 그냥 서류상 한줄짜리 입니다.
추억은 서류에 쓸 곳이 없습니다. 저만 알고 있는거더라고요.
남들보다 빼어난 것을 고르라고 하면 영어실력, 그리고 그 다음을 말하려는데 생각이 안나더라고요.
자존감이라는 말에 기대는 것을 싫어하면서 자존감이 무엇인지 이해못했었는데, 자존감이 무엇인지, 자존감이 낮은 상태가 무엇인지 바로 알겠더라고요.
친구들 사이에서도 탱커역할이고, 한국에서 살고싶다면서 한국말도 완벽하지 않고(읽으시다보면 느끼셨겠지만 제 글쓰기 능력은 최악입니다...) 무엇보다 주변인들보다 뒤쳐졌다는 것이 제 8년 유학, 그리고 25년의 인생에서 남들보다 잘한게, 잘난게 무엇인지 모르게 만들었습니다.
그래도 떳떳하게 살았습니다. 사고 안치고, 인맥 사용 안하고 (아버지 출신 대학교로 간게 인맥이라고 하면 변명은 없습니다...) 착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착하다는 말이 그래도 어린 나이가 아니게 되어서는 그렇게 좋지 않게 느껴집니다.
원래 성격이 남한테 쓴소리 잘 못하고, 트러블을 피하기 위해서 제가 희생하는게 맘편한 성격인데, 요즘들어 착하다는 말이 만만하다는 말이랑 같은거 같습니다. 그냥 쟤는 생각이 없다라고까지 들리기도 하고요. 그냥 제가 좀 틀어진거 같습니다.
이상 제 인생이구요...
이번에 후기는 제대로 준비해서 지원하려는데 만약 이번에도 잘 안풀리면 모르겠습니다. 취업 시장에 뛰어들기도 졸업하고 1년 공백을 설명하기가 애매하고 그렇다고 계속 대학원을 지원하기도 집안 눈치가 보이고... 그렇다고 이런 고민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털어놓기는 너무 비참할거같아서 그나마 익명을 빌려서 적습니다. 다시 통계공부나 하러 가야겠습니다ㅠ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독성, 문법에 문제가 많은데 고생하셨습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BEST
박사 따고 변리사.. 어떤가요0
29
1991
-
4
22
2231
-
46
19
8305
BEST
타대생 차별때문에 힘듭니다14
31
3354
-
3
40
6941
-
18
18
3149
-
84
40
29378
-
49
15
23004
명예의전당
학계를 떠나며85
19
36210
-
111
35
43426
-
63
60
70557
고전인기
아니다 싶으면 주저하지 마세요122
26
4394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3
27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17
- 인생을 돌아보며...
10
23
-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6
18
- 제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1
17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1.25
대댓글 1개
2023.01.26
대댓글 2개
2023.01.26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