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3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30 - 난 주말에 연구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강제하는건 문제가 있을듯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5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3 - 아니 누가 쉬지 말랬나요? 주말에 공부도 안 하고 꼬박꼬박 쉬는 애들은 애초에 학문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거지요. 도피성 진학해서 주말마다 노는 애들 괜히 찔려서 튀어나오네.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중딩급 능력의 박사생은 봤습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5 - 석사가 논문 1편써도 대단 or 믿을까 말까인데 5~6편인데다가 대학도 그리 높지않다면 120% 교수가썼다고 생각할거같네요
석사는 논문보다 학벌이 중요한가요?
10 - 그냥 학계가 회사에비해 힘을 못쓰고있으니까 accept을 줄여서 퀄리티를 높이는것을 포기하고 아예 늘려버려서 돈이나 벌자는 식으로 귀결된거임 걍 수업한번들은 학부생이 대충 베이스라인논문 베끼면 통과하는수준
ACL EMNLP 를 포함한 전반적인 자연어 논문들 퀄리티가 많이 내려간 것 같네요?
11 - 원래 교수라는 것이 다 그런거니까, 이해해줄 수 없나요?
교수도 사람이고 감정이 있습니다.ㅎㅎㅎ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9 - 어이 김씨 헛소리 그만하고 잠이나 자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18 - 요약하면 노력도 준비도 안해놓고 바라는 건 많다네요... 보통 눈 앞에 있는 거 치우기도 힘들어서 딴 거 신경 쓸 시간이 없을텐데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12 - 글을 읽을 줄은 아시나요?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9
학교 실험실과 정출연의 차이점 (지극히 주관적임, 반박시 제가 틀림)
2022.05.17

전 약 1년간 대학교 실험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하고
지금은 정출연에서 석사과정중에 있습니다.
역시 두 실험실은 비슷하면서도 정말 다른 느낌입니다.
1. 호칭
대학교의 박사님들은 대부분 교수님이라고 칭합니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모두 박사님이라고 부르더군요.
처음에는 적응하기 어려웠지만 뭐 적응하니까 오히려 편했습니다.
박사님, 연구원님(박사과정 or 석사 or 석사과정), 선생님(행정직원)
2. 실험실
대학교 실험실은 각 교수별 개인 실험실이 나눠져 있습니다.
따라서 한 팀이 한 실험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연구소는 (제가 있는곳만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각 섹션별 공동연구실이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분야 다른 전공의 사람들이 한 연구소에 있고 각자 개인 실험 테이블을 가지죠
따라서 서로 한 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토의가 가능하고 새로운 생각을 하기 쉽다고 느꼈습니다.
3. 인맥
대학교에 있을 때는 수업 외에 다른 교수님과 만나는 일이 정말 적었습니다.
하지만 연구소에서는 많은 박사님들이 서로 공동연구를 진행하시고 실제로 랩미팅을 할 때 다른 박사님들이 참여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연구소는 정말 다양한 기관과 연계되어있어 인맥이 일주일만에 대폭 늘어납니다.
음... 쓰다보니 연구소의 장점만 적은거 같네요...
아니 뭐 아직 석사과정 나부랭이이지만 궁금하거나 이건 학교 실험실이 더 좋다하는 것도 남겨주세요!
아 연구소는 장학금이 없네요...ㅠㅜ
정출연 vs 국립지집대 교수 김GPT 15 43 20938
연구실 고를 때 반드시 걸러야 할것 김GPT 30 12 10314
사기업 연구소 vs 인서울 공대 교수 김GPT 7 29 11644
연구소 근무 학연과정 김GPT 0 6 4308-
2 3 4665 -
21 3 4804 -
3 19 8491
정출연 학연과정 vs 일반대학원 김GPT 1 9 16107
학부연구생 고민.. 김GPT 1 6 3253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274 34 58810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명예의전당 252 40 63520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77 13 1641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14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0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58 - 학부생 스펙 이정도면 카이스트나 서울대 AI대학원 가능할까요?
5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7 - 현재 석박사님들이 생각하기에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14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0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58 - 학부생 스펙 이정도면 카이스트나 서울대 AI대학원 가능할까요?
5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7 - 현재 석박사님들이 생각하기에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05.18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