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아키 관심있어서 관련 분야 연구를 하고 싶은 학부생입니다. 원래 CPU 설계 같은 것을 하고 싶었지만 전통적인 컴아키(CPU, GPU)는 지금 많이 고여있다고 하여 고민하던 차에 AI 가속기 분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LLM 같은 AI 분야가 요즘 대학원 입시나 연구 실적 등에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AI 가속기 분야도 마찬가지로 경쟁이 많이 치열한 지가 궁금합니다.
또한 제가 컴퓨터과 쪽에 있어서 전자공학적 지식이 없고 관련 과목으로는 OS와 컴아키 정도만 들은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컴아키 분야 연구를 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관련 분야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 않아 질문 수준이 낮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제가 공부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시면 어떤 분야에 대해 공부를 해야 할 지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6.20
ai가속기 연구하고 있는데요, 이쪽도 굉장히 핫한건 맞습니다. 근데 대신에 최근 컴아키 탑컨퍼들에 ai 가속기 세션이 굉장히 많고 그쪽으로 논문 많이 받기도 하고 특히 국내 연구실에서도 탑컨퍼에 많이들 내셔요. 그만큼 한국에서 경쟁력 있는 연구실도 많고, 충분히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전자과출신이긴 한데, 이 분야가 전자과랑 컴퓨터과 딱 사이에 걸쳐있는 느낌이라 컴퓨터과여도 상관없으실겁니다. 오히려 저는 컴퓨터과가 이쪽으로 더 유리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종종하긴 합니다. 컴구랑 os 들으셨으면 분야 학습하는데에는 큰 문제 없을것 같고, 조금 더 큰 관점으로 보시려면 디지털 회로나 시스템 디자인 과목이나 컴파일러, 인공지능 과목들 좀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요즘에는 어느 한 레벨만 보고 디자인하기보다는 전체적인 레벨을 보고 디자인하는게 중요해서요
대댓글 5개
2025.06.20
컴파일러와 인공지능이 다음 학기에 있네요. 꼭 들어보겠습니다. 디지털 회로는 전자과에 가서 들어야 하는데 이건 전자과의 기초적인 지식이 없어도 괜찮을까요?
2025.06.20
논리회로같은거 들으셨으면 디지털회로설계과목 들으실 수 있을거예요. 그렇게 어렵진 않아요. 원래 컴아키 연구가 기존 마이크로아키텍쳐에선 고일대로 고여서 연구하기 쉽지않았는데 요즘엔 ai가 나와서 할게 그나마 좀 생겼습니다. 근데 결국 fundamental한 부분은 기존 컴아키 연구들이랑 크게 다르진 않다고 보시면 되요
2025.06.20
감사합니다
제가 학부생이라 대학원 입시를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 이 분야도 요즘 SPK 기준 LLM이나 NLP 같이 AI 중심인 랩들이 빡센 것 만큼 박터지나요?
2025.06.20
컴아키쪽이나 전자과 디지털회로 다루는 연구실중에서 이 분야가 핫하고 들어가기 빡센거같긴 합니다. 저도 상위대학에 컨택많이했었는데 정말 자대생 위주로 많이 받으시고 저희 자대에서도 들어오려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컨택하기 빡셌어요.
2025.06.21
아... 자대 위주로 알아보는게 좋겠군요 ㅜㅜ
2025.06.20
>> 수리물리, 전자기학, 열물리, 양자역학, 고체물리 <<
컴공쪽이시면 협업의 형태로 필수적이지 않을 수도 있는데, 해당 하드웨어 쪽에서는 기초이므로 준비하시면 큰 강점이 될 겁니다.
대댓글 3개
2025.06.20
근데 현실적으로 많이 힘듭니다. 수리물리, 전자기학 정도만 해도 박수 나오죠. 컴공과시면...
2025.06.21
전부 전자과 내지는 물리학과 쪽에 개설되어 있는 과목들이라 수강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ㅜㅜ 말씀해주신 두 과목은 수강을 고려해보겠습니다!
2025.06.21
수리물리는 역학, 전자기학은 자연 현상 쪽에 초점이 많이 맞춰져 있어서, 해당 전공에서 이들을 마스터할 필요성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수강신청해서 들으면 최고기야 하겠으나, 본업 유지하며 병행하기에는 정말 힘듭니다. 그리고 저도 비추천드리고요. 개인적으로 인강이라든지 유튜브 강의라든지 capacity 같은 핵심적인 부분만 캐치해내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ai가속기중 하드웨어와 굉장히 거리가 먼 파트를 수행하는 분들도 적지 않을텐데, 이 경우 위 학문들은 정말 의미가 적을 수 있겠습니다. 무슨 일을 하고 싶은지, 어느 학교의 어느 랩이 가고 싶은지를 먼저 타겟팅하고 결정하시길.
2025.06.20
대댓글 5개
2025.06.20
2025.06.20
2025.06.20
2025.06.20
2025.06.21
2025.06.20
대댓글 3개
2025.06.20
2025.06.21
2025.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