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설 카 연 포 고 순서
23 - 그러니깐 돈 없으면 처음부터 오지 말라고 하는데 왜 오냐구요
15 -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요인, 이를테면 나이, 성별, 국적, 인종 등으로 타인을 판단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물론 특정 집단을 겪은 경험에 기반해서 어느정도 스테레오 타입을 가질수 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 타입을 밖으로 표출하거나, 입시나 면접 등에서 불이익을 주거나 하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해야만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동양인을 많이 겪어봤는데 영 별로라서 동양인 신입생은 안받으면 좋겠다' 와 비슷한 말인데, 저런 말을 대놓고 하면 당장 인종차별로 난리가 나겠죠.
실리적으로 생각할 때, 교수님이 만약 저런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나이 많은 학생들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믿으시는 편이라면 화내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분위기를 흐린다, 라고 하지는 마시고, 특정 인물과 그의 행동을 지정하면서 연구실 분위기에 악영향이 있다고 하시면 교수님께서 적당히 개입하실 수도 있겠네요.
46 - 그짝?
14 - 대학원 입학하셔도 됩니다. 아무도 신경 안써요
12 - 한 두명이 아니라 올해도 그 전년도도 석사 신입생이 전부 30살 근처이거나 넘어가는 학생들이에요ㅠ 제대로 연구할 능력있고 의욕있는 사람은 다 빠지고 저런 사람들만 받으니 연구실 분위기 엄청 안 좋은데 교수님만 몰라요ㅜ
17 - 아이디어는 누구나 내고 중요한건 실제로 연구 성과를 내는거죠. 아이디어 뺏기는게 싫으시면 오히려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같이 낸 성과로 만드세요
17 - 이딴 ㅂㅅ같은 소리하는 도둑놈들이 많으니깐 우리나라 연구실에서 연구하기 ㅈㄴ싫음. 당신 같은 사람 때문에 한국 연구문화가 쓰레기 소리 듣는 거에요
22 - 뭐어쩌라는건지... 이사람이 공인도 아니고 그냥 일반 학생인데
18 - 이정도면 정성이면 믿어줘야지, 최소한 이상한놈은 거르는게 모두의 인생에 좋지 않나요?? 일단 머리속에 기억은 해두겠습니다
13
직장 생활 후 서울에 대한 인식 변화
너그러운 박경리*
2021.09.19
난 수도권 토박이로 30년을 살다가, 지방 광역시 내려와서 산지는 얼마 안됐다.
내가 돈이 없어서 대학-대학원생 때 수도권에서 살 땐 반지하, 하숙 등 안 해본 게 없이 산 것 같음.
그래도 서울에 살 땐, 술집이 많다는 것, 그 술집에 불러낼 친구들이 언제나 옆에 있다는 것 그게 참 좋았어.
그런데 직장 잡고 친구들 결혼 하기 시작하면 상황이 좀 바뀐다.
일단 친구들을 만나는 게 예전처럼 쉽지 않아. 솔로는 점차 독고다이 인생이 되가는거야.
그리고 남자는 집 장만의 압박에 시달리는데, 대학원생 따위로 생활하면서 무슨 돈을 모앗겟냐.
요즘 왠만한 서울 아파트는 조금 신축이다만 싶어도 10억은 넘는다.
집에서 도와주지 않는 이상 서울에서 (용역을 많이 따오는) sky급 명문대 공대 교수 가 아닌 이상 평생 집 못 사.
자연대 노. 인문대 노. 경제학과 노.
가난해도 젊기만 하면 빛난다는 말이 있듯, 20대쯤엔 돈없고 집없어도 사람들이 뭐라 안하고 본인도 ok.
그러다가 30(35?)정도 넘어가면 갑자기 급격한 위기감이 몰려온다.
그리고 점점 술집 많은 데 근처 사는것보다 결혼하면 공원, 마트 학교 근처, 학원가 이런 데를 찾게 돼.
요약: 돈이 많으면 서울 살아라. 돈이 없어도 부자 마누라(혹은 남편)을 만날 자신 있으면 ok. 아니면 서울 살면 그지꼴을 못 면한다.
내가 돈이 없어서 대학-대학원생 때 수도권에서 살 땐 반지하, 하숙 등 안 해본 게 없이 산 것 같음.
그래도 서울에 살 땐, 술집이 많다는 것, 그 술집에 불러낼 친구들이 언제나 옆에 있다는 것 그게 참 좋았어.
그런데 직장 잡고 친구들 결혼 하기 시작하면 상황이 좀 바뀐다.
일단 친구들을 만나는 게 예전처럼 쉽지 않아. 솔로는 점차 독고다이 인생이 되가는거야.
그리고 남자는 집 장만의 압박에 시달리는데, 대학원생 따위로 생활하면서 무슨 돈을 모앗겟냐.
요즘 왠만한 서울 아파트는 조금 신축이다만 싶어도 10억은 넘는다.
집에서 도와주지 않는 이상 서울에서 (용역을 많이 따오는) sky급 명문대 공대 교수 가 아닌 이상 평생 집 못 사.
자연대 노. 인문대 노. 경제학과 노.
가난해도 젊기만 하면 빛난다는 말이 있듯, 20대쯤엔 돈없고 집없어도 사람들이 뭐라 안하고 본인도 ok.
그러다가 30(35?)정도 넘어가면 갑자기 급격한 위기감이 몰려온다.
그리고 점점 술집 많은 데 근처 사는것보다 결혼하면 공원, 마트 학교 근처, 학원가 이런 데를 찾게 돼.
요약: 돈이 많으면 서울 살아라. 돈이 없어도 부자 마누라(혹은 남편)을 만날 자신 있으면 ok. 아니면 서울 살면 그지꼴을 못 면한다.
-
52 47 51347
지방 거주하면서 서울 부동산 재테크 김GPT 1 4 1670-
33 18 42854
취업 후 고민 김GPT 0 1 1039
석사 졸업을 앞두고서.., 김GPT 8 5 4486
지방대 졸업 이후 고민 김GPT 1 6 930
석사 자퇴 후 취업 김GPT 0 0 1344
확실히 서울맛이 좋긴 좋나봄 김GPT 10 26 3573
서울로망ㅠㅠ 김GPT 3 12 6557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71 18 30510-
361 68 44952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282 93 8071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09.19
2021.09.19
대댓글 1개
2021.09.19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