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1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7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4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펌] 서포카SPK 합격 조건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알콩달콩■
2019.12.03

다음카페 대학원입학준비위원회에 올라온 게시글을 퍼왔어요.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내용들이라서 흥미롭게 읽었어요. 대학원 준비하는 분들 우리 모두 힘내봐요!! 딱히 서열 조장하는 글은 아니라는 점은 읽어보셔도 알겠지만 미리 말씀드릴께요! -------------------------------------------------------------------------- 유투버 중에 동빈나 라는 분이 올린 동영상 중에 SKP 입학에 대한 동영상이 있었습니다. 포스텍 재학 중인 저는 이 동영상이 꽤나 알려주지 않는 팩트를 담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번 가족 모임에서 서울대와 카이스트에 재학 중인 사촌들에게 물어봤더니 심심치 않은 공감을 표하더라고요. 대학원 준비하시는 분들은 이 동영상 한번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Eax89eTTNk 안보신 분들을 위한 간단 요약과 제 의견을 사족 달아봤습니다. 0. 컨택하자. 대학원은 학교보다 연구실이다. 명문대 대학원은 학부간판/학점/스펙/컨택(카이스트 등 예외) SKP는 컨택의 파워가 그 외 대학원보다는 약한편이다. 달리 말하면 골고루 중요하다는 말? 그 외 대학원은 학부간판/학점 부족해도 컨택으로도 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나는 실력이 된다 = 학부 학벌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1. 학점 컷은 실존한다. 그냥 암묵적이지도 않습니다. 대놓고 학점 나쁘면 서류에서 탈락합니다. 제 주변과 친척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카이스트 : 연고한성서 3점중후, 중경외시 4점내외, 그 외 인서울 및 지거국 4점위 서울대 : 연고한성서 3점초중, 중경외시 3점중반, 그 외 인서울 및 지거국 4점내외 포항공대 : 연고한성서 3점중반, 중경외시 3점중후, 그 외 인서울 및 지거국 4점 이 정도에 형성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지방 사립대 출신인 동기도 있는데 학점이 4.5 수석졸업이었습니다. 당연하지만 언급한 학점보다 밑인 분들도 있습니다. 서류 평가는 학점만으로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외국인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데이터입니다.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리하자면 조금 더 좋은 환경의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다 = 학점 관리 잘하자 2. 영어는 잘하면 무조건 좋다. 영어 성적 제출은 명문대 대학원인 경우 강제되는 경우가 꽤나 있습니다. 없더라도 졸업조건에 있을테니 입학 때부터 웬만하면 졸업요건에 해당하는 영어성적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학 성적 제출은 보통 학교에서 기준삼은 컷 이상이면 문제 없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어학 성적보다 중요한건 영어로 회화가 되는지, 원문을 잘 읽을 수 있는지, 논문을 쓸 수 있는지 입니다. 서울대가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TEPS가 토익과는 좀 달라서 방심하면 토익 800~900이 어도 뉴텝스 300중반 넘는게 힘이 들 수 있습니다. 영어는 2~3학년 때 미리 성적을 만들어 놓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영어잘하면 기회도 더 많고 교수님도 좋아하십니다 ㅎㅎ 정리하자면 영어 성적은 요구하는 기준은 넘기자. 그리고 더 중요한건 영어를 말하고 쓰는 능력. 3. 그 외 스펙 대회, 공모전, 대외활동, 인턴, 등등 다양한 것들이 있겠습니다. 가장 추천드리는 것은 연구 참여입니다. 결국 대학원은 연구하고 실적을 내는 공간이기 때문에 연구실 돌아가는 흐름을 알고 있으면 적응이 더 빠르기 마련입니다. 2학년은 아는게 없어서 힘들 수 있고 3학년과 4학년 때 연구 참여 프로그램들을 통해 연구인턴 경험을 늘려가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단하진 않더라도 실적을 만들어보는 것도 의미 있고요. 진학하고자하는 연구실 분야와 교집합이 있다면 더욱이 좋겠네요! 정리하자면 학점과 영어 이외의 스펙은 본인 하기 나름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연구 인턴이 가장 좋은 것 같다. |
SPK 대학원 입학 난이도 김GPT 40 29 30574-
42 13 13946
spk서열 정리해준다 김GPT 20 14 7104
서카포 카르텔 김GPT 7 5 11767-
4 12 14175 -
26 11 7078
아래 spk 대학원 줄세우기 글 김GPT 16 2 3417-
4 11 6639 -
0 2 9070 -
151 26 40307 -
258 25 28332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19 4 4006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19.12.03
2019.12.03
201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