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외국인도 시켜라 행정일 다 짬맞고 개인 연구도 못하는데 랩실 외국인들 장학금 신청은 첫 번째로 제출하더라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1 - 선긋는 정상적인 어른이라 님이 좋아할 가치가 있는 사람인거죠. 그거 사제지간인데, 헤벌쭉 하고 받아주는 천지분간 못하는 인간이면 님이 눈알을 빼서 씻고 다시 넣고 봐야되여. 좋아할 가치가 없는 종자임.
맘껏 좋아하세여. 어릴 땐 그래두 되여~ 어른이 알아서 단도리 해야 함.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6 - 다 지랄이네
지피티한테 번역해줘 하면 얼마나 편한데
언제 영어로 읽고 자빠짐?
영어는 따로 시간내서 공부보다는
영어가 뇌에서 언어적 자동화가 되게
훈련하세요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12 - 이미 연애 중이시잖아요
.
.
.
연구랑
석박하면서 연애 가능?
9 - 엄청난 성과이고 그 자체로 향후에 분야 커뮤니티에서 지속적으로 주목받을겁니다. 그러나 그 뒤에 본인의 실력으로 꾸준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면 지도교수빨 일회성이었구나 하고 잊혀질겁니다. 아무튼 부담스럽지만 대단히 좋은 스타트입니다.
네이처 사이언스 1저자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13 - 교수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과제계획서 마저 쓰세요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9 - 네 존나 대단하시네요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0 - 그니까 지금 학부생이신거죠? 그리고 본인은 k 출신인데 학벌 후려쳐지는 것 같아서 기분나쁜데, 대학원은 학벌은 또 서열화하는게 기분나쁘다는 건가요...?
대학원 진학해보시면 학부가 별로 안중요하다는게 무슨 말이신지 알 겁니다. 연구 잘하는 척도는 일반적으로 학부 서열 순도 아니고 학부에서 얼마나 잘 했는지도 아닙니다. 그냥 연구 그리고 대학원이라는 환경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에 대한 문제인거죠. 일반적으로 좋은 학교 나왔다고 꼭 연구실 에이스가 되지는 않습니다. 좋은 학교나오고 똑똑하면 잘 할 확률이 높긴 하겠죠. 하지만 이 당연한걸 겪어보시지 않았으니까 다른 분들이 하시는 말이 와 닿지 않는거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중간에 k 가는 사람들의 풀이 어떻고... 그 사람들이 어떤 교육을 받고.. 이런걸 말하는 게 굉장히 편협한 사고를 가진 것 같아 보이네요. 본인도 다른 사람의 환경을 겪어보지 못했으면서 쉽게 판단하려는 것 같습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31 - 원래 사람은 가장 자신 있는 것으로 본인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은 본인 '연구 실적'으로 얘기하고,
그게 없으면 그 다음은 학벌이죠.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0 - 연구를 해보고나서 논문실적으로 보여주세요
저는 일반고 졸업, 수능 상위 0%대 출신이고 박사졸업한지 좀 된 사람인데, K 자부심이 넘쳐 보이네요. 대학원은 결국 실력, 실적으로 얘기하는건데 내세울게 SPK밖에 없는 사람이 되지 않길 바랍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1 - 시진핑 고아해봐
중국인 욕하는 사람들 보면....
9 - 과고/서울대 나와서 서울소재 모 대학 수업하는 입장에서 보면, 서카포랑 인서울만 해도 커리큘럼 수준이나 학생들 학구열 면에서 꽤 큰 격차가 있는건 사실임.
그래도 연구능력으로 옥석을 가리면 서카포 아니더라도 옥이 제법 있음. 서카포에도 돌이 상당히 섞여있고.
까놓고말해서 서울대카이스트 다녀보면.. 부자부모 만나서 큰돈써가며 억지로 공부해서 좋은 대학 오긴 왔는데 사실 자연과학/공학엔 별 관심/재능 없고 의대 못간게 컴플렉스고 졸업하고 뭐할지 모르겠는 어벙이들 널렸지. 훌륭한 학생도 많지만.
어차피 박사는 하나를 오래 파고드는 게임이라서, 초기격차보다 비전과 성실함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함.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9 - 첨언으로, 아마 제가 글쓴이 분보다는 나이가 더 많을 것 같은데, 또 세상을 살아보니 날카롭게 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혹시 남보다 더 뛰어난 점이 있으시더라도 너무 내세우지 말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며 주변 사람들과 둥글둥글 지내는 법을 배우신다면 더 좋은 연구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9
안녕하세요. 대학원 진학에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2019.11.22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중하위권 전기공학부에 2020 졸업예정인 한 학생입니다.
제 나이는 26이고 군대를 다녀왔습니다.
원래 전문대를 다니다가, 편입준비를하여 편입을하게되었고.
편입후에 낯선 4년제 학부생활과 벅찬 전공학점 이수를 하다보니
변변찮은 스펙이 없습니다. 학점도 3.3~3.4정도로 낮은편이고요.
취업시장에 빵빵한 스펙을 가진 수많은 학우분들을 보고 자신감이 떨어졌지만,
내년에 열심히 스펙을 쌓고 취업준비를 하여 취업후에
일을 하다가 기술사자격증을 취득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졸업만을 향해 달려왔습니다.
하지만 취업시장에 들어가는 현실에 앞서 상당히 막막하고 어두운 미래만 보이더군요.
현재 취업시장은 모두가 알다시피 상당히 안좋은상태입니다.
나름 열심히 살아왔지만 저의 발자취는 문서로 남는 그러한것이 매우 적었고
상대적인 인간으로서의 열세도 많이느껴 부끄럽지만 두려움이 앞서더군요.
그러다보니 이런저런 미래에대한 생각을 하다가, 대학원도 하나의 길이라는 사실을
수긍하고 진지하게 고려해보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편입하여 전기공학부에 다니지만 원래 하고싶었던 분야는 임베디드 제어 혹은
설계쪽 직무를 보고싶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상당히 암울한 분야라고 주변의 만류로
내려놓긴하였지만, 내심 언젠가는 한번 제대로 해보고싶다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그냥 취업을 하게되면 저러한 분야쪽을 가기는 상당히 어렵고요..
이렇게 여러가지 생각들을 정리하다 보니 제가 선택할수 있는 선택지가 보이더군요.
----------------------------------------------------------------------------------------------------------------------
현시점에서의 분기는.
1. 취업준비에서 도망치지말고 1년정도는 열심히 준비해보다가 안되면 대학원으로 도피.
2. 지금부터 대학원을 준비해서 원래하고싶었던 분야를 모색.
3. 일본쪽 해외대학원 석사를 준비할것인지, 국내 대학원을 준비할것인지. 결정하고 대학원 준비.
-> 이과정에서 고려되는 문제점 :
-1 . 내가 대학원에 들어갈 능력이 되어 선발되어 입학할수 있을까? ( 대학입시처럼 어려운가..? )
-2. 대학원 진학시에 관심있는 분야, 스마트그리드or 임베디드 or 전기설계 이러한쪽 분야에대한
선택기준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3. 저러한 분야의 대학원 진학시에 발생하는 허들의 높이는 어느정도인가?
-4. 저러한 분야(상대적으로 국내에서 암울하다고 평가되는 )의 석사과정을 밟을시에 그 분야에 대 해 취업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가?
-5. 취업준비를 하다가 실패하여 대학원을 진학시에 내 나이는 27살정도가 되는데 그때 대학원에
선발되어 입학 할 수 있는가?
-6 상대적으로 스펙이 떨어지는 나같은 학생도 학비지원 및 생활비 지원을 어느정도 받을수 있는 가?
제마음은 일단 취업준비를 1년정도하며 여러가지 각종스펙을 쌓아보고, 상황에맞춰 진학을 하고싶은쪽으로 기울고있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이 가능할지도 고민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에대해 단순히 저혼자 고민하기보다는 김박사넷 여러분의 조언을 받고싶어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지극히 주관적이고 , 가볍게 만약 나였으면 어떻게했다. 이러한등의 조언을 받고싶습니다.
질문전체에대한 답변이아니여도 일부 그냥 생각을 자유롭게 서술하여 조언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고 제 인생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날씨가 점점 쌀쌀해지는데 모두 감기조심하시고 행복하세요.
대학원 신생랩 고민 김GPT 10 11 11675
박사 진학관련 김GPT 2 29 3733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0 13 5917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이 있습니다. 김GPT 0 2 2107
대학원 진학관련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김GPT 0 8 8161
학부생 진로 고민.. 김GPT 0 2 1638-
0 14 1724
대학원 고민중입니다. 김GPT 1 15 2373
고민이 너무 많아 힘드네요 김GPT 3 5 3992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93 18 41678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19 4 41708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 명예의전당 312 24 6249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30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4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7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9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14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연구과제 중단
5 - 난 그냥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었던 것 뿐인데
8 - CS분야 상위권 교수 임용, 커트라인이 오르고 있습니다.
5 - 대학원에서 연구 performance 발동 가능한 학점
1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2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30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4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7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9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14 -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연구과제 중단
5 - 난 그냥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었던 것 뿐인데
8 - CS분야 상위권 교수 임용, 커트라인이 오르고 있습니다.
5 - 대학원에서 연구 performance 발동 가능한 학점
1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2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