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0 - 맞습니다 people에게 easy하고 happy하게 deliver하는 ability는 human이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3 - Top 20-30이면 닥미국이죠
SNU vs 미국 TOP20-30 direct PhD
9 - 이게 질문이라고 올리는건가 ㅋㅋㅋ 당연히 미박이죠
SNU vs 미국 TOP20-30 direct PhD
8 - 저는 순수과학 자연계열인데 석사 때부터 sci급 쓰겠다고 달려들었고, 석사 졸업논문을 기반으로 sci 3편 억셉에 올해 추가로 3편 리뷰 중인 사람입니다...
맞는 말 하셨습니다. 물론, 대신 저는 후배들이 쉴거 다 쉬고 잘하면 전 아무 터치도 안했습니다. 근데... 평일에 나와서 하는걸로는 택도 없는 애들이 꼭 주말에 나오는걸 무지 싫어하더군요... 허접한 연구 결과로 졸업 안시켜준다고 징징거리고, 허접한 글로 sci 투고 안시켜준다고 징징거리더군요... 아, 물론 저는 주말 풀출근 중입니다. 연구가 돌아가고 논문이 끝없이 나오려면 방법이 없더군요. 지치는거는 사치라 생각한지 꽤 되었습니다....
아무튼, 주말에 쉬는거 상관 없는데 본인이 일과 연구가 느려터지고 허접하게 해서 연구실 전체 실적에 피해 끼치는건 1도 생각 안하는 후배들 보면 답답합니다... 꼬우면 잘하면 됩니다... 1년에 한번 이상 sci 억셉 되면 그 누구도 태클 안거는데 말이죠.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7 - 저년차 학생들은 왜 이렇게 출퇴근 시간에, 그것도 남의 출퇴근 시간에 집착하는지 모르겠네요. 밤늦게까지 일한다고 해서 연구 잘하는거 절대 아니고, 집가서 혼자 공부하는거 일수도 있는데 무슨 근거로 남의 능력을 판단하나요?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67 - 하지 마세요. 연구는 조직 문화라 튀는 것 싫어합니다.
회사하고는 달라요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0 - 뭐.. 부모의 교육수준과 자식의 교육수준이 아주 큰 상관관계가 있는거야 명확한 일이니.. 그래도 저는 아닌 케이스도 꽤 많이 압니다.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3 - 1. 진짜 금수저는 부모님 사업 물려받는 일하거나 공직하거나 의사판사 하지 않을까요.
2. 오히려 대학부터 공부 열심히 해서 장학금 받고, 석박도 장학금으로 다니고 돈 하나도 안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말은 오히려 돈 안들이고 집안의 지위? 를 올릴수 있는게 공부만 죽어라해서 박사따고 교수되는거라고 생각함. 그래서 평범 집안~약간 흙수저 출신도 많더라구요. (특히 박사-교수 테크 많은 KAIST나 -ist 계열은 진짜 학비가 없으니)
3. 보통 부모가 선생이나 교수인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교육자 집안, 학자 집안을 이어 가는건데, 보통 부모가 선생님이나 교수라고 금수저인 경우는 드물긴 하죠.
4. 그래도 집에 빚이 있거나 찐 흙수저는 대학원 갈 생각 못하는건 사실. 최소 밥먹고 사는덴 지장없는 집안 출신은 되야 하는듯.
글쓴이가 말하는 경우가 특이한 케이슨거 같은데, 저는 생각보다 주위 교수님들 그냥 평범하게 잘 사는 중산층이 대부분이었음. 솔직히 돈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사업하거나 의사변호사가 돈은 더 많이 벌고 좋은데 삼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6 - 여기서 더 무서운 것은 서울대 개 넓은 데도 법적으로 '도로'가 아니라는 거임 ㄷ ㄷ ㄷ 도로교통법상 '도로'가 아님 ㄷ ㄷ ㄷ 사고나면? ㄷ ㄷ ㄷ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1 - 해외유학 가는거 자체가 쉽지 않습니다
금수저는 아니라도 여유는 있어야 하지 않나요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8 - 금수저 맞음.
난 아닌데 자수성가인데 라고 하는 교수님 특- 흙이 뭔지 모름. 말할 때 맨날 단, 하지만, but, 이러면서 착한척 하면서 딴소리함. 나르시시스트, 위선자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2 - 혹시 민주당 용혜인이나 조국같은 애들이 하는 브릿진가요?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9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이 있습니다.
2021.05.18

1. 본인은 1학기를 휴학해 정상적으로 졸업을 하게 된다면 2022년 여름에 졸업함
2. 이번 학기가 잘 마무리된다는 가정 하에 졸업까지 22학점이 남았고, 조기졸업이 '가능'하긴 함. ( 쉽다는 이야기 아님 )
3. -IST(카이 말고) 학부생입니다. 자대 교수님중 한분께서 너가 원한다면 TO를 마련해줄수 있음. 다만 너가 2022년 1학기를 마치고 졸업이니 TO가 안남을수 있으니 미리 말하라 하셨는데
4. 학점은 3.86/4.3입니다.
여기서 고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조기졸업을 시도하고 타대를 노려볼거 같은데, 타대를 가게되면 선택지는 다음과 같네요
- 서울대 아무곳이나 ( 원하는 랩실이 딱히 없음 )
- 카이스트 지원을 시도해볼지 ( 카이스트는 서류를 붙을수 있을지도 모르겠음, 7월 지원기간인데 토익도 안되어있음; )
- 포스텍 ( 그나마 생각한것과 비스무리한거 있긴 한데, 블록체인? 잘 모르겠음 )
2. 그냥 편하게 기다렸다 2022년 여름에 졸업하고 자대를 갈지
- 교수님 인격자심 ( 적어도 또라이는 아니심 )
- 돈은 월 140정도 ( 아마 동 분야중 하위권이긴 함. )
- 연구 주제는 하고 싶은 거긴 함
- 다른거 다 마음에 드는데 '자대'라는 게 걸림.
정리하면 이런 고민입니다.
사실 선택지가 하나 더 있긴 합니다.
3. 자대 교수님한테 TO 주라고 하고 타대 붙으면 배신하고 다른데 가기.
뭐 이런게 있긴 한데... 이건 고려를 하고 싶지 않아요. 그동안 인턴도 몇번 하고 해서 인간적으로 이짓 하기 싫어서 조기졸업을 염두해 두고 있는거라..
어떤 선택이 가장 좋을까요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0 13 6096
대학원 진학관련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김GPT 0 8 8315
대학원 고민중입니다. 김GPT 1 15 2422-
1 5 8838
대학원 진학 고민이 있습니다. 김GPT 0 4 5836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대학생입니다. 김GPT 0 3 6017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 김GPT 0 3 4505-
0 2 7421
대학원 진학고민 김GPT 0 6 1854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175 27 18918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명예의전당 173 10 31364-
252 19 3220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2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52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47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69 -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27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18 - 야근하고 주말에 나오는게 내가 성실해서가 아니라
19 -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25 - 서울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17 - 진짜 여름 피크 캠퍼스 바퀴벌레, 곱등이 걱정됨
4 - 워싱턴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6 - 서울대학교 화학부 석박 지원하려는 분들
9 - 포항공대가 명문인 EU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9 -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22 - 대학원 석사생 자차
11 - 지금 학부생인데요,돈 많이 벌고 싶으면 대학원 오지말고 바로 취업하라고 하던데
25 -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8 - 지도교수 원래 이런가요..
9 - 카이스트 면탈?
11 - 저에게 계속 놀아달라고(?) 하는 PI 도망가야하나요
11 - 현 고3 양자 컴퓨팅 대학 정보 도음주세요..
13 -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9 - 석사 입학했는데 너무 잘못된 선택을 한것같아 도망치고싶습니다
13 - 교수님 손버릇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ist 면접 봤는데요..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2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52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47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69 -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27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18 - 야근하고 주말에 나오는게 내가 성실해서가 아니라
19 -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25 - 서울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17 - 진짜 여름 피크 캠퍼스 바퀴벌레, 곱등이 걱정됨
4 - 워싱턴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6 - 서울대학교 화학부 석박 지원하려는 분들
9 - 포항공대가 명문인 EU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석사 나 다박 가능할까요
18 - SNU vs 미국 TOP20-30 direct PhD
14 -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9 -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22 - 대학원 석사생 자차
11 - 지금 학부생인데요,돈 많이 벌고 싶으면 대학원 오지말고 바로 취업하라고 하던데
25 - 지도교수 원래 이런가요..
9 - 카이스트 면탈?
11 - 저에게 계속 놀아달라고(?) 하는 PI 도망가야하나요
11 - 현 고3 양자 컴퓨팅 대학 정보 도음주세요..
13 -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9 - 석사 입학했는데 너무 잘못된 선택을 한것같아 도망치고싶습니다
13 - 교수님 손버릇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2021.05.18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