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월에 4학년으로 올라가는 컴공과 학생입니다. 미국 AI / DS학과 석사를 현재 목표로 준비를 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지원 가능한 선에 대해서 조언을 얻고자 글을 올립니다. 우선적으로 목표는 데이/ML 사이언티스트로 미국에 취업해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일입니다. 이에 산업공학과도 찾아보고 있습니다.
1. 대학교: QS 기준 해외 Top 25 이내 학부 컴공과 (미국 제외) 2. 학점: 3.99/4.0 (1과목 제외 A+) 3. 기업 인턴십 경험: 3회 - 글로벌 기업 IT 부서 인턴 1회 (데이터 분석 업무 수행) / 컨설팅(MBB) 중 한 곳 RA 1회 (ML/DS 활용한 프로젝트) / 해외 Investment Banking 데이터 부서 인턴 1회 (Data Analyst 직무) 4. 학부 인턴십 경험: 3회(영국, 캐나다) - 다만 제가 올해 초부터 석사를 생각하게 되어서 올해 1월부터 2 곳에서 학부 인턴(ML랩 / HCI랩)을 하였고, 여름 방학 현재 새로운 인턴(ML 랩)을 시작했습니다. 다만 아직 논문 출판 경험이나 / 학회에 제출한 경험은 없습니다. 5. 영어: Waiver로 토플 등 제출 필요 X 6. GRE: 준비 중 7. 추천서: 랩실 교수님들 총 4분 (컴공&AI학과 교수님 3분 / 산업공학과 교수님 1분) 8. 교외 활동: 해커톤 총 3회 우승 경험
현재 이런 배경에서 미국 석사를 생각한다면 어느 정도 학교를 목표로 잡거나 / (안전한 곳은 없겠지만) safety로 생각하고 준비해야할까요? 더불어 현재 10~12곳 정도를 지원할 생각인데 (이 중 미국은 대략 7~8곳 정도) 너무 많은 학교를 준비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때 이들 중 몇 %를 상향지원을 하는 것이 맞을까요?
조언 미리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5.29
MIT 가세요~
대댓글 4개
2025.05.29
MIT는 CS 석사가 없더라구요.. 그리고 더불어서 제가 좀 늦게 석사 지원을 생각하다보니, 논문 제출 경험도 없는게 커서 리서치 석사는 어렵지 않나 싶어요.
2025.05.30
MIT는 SM이라고 해서 석사있어요. 그리고 리서치 트랙이든 코스 트랙이든 들어가면 왠만한 학교는 별 차이 없습니다.
2025.05.30
MIT course 6 SM은 다이렉트 박사로 간 PhD 학생이 중간에 받을 수 있는 석사 학위입니다. SM으로 입학은 불가능 합니다. 제대로 알고 말하세요.
2025.05.30
네, 위에분 말처럼 제가 알기로는 MIT자교생이 아닌이상 컴공 쪽 다이렉트 석사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2025.05.29
어필 잘 하시면 T10은 가실것 같은데 T20까지 폭 넓게 써보세요. 추천서 받는 교수님이 학계에서 알려지신 분이면 좀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대댓글 3개
2025.05.30
감사합니다. 학계에서 알려졌다고 하면 구글 스콜라에서 index 지수같은 걸 의미하시는 걸까요?? 30정도면 좋은 건지 잘 모르겠어서 여쭙습니다..
2025.05.30
개인적으로 인용지수는 중요하지 않다고 보고요. (분야마다 다르고 교수님 나이따라 다릅니다..)
그런 정량적인 요소보다 (미국 or 국제) 학계에서 핵심 네트워크 안에 있냐 없냐가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보통 분야에서 저명한 학회가 몇 개 있을텐데 거기서 자주 invited talk를 하시는분이면 학계에서 잘 알려지신 분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5.06.04
나이가 많을수록 분야마다 h-index가 다르긴한데, 그래도 h-index가 높다는건 그만큼 인용수가 많다는거고, 인용수가 많다는건 논문을 많이 냈다거나, 높은 저널 논문(저널이 높을수록 인용이 잘됨)이 많다는 말이기도 하죠. 여하튼 h-index로만 판단하긴 어렵긴합니다만, 위에서 말한 30이 진짜면 높은 편은 아닙니다. 일반 이공계분야 중위권 국내 부교수~정교수 정도가 그정도 index를 가지고 계십니다. 만약 조교수에 임용된지 몇년 안됬는데 30인거면 굉장히 높은거구요, 40대~50대초반 정도 중견급 교수시면 그냥 딱 평균 정도이신거고, 시니어 교수신데 그정도면... 좀 낮은편이죠; 물론 이공계, 특히 공대 기준이었습니다!
2025.05.30
토플은 Waiver인데 GRE는 따로 제출해야해요?
대댓글 1개
2025.05.30
네네 GRE를 제출해야 하는 곳들이 있더라구요
2025.05.30
요즘 너무 빡세서 20위권 안까지 safety라 부를만한 곳은 없을듯.. 그래도 추천서만 좋으면 탑 10정도는 가실 수 있을 것 같네요. 논문실적이 없지만 그걸 인턴경험으로 잘 커버쳐서 풀어내면 될꺼같아요.
대댓글 1개
2025.05.30
네 감사합니다. 인턴 경험으로 한번 스토리라인 잘 짜보겠습니다.
2025.05.31
미국 7-8곳 지원하는게 많지 않냐고 물으셨는데 많기는 커녕 저는 오히려 적다고 봅니다. 제가 미국 석사 지원 했을 당시엔 40위권까지 넉넉하게 15곳 정도 지원했습니다. 지원서 내는 비용만 감당 가능하다면 몇 개를 쓰든 그건 본인 맘이죠.
그리고 미국 석사는 프로그램이나 학교에 따라서 포커스를 두는 부분이 달라서 먼저 가고 싶은 프로그램을 어느정도 추려보시고 거기에 맞게 준비를 하시면 된다고 봅니다. 연구에 포커스를 두고 석사 논문을 필수로 작성해야 하는 프로그램이라면 뽑는 풀도 좁고 연구 실적도 어느정도 보기 때문에 아직 학회 논문 출판 경험이 없으시다면 조금 경쟁이 빡셀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그냥 코스웍만 듣고 바로 취업으로 직행하는 프로그램이라면 작성해주신 스펙으로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0-20위 권도 도전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박사를 생각하고 계신게 아니라면요.
2025.05.29
대댓글 4개
2025.05.29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29
대댓글 3개
2025.05.30
2025.05.30
2025.06.04
2025.05.30
대댓글 1개
2025.05.30
2025.05.30
대댓글 1개
2025.05.30
2025.05.31
2025.06.01
202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