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수학적 이론 베이스로 데이터 다루는 랩이 없네요

2021.04.21

15

3377

다 찾아봐도 대학원 수학과 수준 확률론을 기본 베이스로 하는 이론, 데이터 분야 다루는 곳이 산공 밖에 없고 산공에서도 그런 랩 없거나 가뭄에 콩나듯이 있는 듯...

산공 데이터 관련 분야 중 CS, AI 대학원과 비교해서 압도적인 우위에 있는 유일한 분야라고 보는데 왜 이렇게 적은지 궁금함

수학 베이스 가지고 이 분야에 뛰어든 분들이 적은건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재치있는 쇼펜하우어*

2021.04.21

물리
긍정적인 호르헤 보르헤스*

2021.04.21

현재 AI는 아직까진 통계학처럼 연역적인 방법론에 기반하여 발전하기 보단, 휴리스틱 방법론(시행 착오?)을 기반으로 발전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언젠가는 머신러닝도 통계처럼 수학에 의해 상당부분 설명이 가능한 날이 오겠지만.. 아직까지는 그런 날은 좀 멀게 느껴지네요. 그래서 지금은 AI 한다하면 죄다 컴공 or 전전.. 컴퓨터 파워에 기반해서 계속 데이터를 키우고 네트워크도 키우고.. 연결도 추가하고..
체한 블레즈 파스칼*

2021.04.21

수학과 학부 졸업하고 ee에서 ai하고 있는데.. 대학원 수준의 확률론이 뭐에요? ㅇㅅㅇ 궁금해서요.. 측도론적 관점에서 확률을 정의하고 미분하고 그런걸 원하는건가요? 산공이 수학과 대학원 수준의 확률론을 다룬다라.. 잘 모르겠네요 저는 ㅋㅋ 그냥 확률을 "조금" 더 엄밀히 쓰는거 아닌가요?

대댓글 3개

체한 블레즈 파스칼*

2021.04.21

통계 베이스로 ai대학원에서 교수하시는 분들 랩 중에서 XAI하는 랩이 꽤 많은데, 그런 곳들은 확률을 아주 잘 다뤄요. 좀 더 찾아보시는게 좋으실듯

2021.04.21

Stochastic process 쪽으로 확률 모델링하는 곳들이 있더라고요. 하고싶은 쪽이 이론 쪽에 더 가까워서 찾는데 국내 대학원에 많지는 않은것 같네요
활기찬 라이프니츠*

2021.04.21

http://sailab.kaist.ac.kr/publications/ 이런 것들이요?

2021.04.21

산공이 EE와 CS보고 '수학적 베이스' 라.. ㅋㅋ

대댓글 1개

2021.04.21

저는 수학과 학부석사고 산공에 수학과 학생들만 뽑는 랩도 있던데 컴공은 확률모델 다루는 곳은 하나도 없어서 쓴 말인데 왜 저는 이 댓글이 학문을 비꼬는 것처럼 들리는지
긍정적인 호르헤 보르헤스*

2021.04.21

ai대학원이나 통계 대학원에 이학박사 출신으로 머신러닝/딥러닝(응용 말고 알고리즘쪽으로)하시는 분들 있나요? 요즘 트렌드상 연구분야에 머신러닝 써놓는 분들 말고, 실제로 논문/연구도 그쪽으로 하고 있는 분들요. XAI하시는 분들 중 그런분들이 있다고 해서 찾아보려고 했는데, 카이스트 포항공대 몇군데 다녀봣는데 잘 못찾겟네요.

2021.04.21

P 수학과에 계시지 않나요? 성에 안 차는 건가요?

대댓글 1개

2021.04.21

수학과랩쪽은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하고싶은거랑 조금 차이가 있어서요 특히나 P쪽은 순수수학이 강세라
긍정적인 호르헤 보르헤스*

2021.04.21

한분 보이시는 거 같은데.. 거의 평생 미분방정식만 해오시던 분 같은데요. 시니어 교수님이라도 당연히 열심히 최근 트렌드 공부하셔서 학계에 기여하시는건 바람직한데, 아직 논문실적 면에서 AI쪽에 많은 성과를 내셨다고 보기는 힘들어보이네요.

2021.04.21

수학 베이스로 접근하는 연구실이 당연하게도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잘 모르지만) 전구가 보급됐을 때, 탄탄한 전자기학 이론을 기반으로 개발해낸 것일까요?
그렇지 않죠?
지금 현 데이터 과학, AI, 딥러닝 다 마찬가지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개발 속도가 (말씀하신 architecture 기반으로 성장 중인 연구 및 논문 흐름) 눈에 띄게 더뎌지지 않는 이상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새로운 이론을 기반으로 만들어내는 데이터 과학 연구 분야는 당장에 저희 가시 범위 내에 들어오지 않을 겁니다.

쉽게 생각해도 google brain을 비롯한 수 많은 공룡 기업들을 바탕으로 한 연구 기관들이 하루 단위로 수 백 장의 논문과 연구 실적을 쏟아내는 와중에, (상대적으로) 조금만 노력을 기울이면 성과를 낼 수 있는 architecture 및 실험을 바탕으로한 연구를 안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라고 보여집니다.

그렇다고 그런 분야가 아예 없는 것도 아니에요.
(제 생각으로) GAN을 비롯하여 W-GAN 과 같은 논문들을 보시면, 크게 어려운 수학적 개념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훌륭하게 생성모델에 대한 해석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수학적 접근 방법을 이용했다고 봅니다. 하지만 해당 논문들의 저자 역시 수학을 기반으로한 연구 및 논문만을 작성하지는 않았죠? 오히려, 수학 기반 연구로 치중된 연구자들의 논문은 몇 년에 걸쳐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구요.

결론은 현재 분명 수학에 기반을 두고 연구를 하고자 하시는 교수님들은 국내에도 상당히 많으실겁니다. 다만, publication이나 project 쪽으로 드러나있는 부분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이유가 위에서 언급한 이유이구요.
다시 말씀드리면, core machine learning 이나 deep learning 쪽으로 연구를 활발히 하고 계신 교수님들을 찾으시면 작성자분께서 하고싶어하시는 수학적 모델링에 대해 어느 정도 이상으로 지도를 해주실 수 있으신 분들이라고 생각
긍정적인 호르헤 보르헤스*

2021.04.21

저는 자연대쪽 사람이라 잘 몰라서 그러는데, 머신러닝 뜨고 산공이 엄청 잘 나갈줄 알앗는데.. 저희 학교도 그렇고 이렇게 보고 잇으면, 공대 타과에 좀 치이는 느낌이 드는 것 같아요. 전전이나 컴공은 확 떠버렷는데
졸린 제임스 와트*

2021.04.21

본인이 잘 모르셔서 그런 것 같은데, 이론 쪽으로도 Strong 한 분들 k 인공지능 대학원만해도 여러명 보이는데요... 없다고 하면 오바이신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