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주구장창 연구만 하고 논문 쓰고 교수님이 원하는 저널에 내고 이것만 반복하다보니 저널 시스템에 하나도 모르고 졸업하게 생겼는데 정상인가요? 취업하기전까지 시스템 굴러가는 것정돈 알아놔야되는 지 궁금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9.23
BESTSpringer -> 좋은 거, MDPI -> 나쁜 거, IEEE Access -> MDPI보다는 나은 거.. 이렇게 이해하시면 됨.
대댓글 1개
2025.09.26
글쎄요.. 논문수준은 개별적으로 냐용을 보고 판단해야지 실린 잡지보고 판단하는게 아닙니다. 기본에 충시롸면 됩니다
2025.09.23
네
2025.09.23
Springer -> 좋은 거, MDPI -> 나쁜 거, IEEE Access -> MDPI보다는 나은 거.. 이렇게 이해하시면 됨.
대댓글 1개
2025.09.26
글쎄요.. 논문수준은 개별적으로 냐용을 보고 판단해야지 실린 잡지보고 판단하는게 아닙니다. 기본에 충시롸면 됩니다
2025.09.23
석사가 모르는건 자연스러운것 아닐까요? 개인적으로 석사에게 논문이 그렇게 큰 가치를 지니는지 의문입니다 몰라도 문제 없습니다. 또 안다고 해서 얼마나 알까요? 신경끄세요 한국 사회가 계속 스펙스펙 하니깐 이젠 석사도 SCI 논문 있어야하고 거기서도 Q1~Q4 급을 나눈 걸까요?
2025.09.23
석사는 몰라도됨 박사인데 모르면 큰 문제
2025.09.24
근데 위 댓글들은 논문의 소지 유무를 따지는데. 저런 저널들이 뭔지는 석사면 아는게 맞는듯. 본인이 저자일 필요는 없죠 석사는
2025.09.24
보통 갓 석사됐을땐 알기 어렵습니다. 본인이 논문을 찾아보고 투고를 준비하면서 차차 알게됩니다.
2025.09.24
연구윤리때 말해주지 않음?? MDPI는
2025.09.24
모른다는걸 알았으니 알이보시면 되죠!
대댓글 1개
2025.09.25
이게 정답 꼭 알아야되는 건 아니지만, 이미 저런 질문을 할 정도로 불안한 상태라면 챗지피티랑 30분만 면담해서 뭔지 알고 넘어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2025.09.25
뭐 박사까지하고 학계에 남을거 아니면 큰 중요한건 아닙니다. 논문을 썼다, 연구를 했다, 할줄안다가 중요한거지.. 정상적인 지도교수라면 내라한 곳에 내도 문제없이 적절하게 잘 투고했을 겁니다. 오히려 뭐 저널의 IF가 어쩌고 어디가 좋고 MDPI가 어쩌고 하는 비교나 그런거 알아보는 시간에 논문 한편 더 쓰는게 현명한거 맞습니다 학생때는. 그러니 걱정 놉!
2025.09.23
대댓글 1개
2025.09.26
2025.09.23
2025.09.23
대댓글 1개
2025.09.26
2025.09.23
2025.09.23
2025.09.24
2025.09.24
2025.09.24
2025.09.24
대댓글 1개
2025.09.25
2025.09.25
2025.09.25
2025.09.26
2025.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