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저희 랩부터 대충 설명하면 신생랩이고 올해 첫 석사 졸업생이 나옵니다. 학과에서는 불이 안 꺼지는 랩실로 유명하며.. 야근 강요가 심합니다.
저는 일주일에 한번 있는 가족 식사 날을 제외하고는 11-12시 사이에 퇴근을 했습니다 (석사분들은 주로 저보다 30-60분 더 있습니다) 이번에 외국인 석사생이 새로 들어왔는데 17시 55분쯤에 퇴근하는 걸 보고 교수님이 이참에 9 to 8으로 바꾸자고 하셨습니다.
너네는 이미 매일 늦게 집에 가니, 별로 상관 없잖아? 그리고 너네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대학원은 원래 야근이 디폴트야(웃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제가 하는 실험이 딜레이 되거나, 반응 시간, 데이터 정리 때문에 이루어지는 야근은 정말 괜찮아요. 하지만 제가 불만인 부분은 이러한 분위기 때문에 모든 일이 끝나더라도 항상 연구실에 남아서 공부를 했습니다 저는 개인 공부를 연구실에서 절대 하고 싶지 않아요. 자꾸 어떤 공부하는지 코치코치 캐묻고, 이건 왜 따려는 거냐(컴활이었습니다), 이거 취업할 때 도움 안된다. 이런 소리를 듣는 거 자체가 스트레스로 왔거든요...
그리고 자율적으로 하던 야근이었는데 강요 받는 것 같아서 싫습니다..
많은 대학원생이 주말 출근, 야근을 하는 건 충분히 인지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거는 다른 사람들은 9 to 8 바꾸자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5.09.21
BEST학부때부터 그러는데 석사 과정때는 엄청 스트레스 주겠네요...탈출하세요..!
2025.09.21
학부때부터 그러는데 석사 과정때는 엄청 스트레스 주겠네요...탈출하세요..!
2025.09.21
저도 개인적으로 "무조건 한 공간에 모여야 한다." <- 이 관념을 싫어합니다. 모여서 정말 의미 있는 일을 할 게 아니면, 단순히 모이는 것 자체만으로는 무엇도 보장되지 않으며 시간만 빼앗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일 거면 정말 의미 있게 모여야 합니다.
하지만 항상 근무시간을 항상 의미 있는 일로만 채우기가 힘듭니다. 교수님 말씀은 오래 있다 보면 의미 있는 일을 할 가능성도 늘어나니 더 열심히 일하자는 개념인 거 같은데요. PI로서 그다지 좋은 방향 제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일단 지도교수님이고, 실제로 평균 실근무시간에 큰 변동이 없고, 석사로 전환하기 전에 탈출할 기회가 있다면... 그냥 군말 없이 "네"하고 받아주세요. 좋은 관계로 마무리해야 추천서도 받고 취업을 하든 타대에 진학하든 하죠.
대댓글 1개
2025.09.21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제가 답답했던 부분이 어떤 점이었는지 확실히 알게 됐습니다. 익명으로 누군가에게 고민 상담을 받는 게 처음이라 어떻게 감사의 말을 전해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말 너무 감사드립니다.
2025.09.21
근데 대학원 진학 예정이면서 컴활은 좀 ㅎㅎ
대댓글 2개
2025.09.21
하하.. 저도 알지만 컴활이 졸업요건입니다.. 학부 졸업은 해야지요......
2025.09.22
컴활이 졸업요건이면 지잡인가
2025.09.21
저는 나올거같아요 직장도 9시부터 6시 ,휴게시간1시간입니다.
2025.09.21
저같아도 딴랩갑니다 저런 교수 밑에서 뭘 배우겠어요 자발적 야근은 몰라도 강제로 밤 12시까지 앉혀놓은 랩실이면 그만한 보상이 뒤따르는 곳이어야할텐데 그런곳같진 않아보이네요
2025.09.22
혹시 숭실대학교 랩이세요?
2025.09.22
PI와 성향이 안맞거나 그 룰이 마음에 안드시면 나오시면 됩니다. PI가 결정한 일이고 PI의 연구실입니다. 저도 대학원 생이고 연구실에 오래 못 있는 스타일입니다. 9 to 6도 아니고 거의 10 to 6또는 오후에 가서 6시에 퇴근합니다. 개인적으로 집에서 혼자 연구를 하는 스타일이고 PI도 그것을 알고 알아서 하라고 하십니다.
2025.09.22
알아서 실적이 나오지 않으니. 강제하는 거지요. ㅜ.ㅜ
2025.09.22
교수가 구시대적이고 꼰대여서 그렇죠. 그만큼 희생할 가치가 없으면 전 바로 나옵니다
2025.09.22
시스템 문제 아닌가.. 열심히 하는애 구분하고 더 챙겨주면 주위에서 알게되고 따라하던지 퇴근하던지 본인이 선택하게 해야지.. 단기간에 성취만 생각하는 군대식 해결법이 내재된 교수님 같음
교수님 탑30 미국 대학원 or 서포카 얘기. 미국은 매 학기 계약해서 자율적이지만 밤새서 공부 안할수가 없음
상황이 많이 변했음을 알려드려요
2025.09.22
외국인 학생 때문에 랩실 시간 연장된 곳 있어봤는데, 빨리 안나온거 후회했고요... 외국인 학생은 저녁 먹으러 간다면서 나가면 퇴근 시간에 들어와서 얼굴 도장만 찍고, 욕은 한국 학생이 먹고, 한번 그러기 시작하니 나쁜쪽으로만 발전하더라고요. 안맞으면 나오는게 좋다고 생각해요. 실적 없어서 남기고 공부 안하는거 같아서 남기고 강제하는거 너무 비효율적이에요.
2025.09.22
하.. 대학원생의 노동자 지위 인정 했어여하는데.. 그래야 저딴 교수들 철창보내지 ㅡㅡㅋ
2025.09.23
어짜피 평상시 퇴근이 셔틀버스 마감인 새벽 2시라 별로 신경이 안 쓰입니다.
지나가는 솔로가
2025.09.23
석사에서 그정도 공부는 기본 아닌가?
2025.09.23
독고다이.
모든 기준은 자신한테만 두시면 편합니다.
본인이 아쉬운 공부를 안했다고 하면 모든게 끝입니다.
물론 평가는 세상이 할테지만요.
그보다..
신경 안써도 되는걸 왜 굳이 의미부여해서 신경씁니까?
땅에 떨어진 화살을 굳이 자신의 가슴에 꼽지마세요.
2025.09.23
무조건 한 공간에 모이죠 대학 총장님 방으로 다 집합
2025.09.24
문제는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의 말씀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교수님이 왜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학생을 어떻게 생각하고 조직을 어떻게 운영하시려고 하시는 지가 중요합니다. "내가 생각하던 일이 모두 완벽하게 되지 않았네? 내가 생각한 만큼 성과가 안 나왔네? 애들이 열심히 안해서 그래. 12시간, 13시간씩 하는 애들을 봐. 쟤들은 성과 나잖아. 근무 시간이 역시 문제야."라고 생각하시고 근무시간을 늘리려고 하신다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조직 효율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으시는 거죠. 12시간씩 일하지 않으면 성과가 나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 놓고 12시간 일하기를 강요하면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가 연구실을 경제적 문제 없이 굴리고 좋은 연구를 하기 위해서 이런 이런 기준을 만족 해야 해. 내가 산술적으로 계산도 해보고 박사들이랑도 이야기 해보고, 더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법도 찾아봤는데, 우리 연구실 혹은 현재 과제 상황 특성상 어쩔 수 없이 근무 시간을 늘려야겠다. 앞으로 근무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랩장하고 자주 이야기할테니, 너희도 제안점이 있으면 랩장한테 보고해라."이런 접근 방식을 취하시는 교수님이라면 9 to 8, 9 to 10으로 랩 규정을 바꾸셔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9.24
"대학원생은 원래 TA일도 하면서 프로젝트 세 개 하면서 제안서도 써야해. 9시간이 부족하다면 11시간. 11시간이 부족하다면 13시간씩 일해. 너희들 각자 집 가서 하면 일 안할거잖아. 그니까 그냥 모여서 일해. 출근해" "프로젝트 세 개와 TA일과 제안서를 동시에 해야한다. 지금 방식대로는 하루 13시간씩 해도 부족하겠네. 한번에 한 프로젝트씩, 모든 팀이 같은 장소에 모여서 집중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 하루 11시간씩 각각 한 달 안에 끝낼 수 있지 않을까?" 중요한 건 9 to 8으로 늘리는 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025.09.25
대학원에 일하러 간건지 배우러 간건지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옵니다. 일하러 간거면 빨리 탈출 하세요. 배우러 간거면 왜 수업시간이 아침 9시 부터 밤 8 시 까지냐고 투덜대는 상황입니다. 배우러 왔는데 수업시간에 자습만 시킨다고 생각되면 역시 탈출하세요. 석사 한다고 인생 안바뀝니다. 석사때 뭘 배웠냐에 따라 인생이 바뀌지..
2025.09.21
2025.09.21
2025.09.21
대댓글 1개
2025.09.21
2025.09.21
대댓글 2개
2025.09.21
2025.09.22
2025.09.21
2025.09.21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2
2025.09.23
2025.09.23
2025.09.23
2025.09.23
2025.09.24
대댓글 1개
2025.09.24
2025.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