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논문이 혼자쓰는거긴 한데 너무 힘이 안나서, 스터디라도 해야하나 하고 있습니다. 근데 스터디같은게 잘 안보이는걸로 봐서는... 없는덴 또 그만한 이유가 있는걸까요?
다들 어떻게 혼자 해내고 계신가요? 지도교수는 너가 알아서 학술지 내놓을 수준 만들어와의 느낌이고 저는 연구실은 있지만 다들 프로젝트하느라 개인연구할 여력이 안되는데... 지치거나 막막할 때 혹은 그냥 게을러질 때 답이 없네요 ㅎ
궁금해서 올려보았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8.19
BEST지금 이 과정이 배우고 성장하고 있는거에요. 교수가 학술지 출판 직전의 결과물을 원한다고 생각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거기까지 혼자 열심이 쥐어짜낸 엉망인 초안이라도 그 노력 자체가 중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깨닫는게 많아요. 그리고 몇 번 손 봐주면 두가 탁 트일껍니다. 아, 이렇게 하는구나. 같이요. 남 도움 빌려서 작성한 논문은 다음에 적어보라고 하면 또 막힙니다. 혼자 다 해봐야 초안 후 교수가 수정 및 지도해줄 때 학생 머리에 쏙쏙 드가거든요.
2025.08.18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각자 하는 연구가 다 다르다 보니 스터디가 오히려 시간 낭비라고 생각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다들 귀찮은데 그냥 쓰는 것 같습니다. 일단 쓰기 시작하면 어떻게든 되긴 하는 거 같습니다. 다만 처음 작성해보신다면 본인이 읽었던 논문 중 가장 잘 썼다고 생각되는 논문 한편을 가져다 놓고 조금씩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시면 수월합니다. 원래 창조보단 수정이 쉽기 때문입니다.
2025.08.18
논문 자체는 아주 specific 하고 협소한 분야를 다루기 마련이라 다른 사람들과 스터디 한다고 별로 도움이 될만한게 없는 거 같습니다. 분위기조성을 위해서라면 연구실에 앉아 있는것 보다 나을게 없는 것 같고, (무엇보다 논문 찾아보고 해야 하는데 카페같은 곳에서 하기는 어렵죠) 논문작성법 스터디 라면 잘 모르는 저년차끼리 모여서 해봐야 답이 없고 고년차나 교수가 과외하듯이 가르쳐줘야 하는데, 그건 이미 스터디그룹이 아니고.
2025.08.18
저도 논문 작성단계인데 연구실에 오래 남는 사람이 없어서 그런가 집중이 잘 안 됩니다 줌으로 가끔 비대면 스터디? 하는 거 어떠세요? https://open.kakao.com/o/g3uUNiNh
2025.08.19
2025.08.18
2025.08.18
2025.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