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2025.07.19

16

10450

당연히 표현이나 미흡한 부분에 대한 지도는 교수님께 받았으나 대학원 컨택 과정에서 논문 실적에 대해서 의심 하시거나 말 나온건 없어서요. 오히려 좋게 봐주시고 긍정적으로 평가 해주시던데…

*당연히 타 대학교 교수님과 면담에서 각 논문들 작성할 때 실험 과정들과 컨퍼런스 발표 때 사용한 발표자료 ppt 가지고 동일하게 영어로 발표 해드렸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7.20

BEST Mdpi면 고딩도 낼수있을듯..

대댓글 2개

2025.07.20

주변에 고등학교가서 내라고 해보세요. 낼수있는지

2025.07.20

아무리 평가 프로세스가 가벼워 평판이 안좋은 저널이라 하더라도, 학부생이 SCIE를 써냈다는건 충분히 칭찬할 일입니다.
박사급들이 썼다 하면 눈초리를 받아야 마땅하겠지만, 학부생에게는 분명히 어렵고 험난한 길이었을 겁니다. 이렇게까지 폄하를 해야 할까요. 응원을 주시도록 하세요.

2025.07.19

내용을 잘 설명하고 대답 잘하면 인정해주겠죠 뭐
그런케이스가 드물어서 그래요

2025.07.20

1. 돈만 내면 붙는 저널
2. 교수가 실적 필요해서 쓰는 저널
3. 쓰레기 저널

라고 생각 할 것 같습니다.

믿고 안믿고를 떠나 학생한테 별 생각 없을 것 같습니다.

2025.07.20

처음부터 의심하는 사람은 드물어요. 기 죽지말고 얘기하세요.

2025.07.20

석사생이 실적내도 완전히 못믿는데, 하물며 학부생껀 더더욱...

그럼에도 학부생이 sci면 대단한거고 교수님들도 좋게 봐주시죠

대댓글 1개

2025.07.21

석사생이 실적내면 왜 못믿음? 저정도는 열심히 하면 혼자 힘으로도 내지요

2025.07.20

Mdpi면 고딩도 낼수있을듯..

대댓글 2개

2025.07.20

주변에 고등학교가서 내라고 해보세요. 낼수있는지

2025.07.20

아무리 평가 프로세스가 가벼워 평판이 안좋은 저널이라 하더라도, 학부생이 SCIE를 써냈다는건 충분히 칭찬할 일입니다.
박사급들이 썼다 하면 눈초리를 받아야 마땅하겠지만, 학부생에게는 분명히 어렵고 험난한 길이었을 겁니다. 이렇게까지 폄하를 해야 할까요. 응원을 주시도록 하세요.

2025.07.21

기대 당연히 안하고, 더군다나 mdpi 같은데 냈다 그러면 아 그냥 실적 만들고 싶어서 했구나 생각합니다.

2025.07.21

나중에 박사하시면 그 실적 지우고 싶으실겁니다

2025.07.21

학생의 실적을 보는게 아닙니다. 학부생인데도 교수님의 지도를 잘 받아들이고 할 일을 충분히 잘 수행하여 저자를 맡길 정도로 이전 교수에게 순응하였고 높은 확률로 내 랩에서도 반골 기질을 버리고 실적을 만들어내는데 몰두할 것 같다는 합리적인 내적 가산점을 주는 것에 더 가깝죠. 나 같으면 그런 학생 높이 평가합니다.

2025.07.21

괜찮아요 저도 학부때 scie급 당시lncs를 된적이 있습니다

2025.07.21

질문 제목과 내용이 다소 다른 감이 있는데,
지금 적은 글처럼 제3자에게 정확히 내용전달을 잘 못한다면,
지도교수가 다 써주었구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논문이란 것이 글로써 상대에게 내 주장을 전달하는 것인지라, 서론, 결과 및 토의, 결론 등이 있고, 논문을 주도적으로 작성하면, 어떻게 내용을 쓸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글쓰기 실력이 많이 향상 되거든요.)
학부생의 경우, 실적이 필요한 교수님의 경우, 실험은 학부생에게 시키고 논문은 교수님이 다 쓰는 경우도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에, 발표때, 본인이 실험한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잘 설명한다면 본인이 주도적으로 진행했겠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고요.

2025.07.21

MDPI도 연구 구색이 맞춰졌을 때 나올 수 있습니다. 안에서도 저널by저널이지만, 연구 구색이 맞춰지지 않으면 게재 안됩니다.
전체적인 연구 질, 과학계 기여도 이런 부분은 타 저널에 비해 관대해서 읽는데 문제없고 결과에 큰 오점만 없으면 좀 sub 연구라도 된다 이거죠.

즉, Q3~Q4급 수준의 저널들이 많은데 중국의 물량공세나 빠르고 쉬운출판등을 무기로 Q1~Q2급 IF를 가지는게 욕먹는 이유죠..
바꿔말하면, Q3~Q4급 SCI 저널도 아무나 쉽게 못씁니다. 논문의 결과/결론 등이 학계 중요도가 조금 떨어진다 뿐이지, 구성자체나 논문 안에 논리 등은 아무나, 대학원생이 혼자 마음만 먹고 쓰는, 그런 저널이 아니에요.
꼭 논문 제대로 안써본 사람들이 MDPI를 과하게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일개 학생들한테 무시받을 논문들 아닙니다;

글쓴이 답은 학부생이든 대학원생이든 SCI 논문 한편을 썼다는게, 안쓴 사람보다 많은걸 경험했다는 증거구요, 본인 기여가 많건 교신 지도교수가 버스 태워줬건 좋게보긴 합니다. 대리 작성했다 의심하는 사람 없고요.. 그냥 지도교수 잘 만났고, 열심히 했겠네. 논문 출판 경험 있어서 탐나는 학부생이네 정도로 볼겁니다.

2025.07.22

MDPI 무시해도 됩니다;;; 제가 리뷰어인데 리뷰어 한명붙고 논문을 리젝줘도 에디터가 메이저로 살려내고 리비전 답변서 보면 퀄리티가 진짜 아닙니다... SCI라고 볼수가 없는데 여기가 그나마 MDPI중에서 인정받는 저널이고 Q2인거 보면 참... 다른저널들은 말안해도 알 수 있겠죠

2025.07.27

그냥 누가 물어보면 겸손하게 교수님이 지도를 잘 해주셔서 운좋게 쓸수 있었다 수준으로 끝내면 뭐라하는 사람 없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