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한민국 연구의 문제점 하나만 고르라고 한다면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7.05

12

6448

대한민국 연구계에 문제도 많고, 그만큼 개선을 할 부분이 많다는건데
솔직히 바로 옆 동료가 잘되면 배 아파하며 비난하는 문화임.

다들 좋은 대학을 나왔고 해외연구 경력도 다 있으실 양반들인데,
잘되면 솔직히 남도 아니고 동료면 박수라도 쳐줄 순 없나?

동료를 욕한다고 본인 몸값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그정도 노력을 하시는 것도 아닌 것 같은데
고작 그런 욕을 한다고 본인은 깨어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며,
욕을 먹는 인간은 천하의 ㅆㄹㄱ가 되는 것인가?

진짜 주말마다 연구실에 나와서 논문쓰고 공부하고
좋은 저널에 논문을 출판했는데 고작 하는 소리라는게

그 저널의 편집장에게 뒤로 뭘 했다니~ 어쩌고~
학교를 옮길 생각 밖에 없어서 되겠냐니~ 어쩌고~

정작 본인이 연구논문 안써서 대학 랭킹이 더 정체되는건
안중에도 없으신건가 싶다.

본인 주말에 골프 칠 시간은 있고
논문 한 글짜라도 쓸 시간은 없나 ㅎ

양심도 없는데 주위 욕하는건 참 잘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7.05

BEST 공감은 하지만 이런여러가지는 다른나라에도 충분히 있는일 같습니다. 저도 미국에 내놓으라는 탑주립대/탑스쿨에서 모두 있어봤지만, 그중 한 교수는 옆 대가랩에서 novelty 부족한데도 이름빨?로 좋은저널 매번내는것에 대해서도 뒤에서 (최소한 저한테는) 안좋은 말을 많이 했습니다. 그것도 어떻게 보면 좋은저널을 쉽게내는것에 대한 부러움에서도 나온거라고 생각됩니다. 학교옮길생각이다 이런말들은 다른나라도 너무나도 많이있을거라 생각됩니다. ㅎㅎ 극단적으로는 3년안에 학교를 세번옮긴 분도 봤어요. 최종적으로는 보스턴 탑스쿨(mit/하버드)로 가셨지만 그과정에서 욕을 엄청먹긴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그리고 동아시아권에서의 문제는 정량적인 실적에 목숨을 거는거라고 생각됩니다. 연구자의 수준을 논문의 편수/IF로 판단하는게 너무 크고, 그런 요구를 충족시킨것중 하나가 MDPI라고 생각됩니다. 연구성과도 너무 짧은시간에 논문실적을 요구하는것도 조금은 이해가 안되는 문화라고 생각이 됩니다. 이런 실적만능주의 때문에 좋은점들도 많지만, 안좋은 side effect도 많다고 생각됩니다. 한국은 아직까지도 CS조차 몇개탑스쿨 제외하면 탑학회 숫자보다 오히려 저널편수를 요구하기도 하죠.

2025.07.05

공감은 하지만 이런여러가지는 다른나라에도 충분히 있는일 같습니다. 저도 미국에 내놓으라는 탑주립대/탑스쿨에서 모두 있어봤지만, 그중 한 교수는 옆 대가랩에서 novelty 부족한데도 이름빨?로 좋은저널 매번내는것에 대해서도 뒤에서 (최소한 저한테는) 안좋은 말을 많이 했습니다. 그것도 어떻게 보면 좋은저널을 쉽게내는것에 대한 부러움에서도 나온거라고 생각됩니다. 학교옮길생각이다 이런말들은 다른나라도 너무나도 많이있을거라 생각됩니다. ㅎㅎ 극단적으로는 3년안에 학교를 세번옮긴 분도 봤어요. 최종적으로는 보스턴 탑스쿨(mit/하버드)로 가셨지만 그과정에서 욕을 엄청먹긴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그리고 동아시아권에서의 문제는 정량적인 실적에 목숨을 거는거라고 생각됩니다. 연구자의 수준을 논문의 편수/IF로 판단하는게 너무 크고, 그런 요구를 충족시킨것중 하나가 MDPI라고 생각됩니다. 연구성과도 너무 짧은시간에 논문실적을 요구하는것도 조금은 이해가 안되는 문화라고 생각이 됩니다. 이런 실적만능주의 때문에 좋은점들도 많지만, 안좋은 side effect도 많다고 생각됩니다. 한국은 아직까지도 CS조차 몇개탑스쿨 제외하면 탑학회 숫자보다 오히려 저널편수를 요구하기도 하죠.
재치있는 찰스 다윈*

2025.07.05

미국에서도 엄청심해요..오히려 인종이 다르면 남이라고 여기는게 더 강해서 더 노골적이고 유치하고 공격적으로함.
글쓴이가 뭘 모르는거임.

2025.07.05

그건 대한민국 연구의 문제가 아니고 모든 인류의 문제임
어떤 분야, 인종, 국가건 옆사람이 잘되면 다 질투함 안하는곳을 본적이 없음
그걸 과학계만의 문제인마냥 선동하는게 역겹

2025.07.05

맞는말 아닌가? 과학계만의 문제든 아니든 이런일들이 잘못되었으니 고치는게 맞는거지. 남들도 다이러는데? 이러면서 악폐습 이어가려고 물타기 하는 왜곡된 사고구조를 가진사람들이 바로 달려드네 ㅋㅋ 그러니 정체되있는 한국 과학계인거지 ㅋㅋ 돈이 부족하면 문화를 바꿔서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를 만들생각을 해야지

대댓글 2개

2025.07.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러게요. 정작 저는 윗 댓글에서 언급한 국가에서 일하고있고, 본문에서는 한국이야기를 했는데 고맙게도 제 주위 이야기를 먼저 꺼내시네요. 그래도 제 주위에서는 욕만큼이나 박수를 쳐줘서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고 있는데. 본질을 역시나 무시하고 물타기를 하는건 여전하네요. 제가 신고를 요즘 그래서 자주먹나봅니다 ㅋㅋ

2025.07.11

님이 신고를 먹는건 신고할만해서 먹는거에요 다른 이유 없음

2025.07.06

다른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논문편수와 JCR이나 IF 점수에따라 연구비책정한다는 정도? 솔직히 논문 많다고 창의적인 연구를 잘한다고 보지않아요. 중국이 미국보다 논문수가 압도적이라고하나 대부분 신규로 만들어지는 연구분야는 미국이 앞서는 것은 사실. 중국은 미국이 하는 분야에 숟가락 얹고 열심히 연구원 갈아서 뒤따라가는 정도로 보여요. 중국이 신규분야를 창출하지는 않아요. 일부 있을수 있으나 미국에 비빌정도는 아니고. 뭐 한국도 미국 쫒아가자 그런말하고 싶진않고. 또 그렇게 되지도 않고. 일단 연구자의 연구 자율성을 높혀야 하지않을까 싶은데. 분야의 중요성을 봐야지 너무 단순하게 논문편수로 판단하지말고. 지금 많이 좋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논문편수로 과제연구를 주고있긴하니깐

2025.07.06

한국만의 문제라는거에는 100%동의할 수는 없지만,
글쓴이가 말하는 내용은 진짜 공감함.

2025.07.06

이건 대학원만의 문제도 아님
시기 질투 이런건 인생전반에 걸쳐 일어남
다만 대학원이 심하기는 함
실적이 정량화하기가 쉽고 졸업후 진로가 비교가 잘되서 더 그런게 아닐까요

대댓글 1개

2025.07.11

이게 같은 위치에서 출발하고 스트레스 받고 다 같이 모여있는데 실적에 따라 결과가 크게 차이나면 더 심한거 같아요.. 조그만 차이도 교수/대학원 이렇게 갈리니까여....
아이돌 연습생이라던가 고3 수험생 이런거 생각해보시면 서로에 대한 질투/시기가 엄청나자나여 ㅋㅋㅋ

2025.07.07

같이 일하는 동기가 이런 사람이라 미칠거 같아요 ㅠㅠㅠ 학벌 자격지심 때문에 열등감 심한건 덤…

2025.07.07

냄비민족이라 경쟁에 뒤쳐지면 더더욱 발악하는게 우리나라임 ^^ 실력도 없는데 자꾸 랩실 출근하는 거 보면 울화통이 터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