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부생 3학년입니다 우선 제 분야는 화학 쪽이고 학부는 ssh 급입니다 저는 현재 교수를 꿈꾸고 있고, 교수가 아니라면 미국에서 제약회사 연구원을 하고 싶습니다 교수는 한국이든 미국이든 상관없습니다(영어는 능통합니다)
이런 경우에 1. 학부 졸업 후 다이렉트 미박 2. 서카포 석박 통합 후 미국 포닥 둘 중 하나를 밟는 게 베스트라는 판단을 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국에서 교수 임용만이 목표인 경우에는 보통 2번 루트를 많이 추천하시는것 같았고 그렇게 하는게 더 쉽고 빠른 길이라고 하시더라고요. 근데 전 꼭 한국 교수 임용 하나만 바라보는 건 아니고, 능력만 된다면 미국에서 일자리를 구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습니다. (연구원이든 교수든)
그렇다면 어떤길이 더 나을까요? 또, 미국 탑스쿨(Top 10안쪽) 다이렉트 미박은 보통 합격률이 어떻게 되나요? 많이 어렵다고 들었는데 이유가 뭐죠? 학부를 많이 보나요? 추가로, 제 현재 학점은 4.1/4.3 정도이고 학부 연구생 경험은 2학년때부터 매 방학마다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3.05.20
자대 석사 후 미박도 고려해보세요
현실적으로 학부생 때 성과를 내기는 제한적인 것 같습니다
무기력한 로버트 보일*
2023.05.20
S학부 미국 탑스쿨 박사과정중입니다. 먼저 응원하지만 조금은 객관적인게 필요할것같아서 말씀드려요.
제가 미국서 석박 6년을해본경험에 비추어보았을때, 미국 탑스쿨기준 서울대 카이스트 정도 알지 나머지는 ssh든 지방대든 크게 알지도못하고 전혀 상관없습니다. 그리고 저도그렇고 학부과탑수준 아닌사람은 거의 못봤으며 기본적으로 jcr 10퍼논문도 1개씩 가지고있었습니다.
영어능통이라쓰셨는데 저도 어릴때 미국서살다가왔음에도 영어가 생각처럼 막상 미국서공부하면 능통하다고 느껴지지않습니다.
이말씀을드리는건 말씀해주신 내용중 미국탑스쿨박사과정 가능성이보이는 내용이 단한개도없어보여서, 이를 인지하시고 더준비를 체계적으로 열심히 하셔야할것같아서 말씀드립니다.
대댓글 4개
2023.05.20
네 조언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준비하겠습니다. 그런데 아직 3학년이라 모르는 것도 많고 많이 부족합니다. 학부 졸업 하시고 다이렉트로 가신건가요? jcr 논문은 본인께서도 가지고 미박 지원하신건지요? 학부가 전혀 중요하지 않은거라면 다이렉트 미박 지원 시 가장 중요한게 무엇일까요?
무기력한 로버트 보일*
2023.05.20
네 저는 JCR 10퍼는 아니였고 그당시 Q1 논문있었습니다. 추가로 적지는 않았지만, 과고, 화학올림피아드 수상경력 등등 다른 스펙들도 있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는건 미국 탑스쿨기준으로 말씀드린거지 미국 대학원은 그정도까지는 요구하지 않고, gre 잘맞으면 갈수있는경우도 있어요. 그렇다고 쉽다는건절대아닙니다. 아마 작성자분들은 들어본적도 없는 대학원도 미국에서는 나름 유명할수있고 거기도 들어가려면 학과 탑은물론 gre도 매우 높아야가는경우도 많을것입니다.
아마 작성자분들의 경쟁자는 작성자분보다 한국서 흔히말하는 학벌이 낮은학생일수있어요. 그런데 그친구들은 대부분 gre가 매우 높거나, 논문을썼거나 이런저런 활동을 엄청많이했을 경우가 높습니다.
미국 교수입장에서는 말씀드린것처럼 ssh 나 지방대나 거의 비슷한수준으로 볼것이기 때문에, 아마 경쟁자들을 더 높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밑에 서카포 이후 미국 포닥을말씀드리면,
미국 탑스쿨에 오신 서카포 졸업생분들 실적을 한번 살펴보시면, 정말 매우 우수한사람들이 10명의 9명일것임을 알수 있습니다.
어느길로가도 매우 우수해야하죠
그래서 작성자분이 어떤 gre 어떤 올림피아드경력 (국제대회 수상) 등을 제가 알지는 못하지만 아마 전무할것이라고 생각하니 현실적인 좋언을 드리면, 미국의 나름 괜찮은 주립대 또는 들어본 사립대를 목표로하시고 거기서 좋은실적을 얻은다음 좋은학교 포닥을 노리는게 그나마 가능성있고 현실성있고 조금은 쉬운 길을 수 있습니다.
미국 유명 주립대 나름 들어본 사립대 대학원나왔다고 아무도 무시안하니 그점은 걱정안하셔도됩니다.
바보같은 카를 가우스*
2023.05.20
카이스트도 모르고 서울대만 압니다.
바보같은 카를 가우스*
2023.05.20
그리고 gre는 전혀 상관업습니다.. 예전에 gre 받았을때도 당락과는 관련 없었습니다.
2023.05.20
탑스쿨 합격이 어려운 이유가 뭐긴요. 전세계에서 날고기는 애들이 지원하는데 그들보다 뛰어난 뭔가가 있어야 뽑죠. 학부생때 할수있는건 수석or차석으로 졸업하기+연구경험
대댓글 1개
2023.05.20
그리고 윗댓분이 gre를 너무 강조하셨는데, 입시하신지 오래되셔서 그럴 수 있는데 요즘은 탑스쿨은 gre 받지도 않거니와 교수들 gre 만점이 몇점인지도 잘 모릅니다.
2023.05.20
저는 수도권대학나와서 미국에서 석사하고 분야 top5~10위 미국대학 박사과정합격해서 요번 가을에 들어갑니다.. 교수나 커미티가 학생을 뽑을때 보는 기준이 세가지인데 학벌/학점/연구 여러 학교들 교수들과 인터뷰해봤을때(한 mit,칼텍,스탠포드 뺴고 top20까지 인터뷰 많이해본거같습니다) 한국대학교는 정말 솔직히 까놓고말해서 서울대 카이스트 말고 잘 모르구요, 그리고 서울대도 우리나라의 위상이아니고 그냥 U of ~~ 같은 플래그쉽주립대 나온느낌으로 쳐줍니다. 아 너 그래도 너네 주에서 공부깨나 했겠네 요정도 쯤이요. 아마 우리나라 입시가 얼마나 치열한지 몰라서 그렇다고 생각은 합니다만은...
물론 저보다 좋은학교 나오셨으니 학벌얘기를 제가 하는것도 웃기지만 미국교수가 보기에는 설/카도 아닌 서성한이면 학벌은 그냥 soso아니면 중간정도로 칠겁니다. 물론 제가 듣기로는 과내 패컬티중 한국인출신에게 이학교 좋은학교냐고 물어봐서 어느 정도 감안은 한다고 듣기는 했습니다만은... 그래도 지방대나 수도권대학이나 서성한이나 교수가 바라보는 이미지는 별로 다를게 없다고생각합니다. (절대 서성한 대학교 무시하는게 아닙니다 그냥 현실적으로 얘기드리는겁니다)
대댓글 5개
2023.05.20
제가 visiting day로 존스홉킨스에서초청을 받앗을때 본학생들 말씀드리자면은... direct phd가는 친구들 학벌 정말 엄청납니다. 한 25명정도 초청받았는데 학벌들 보자면 U of chicago, cornell, harvard, berkeley, georgia tech, caltech, umich등등... 서성한이 안좋은 학교지만 이런학교들과 비교했을때, 더 좋다고는 빈말로도 하기어렵겠죠... 존스홉킨스가 10~15위 사이지만 이정도 학생들이 비지팅데이 오고, 실제로 박사과정중인 학생들 봤을때도 이정도급 학교에서 학부마치고 오는 학생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럼 이제 학점이랑 연구가남은건데.. 학점이야 뭐 탑스쿨지원자들이면 말안해도 다들높을테니 패스하고.. 저런 경쟁자들을 이기려면 연구로써 증명해야 하는건데, 지금 제가보기에는 뚜렷한 성과가 있어보이지 않네요. 앞에서 말씀드린 학교에서 오는친구들 논문은 없어도 세계적인 학교에 세계적인 랩에서 연구경험 쌓고오는데, 거기에 비해서 본인이 뛰어남을 증명하려면 실질적인 논문이라도 있어야하겠죠..
저같은경우는 학부성적도 안좋았지만(3.8/4.5) 석사 2년간 jcr 2% 8% 1저자, 5% 3저자, 그리고 리뷰논문 2개 1저자 쓰고 갔습니다. 인터뷰도 열번이상한거같구요.. 아무래도 제가 많이떨어진이유는 학벌/학점이 부족해서라 생각합니다. 저는 진짜 보여줄게 연구밖에 없었거든요.
2023.05.22
대단하십니다..! 지나가다 댓글 남깁니다
석사 2년간 어떻게 논문을 4편이나 작성하셨나요? (3저자 제외) 저는 Jcr 2% 딱 한 편 쓰는데에도 2년을 거의 다 썼는데 말이죠.. 공백기 없이 하신건지... 저는 논문 모자라서 졸업 후에도 1년 정도 교수님 밑에 있으려고 하거든요 ㅠ
2023.05.22
안녕하세요 소위말하는 '포스트석사' 하려고하시는건지요? 지원시기에 공백이생겨서 연구경력중간에 비는거아니면은 굳이 그러시지마시고 바로가셨으면좋겠습니다만... 그래도 제가 상황은 잘 모르니까요. 저는 석사 들어가기전에 시간이좀 붕떳을때 놀꺼면 리뷰나하나써라해서 하나썻었구요. 그리고 나머지는 제가 운이좋게 좋은 포닥분만나서 연구 잘배우고, 교수가 논미새 여서 바로바로 논문썼던거같습니다... 근데 연구논문썻던 주제하나는 도저히 다시는 못할거같네요.. 너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아직도 그때 생각만하면 머리가 지끈지끈합니다.
2023.05.22
그리고 나머지 리뷰논문 하나는 그 포닥분이 교수되셔서 리뷰논문 초청받았는데 챕터하나 쓰면 저1저자먹고 자기는 교신저자먹는걸로가자 해서 그렇게 썻습니다.. 아 생각해보니 북챕터1저자도 하나썼었네요. 한 3주만에썼던거같습니다. 덕분에 리뷰논문쓰는건 달인이 됬네요... 졸업할때쯤에는 리뷰논문에 한해서는 매뉴스크립 갖다줘도 문법고치는 수준에서 코멘트 끝나더라구요 ㅋㅋ
2023.05.22
아 그리고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미국박사입시, 정말 쉽지않습니다. 제가 듣기로 우리나라 좋은대학, 연세대도 펀딩따오면 30퍼센트 밖에 안가져가는걸로 알고있는데, 미국대학교는 탑스쿨로갈수록 펀딩때가는거 무시무시하게 때갑니다. 예를들면 조지아텍같은경우 69퍼라고 들었어요. 1억따오면 3천만원 수중에 남는겁니다. 박사과정한사람 지원하려면 지역마다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대충 12만불 정도 든다고 들었습니다. 교수가 깐깐하게 학생들 뽑을수밖에없는 거죠. 저도 인터뷰할때 교수인터뷰, 랩멤버 인터뷰 요렇게했던거같아요. 그리고 합격하고 그 랩 포닥분이 알려준건데 2명뽑는데 50명정도 인터뷰 보셨다고하더라고요 교수님이...(물론 맘에안들면 교수인터뷰에서 컷당했겠죠). 정말정말 치열하게 준비하셔야되요.
바보같은 카를 가우스*
2023.05.20
교수 임용이 목표여도 1번이 좋고, 아니어도 무조건 1번입니다. 2번을 택하는 경우는 다박을 갈 실력이 없어서거나 군대 가기 싫어서 2가지 경우 밖에 없습니다. 요새는 박전연 제도도 이상해지고 군대도 짧아졌기 때문에 국박 메리트가 더 낮아졌죠.
저는 학/석 해외에서 하고 지금은 미국에서 박사하는중인데 (top 30), 탑스쿨 (칼텍, MIT, Berk외 몇) 아니면 한국에서 박사하는게 낫다는 생각을 하고있는 중입니다. 이거에 말하고싶은건 많은데 너무 길어질까봐 이렇게만 쓸께요. 궁금하신거 있으면 더 답변드리겠습니다.
대댓글 4개
2023.05.25
왜 한국에서 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전 한국에서 통합하다가 석사로 전환했는데 저희 분야 한국에서 논문 나오는 거 보면 일부 서울대 카이스트 랩 제외하면 처참한 거 같습니다
2023.05.25
저도 궁금합니다. 탑스쿨을 목표로 하긴 하나, 안될 가능성도 높기에 top 30권 대학으로 미박을 간다면 어떤 점에서 한국에서 박사가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바보같은 카를 가우스*
2023.05.26
Top 30이어도 국내 대학원보다는 백배 낫습니다. 국내 대학원들은 냉정히 얘기해서 세계 100위 안에도 못들어요.
2023.05.27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로그인이 안되있어서 알림을 못봤네요. 많이 주관적이라는 걸 감안하고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해외생활을 오래하다보니까 한국에서 가족들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살고싶은게 일단 첫번째입니다. 미국이란 나라가 워낙 크긴 하지만 비교적 안전하다는 도시에서 생활하고있는데 총기사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괜히 재수없게 총맞는거 아니냐는 생각이 가끔 들어요.
그 다음으론 네임벨류/prestige인데... 제가 하는분야에서 논문실적만 보자면 한국에서 서카포더해서 몇군데 찾아보면 괜찮은 연구실이 보이더라구요. 한국에서 노력하면 들어갈수있을거 같은데 굳이 미국으로? Prestige를 보자면 미국의 top30가 한국보다 괜찮겠지만, 요즘 드는생각은 이름값이 그렇게 중요한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 더 회의감이 드는것도 있네요.
제가 있는이 top10은 절대 아닌거같은데 은근 탑스쿨 버리고 오는사람들도 많더라구요. 이부분은 조금 놀라웠는데, 네임벨류를 떠나서, quality of life나 다른걸 고려하면 이해가는 선택이라고 생각하고있습니다.
이게 답변이 될런지 모르겠네요.
2023.05.24
spk 인기랩을 가게 될 경우, 교수임용의 길이 많은건 사실입니다. 저또한 2번 코스를 밟았는데, 지도교수와 선배님들 덕분에 저한테도 오퍼가 많이 오긴 했어요. 다만 spk인기랩은 국내에서도 정말 극소수 경우입니다. spk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 중에서도 20%정도나 해외포닥을 갑니다. 거기에서 원하는 학교로 가는 비율은 더욱 적겠고요. 2안은 본인이 spk인기랩에 속할수 있으면 충분히 괜찮으며, 자대생에 학점좋은 학생들도 많이 노리는 코스지만, 단순한 spk 석박은 널리고 널려서 큰 메리트는 없어보입니다. 그리고 윗분말씀대로 최근에는 "해외에서 잡 구할게 아닌이상", spk학부출신들은 top20아니면 그냥 자대 괜찮은랩실 노리는게 일반적 같습니다. 탑대학이 어느정도까지 말씀하시는지 몰라도, top30넘어가면 생각보다 이름조차 못들어본 학교들이 많아지죠.
2023.05.20
2023.05.20
대댓글 4개
2023.05.20
2023.05.20
2023.05.20
2023.05.20
2023.05.20
대댓글 1개
2023.05.20
2023.05.20
대댓글 5개
2023.05.20
2023.05.22
2023.05.22
2023.05.22
2023.05.22
2023.05.20
2023.05.23
2023.05.23
대댓글 4개
2023.05.25
2023.05.25
2023.05.26
2023.05.27
202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