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지거국 전기과 학점 4.0x 학부생입니다.
졸업작품으로는 아날로그 회로 설계를 하고있습니다.
이외에 스펙으로는 중견 기업에서 제어설계 인턴, 토익 850, 토스 130,
idec 강의 수강입니다.
네.. 많이 부족합니다. 토익과 토스는 공부를 안하고 응시한 시험이라 성적을 더 올릴 수 있지만 하반기 공채가 얼마남지 않아 자소서 등에 신경을 더 쏟고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면, 저는 회로 설계를 하고 싶습니다. 회로 설계 관련 공부하는 것이 재미있습니다.
삼성Lsi에서 회로 설계를 희망하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글을 봤습니다 ㅠㅠ
학부생의 신분으로도 어려운데, spk 출신이 아닌 저에게는 더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저는 취업 후 해외 대학원의 길도 열어두고 있어서, 삼성전자의 일반 공기로 취업을 하는 것도 어렵지만, 해외 대학원의 길이 닫힐 거 같기도 하고, 제가 좋아하고 흥미있어하는 분야가 회로 설계 분야라서 미국 대학원을 고민중입니다.
현실적으로 미국대학원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서 석사 유학 가능성이나 삼성 lsi 취업 가능성에 대해서 현실적으로 생각을 듣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2.08.18
미국 대학원에 관해서 일단 알아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전문성을 갖추는게 목적이면 처음부터 박사로 지원하는게 좋고, 무엇보다 박사는 보통 돈을 받으면서 다닙니다. 회사에서 돈을 좀 모으고 석사로 가는 방법도 있지만 굉장히 비쌉니다.
대댓글 2개
2022.08.18
우선 지도 교수님과 상담이 우선이겠죠..? 자대 대학원 말씀하셨는데 기분 상하실까봐 조금 걱정이네요..
처음부터 박사로 지원하면 석사를 한국에서 따고 지원하라는 말씀이실까요??
아직 잘 몰라서 질문합니다
감사합니다.
2022.08.18
오히려 미국 가겠다고 하면 한국의 다른 대학원 가는 것보다는 덜 눈치보이지 않나 싶네요. 미국 박사는 석사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석사는 취업할 사람들이 주로 따는걸로 생각합니다. 물론 석사 따고 박사 지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필수가 아니고, 오히려 석사를 따면 그만큼 평가기준이 올라갑니다
2022.08.20
회로설계 하고 싶으면 대학원은 회로설계 랩 들어 가야됩니다.
테잎 아웃 맞추려고 밤새는건 기본이고 레이아웃 할때 에러 엄청나니까 시간 엄청 들여야 됩니다.
미국 박사는 퀄 떨어지면 한국에 다시 와야 되요.
대댓글 3개
2022.08.22
그럼 미국 대학원 생각은 나중에 하고 한국에서 석사먼저 추천하시는 걸까요??
아직 교수님과 컨택은 안했는데 자대를 가야할지 타대를 도전해봐야할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2022.08.22
타대 회로 석사
집에 돈 있으면 석사 졸업 후 미국 박사 석사 졸업 후 바로 지원하는게 좋은데 원서쓰는데도 돈 많이 들고 토플 점수 맞추는데도 시간 걸립니다.
집에 돈이 없으면 석사 졸업후 회사 갔다가 가도 됩니다. 인도인 중국인들에 비해선 어짜피 많이 늦은거라서 별로 상관 없습니다. 한국인들은 회사 다니다가 때려치고 박사 유학나오는 사람들이 많거든요
2022.08.24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네요. 타대 석사 지원은 최소 언제부터 컨택 시작해야 할 수 있을까요?
서카포 아니어도 괜찮을까요??
2022.08.18
대댓글 2개
2022.08.18
2022.08.18
2022.08.20
대댓글 3개
2022.08.22
2022.08.22
20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