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에서 데싸 전공 중인 학생입니다. 한국 대학원 진학 도움 부탁드립니다.

2022.06.13

12

1941

안녕하세요. 미국 ㅇㅇㅇㅇ 대학교 (너무 개인신상이라 대학 이름은 그냥 지웠습니다) 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BS 전공 중인 유학생입니다. 아직 2학년 초반이라 배운 것은 많이 없습니다. 학점은 3.5/4.0 유지 중이고, 교외활동은 실리콘밸리 쪽 회사에서 잠시 스탠포드 박사님과 장애아동 돕는 봉사활동을 하였습니다.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이고 바이올로지 클럽에 들어가 있습니다. 미국 교수님 밑에서 1학년 학생들 Biology 가르치는 TA 활동도 신청한 상태입니다.

교외활동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바이오에 관심이 많아 데싸를 듣고 있으면서도 바이오 수업을 같이 듣고 있습니다. 바이오가 흥미 있게 느껴지는데 데싸 분야가 좀 더 미래가 밝은 듯 하여 진학하였지만, 계속 바이오쪽과 연계하여 학문을 배우고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대학원은 한국으로 진학하고, 데싸와 바이오 등이 연계된 곳으로 가고 싶은데 (작은 소망입니다.. 아는 게 얼마 없어서 가능??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직 전공 지식도 매우 부족하고 특히 ㅇㅇㅇㅇ 대학이 음대 친구들은 엄청 많은 것에 비해 공대 친구들은 한 명도 없습니다. 교회 한인 교수님들도 건축과, 전기공학과, 경제학과여서 제 전공과는 약간 거리가 있습니다.

혹시 이러한 상황에서 바이오 or 데싸와 연관된 한국 대학원을 진학하려면 뭐부터 해야하는지 잘 아시는 분들 계신가요?

조언을 듣기로는 일단 한국은 학벌보다는 교수님 명성이 중요하다고, 관심있는 세부전공분야를 정한 뒤 한국에 방학 때 들어가 학부연구생?을 해보고, 나중에 교수님께 컨택해서 대학원 진학하면 된다는데 이게 맞는지도 궁금합니다.

글이 조금 길어졌는데요, 질문을 요약하자면

1. 한국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스펙 (eg. 기업 인턴/학부연구생 등등)

2. 데싸/바이오 관련 분야에서 할만한 세부 전공 추천 (바이오가 미래가 어둡다고 들었는데, 그나마 밝은 전공이라면 어디가 있을까요? Bioinformatics 분야 인가요?)

3. 데싸도 컴퓨터 사이언스처럼 포폴 만드는 게 중요한가요? 혹은 연구 활동을 많이 하는 게 더 중요할까요?

4. 현재 3개월 방학이라 한국에 들어온 상태인데, 무엇을 하는 게 대학원 진학 스펙에 도움이 될까요?


마지막으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06.13

서울대 GSDS Bioinformatics 하시는 분 계신걸로 알고있어요. 한번 간단한 컨택메일 정도로 시작하셔도 괜찮을거 같은데요?

대댓글 2개

2022.06.13

오 감사합니다.. 제가 한국교수님들을 잘 몰라서 어떤 식으로 컨택해야하는지 모르는데, 그냥 바로 학부연구생 하고싶다고 컨택메일 보내도 되는건가요? 전공 지식이 교수님들이 보시기에 많이 부족할텐데 그래도 학부연구생이 가능한건가요? 많은 질문 죄송합니다.

2022.06.14

위에 작성하신것 같은 소개를 메일로 보내보세요.
어떤 연구에 관심있는지 구체적으로 작성하시는것이 좋아요.
교수님을 홈페이지에서 찾아보시고 연구실에서 나온 논문을 읽어 보세요. 메일에 이런 논문을 읽어 보았는데, 어떠어떠한 사유로 이 연구실에 들어가고 싶은지 혹은 학부연구생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알리세요. 답변이 없다면 그 연구실 박사에게 메일을 보내 보세요. 그리고 대학원 홈페이지에서 공지를 확인하셔서, 조건을 확인하세요. 몇몇 학교에서 제공하는 시험을 통과하셔야 합니다. 몇몇 학교는 연락하는것으로 많은 점수를 얻으실 수 있지만, 시험에 필요한 과목들이 있으니 전공시험 준비를 하셔야 해요.
요약해서 교수님께 소개 이메일, 학교 홈피 확인.

2022.06.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에서 한국 대학원으로 돌아오시면 다운그레이딩입니다. 미국 대학원에서 받아주는 곳이 없어서 오는 걸로 생각하거든요.

대댓글 5개

2022.06.14

제 질문의 요점은 한국 대학원 진학에 관한 질이지, 다운그레이딩이 걱정된다는 소리는 아닙니다. 미국 석박은 아는 미국 사시는 교수님들께 여쭈어 보면 되는 문제이지만 한국 사는 친구들은 다 대학생이라 여기 대학원생 선배님들이 많을 것 같아 질문을 올린 것입니다. ^^

2022.06.15

그건 진짜 개인적인 주관입니다. 분야별이구요. 특히 데싸같은경우 현재 국내가 전혀 미국 탑스쿨에 뒤지지않습니다. 솔직히 스탠퍼드, 버클리, 칼텍, mit, cmu제외하고 cs ranking이나 아웃풋보시면 한국이더 잘나갑니다. 교수임용이나 FANNG취업시도 그렇구요. 미국에 20위권 밖 갈빠에는 서울대 카이스트가 낫습니다. 질문자가 어디학부인지도 모른데 이런 싸잡아서 한국대학원 비하하는건 좋지않습니다.

2022.06.15

박사는 학부로 줄세워 랭킹 매기는데가 아닙니다. 대학별로 전공별로 탑스쿨이 다르구요. Cs는 cmu, 로봇은 mit등 정해져있습니다. 그리고 전자과를 기반으로한 비전쪽은 특히 카이스트에 몇몇 연구실 (예, 권인소 교수)같은 경우 현재 박사졸업자 네분이 카이스트 AI대학원 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미국 탑10졸업자 제치구요. 박사는 실적이고 인성좋고 밀어주는 교수 밑에 가는게 최고입니다. 한국에 올상황이라면 서울대, 카이스트정도면 미국에 cmu, mit, 스탠퍼드갈것 아니면 현 시대에 다운그레이드는 전혀아닙니다. 데싸면 더더욱이요. Cs는 큰 장비나 실험이 필요한 생화학 분야도 아니고 개인 프로그래밍실력과 라이팅 실력만있으면 자기하기 나름입니다. 미국에서 취업하는거라면 미국대학원진학이 유리할수 있습니다. 방학때 인턴등을 노려볼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요즘은 마이크로소프트 아시안 페로우쉽이다 머다해서 해외 IT기업 취업도 기회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Github이나 링크드인 cv관리만 잘한다면요. 다만 한국에서 카이스트, 서울대, 포스텍은 가는게 좋습니다.

2022.06.15

왜냐면 현재 카이스트, 서울대 석박하는 50프로인원이 학부 서울대, 카이스트, uc 버클리, cmu등 다양한데 그들이 실력이 없어서 미국 대학원을 안갔을까요? 80,90년대면 모를까 현재는 아닙니다. 개나소나 유학가는시대고 교수임용시 mit를 나와도 3년대 논문실적 딸리면 교수못합니다. 좋은 학교일수록요. 반대로 현재 카이스트나 서울대가 공학순위가 QS기준 15위, 20위권이라 해외교수들도 좋은 학교고 탑스쿨인지 다알고 있습니다. 석사까진 테크니션의 영역이라쳐도 박사부턴 실적이고 연구잘하면 장땡입니다. 학벌은 대학원이아니라 학부에 적용되는거구요. "미국에서 한국대학원으로 돌아오시면 다운그레이딩"이라는 말은 정말 믿도 끝도없는 무지한 소리라고 생각들어 글남깁니다. 특정분야와 미국 특정학교는 그럴수 있겠죠. 예를들어 세계 1위권인 mit에 로봇 분야하다가 세계 14위권인 카이스트기계과오면 다운그레이딩이겠죠. 그런데 코넬이나 퍼듀정도학교면 유학원에서도 가지말라고 합니다. 그리고 학과바이 학과인데 그런거 다무시하는 아직도 80년대 사시는 분이계셔서 글납깁니다. 특히 공학에서 젤중요한 반도체쪽 분야만 하더라도 삼성 파워로 학회가면 카이스트가 메인에 있습니다. 너무 학과나 학교, 랩안따지고 미국모든 학교보다 한국대학원 자체가 떨어진다는 무지한 발언을 하셔서 미국에서 일하는 연구자로써 글남깁니다.

2022.06.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내 학석박이면 OK. 하지만 미국 나갔다가 한국 리턴하는 건 다운그레이딩이죠.

2022.06.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내 학석박이면 OK. 하지만 미국 나갔다가 한국 리턴하는 건 다운그레이딩이죠.

대댓글 2개

2022.12.27

혹시 학벌에 열등감이 있으신가요? 작성자입니다. 저는 중국 필리핀 미국 독일에서 살았습니다. 본인의 실력이 좋으면 어느 나라의 어떤 대학원을 가든 별 문제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

2022.12.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는 미국 R1에서 교수하고 있습니다. 조금은 전문적인 입장에서 조언드리는 거예요. 건축디자인 같은 몇몇 전공을 제외하고는 (박사가 필수가 아니라서, 석사 유학하고 귀국했다가 국내 박사를 하는 경우가 있긴 하죠) 박사를 한국에서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다운그레이딩입니다. 그냥 조언 드리는 겁니다. 본인 인생이니 본인이 알아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