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yk학부 다이렉트미박 가능성..?

2022.05.22

23

2524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2.05.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갓준표 멘토링 ㄱ

대댓글 1개

2022.05.22

참고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화난 빌헬름 뢴트겐*

2022.05.22

1. 논문 없으면 30위
2. IF 10점 짜리 쓸 수 있으면 가능성 있음.

왜 gpa를 4.0만점으로 쓰셨는지 모르겠지만 3.6/4.0은 4.3 환산해도 3점대 학점일거 같은데, 국내에서 그정도 학점으로 MIT 버클리 갈 수 있는 학부는 서울대 밖에 없음.

대댓글 3개

화난 빌헬름 뢴트겐*

2022.05.22

다시 읽어 보니까 현재 학점이 3.6이 아니라 목표가 3.6이네요.. 그정도면 거의 가망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Spk 대학원 입학도 장담못합니다.

2022.05.22

팩트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해야겠네요.ㅠㅠ
gpa 만점을 그대로 쓰면 학교가 특정돼서요..
해외 대학들은 4.0만점으로 심사한다고 듣기도 했구요

화난 빌헬름 뢴트겐*

2022.05.23

4.0 만점으로 심사하지 않습니다.

2022.05.22

<본문박제>
안녕하세요 똑똑하고 잘생기신 김박사넷 유저 분들..
다이렉트 미박 어느정도 수준까지 가능할지에 대하여 여쭙고자 글을 씁니다..
이건 현재 스펙이 아니고, 지금 상황을 고려했을 때
졸업할 때까지 제 현실적 목표인데요..

학부 : yk
학과 : 기계공학
gpa (목표) :
전체 3.6/4.0
전공 3.8/4.0
iBT 102
gre 는 더 올릴 예정인데 일단은
V154 Q167 W3.0입니다.

Unist 동계연구인턴 경험
자대 자과 학부연구생 경험

있다고 할 때
1. 이정도로는 기계공학 랭킹 몇 위 정도까지 도전해볼 수 있을지?
2. 만약 학부연구생을 통해 좋은 논문 실적(예 : SCI급 논문 1저자)를 보유하고 있다면 탑스쿨이라 불리는 MIT 스탠포드 버클리 등에도 합격가능성이 있을지?

에 대해서 의견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아직 결정되지도 않은 것이지만.. 바보같은 질문이었다면 죄송합니다
다들 좋은 하루 되세요!

대댓글 1개

2022.05.22

?

2022.05.22

GRE는 코로나 이후로 반영안합니다;;
공대생한테 토플 컷트라인이 100점 넘는곳은 몇 군데 없습니다. 대부분 80~90점대
SCI 급 논문이 없으면 다이렉트는 50위까지 원서 지원 해봐야 됩니다. 돈 많이 듭니다.
공대 특성상 교수가 중국인 인도인 교수가 많기 때문에 중국인 인도인 학생 선호합니다.
교수 컨택은 꼭 해보고 펀딩 줄수 있는지 물어봐야 됩니다.
중국인 교수+중국인 학생만 있는 연구실은 피해야 됩니다.
이건 간단한 검색만으로도 알 수 있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5.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코로나 끝나가서 gre 대거 부활 가능성 있어요

2022.05.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 // 당위성 전혀 없는 발언이네요

2022.05.22

로보틱스면 50위권 운좋으면 갈거고
좀 인기없는 분야면 30위권정도는 갈듯?
탑스쿨은 yk에서 수석해야 도전해볼만합니다
탑스쿨이 만만한곳이 아닙니다

대댓글 1개

2022.05.22

논문 1저자 잇을때 기준임

2022.05.22

1. 50위권 이내도 힘듬 100위권은 가능할듯
2. 가능성은 있지만 장담못함

참고로 유학가는데는 yk학부던 spk던 지거국이던 별 차이없음 논문실적>학점>>>그외 다른요소

2022.05.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커스에 올리세요. 여기는 다 국내파라 몰라요.

대댓글 2개

화난 빌헬름 뢴트겐*

2022.05.23

한국시간으로 새벽에 여기 댓글 달리는 속도만 봐도 미박 겁나 많은데요 ㅋㅋ

2022.05.23

그건 대학원생이니까...

2022.05.23

기계과 3.8/4.3 자대 석사 이후에 mit 합격 받은분도 있어요.
다이렉트면 top 20위 안쪽 석사 하고나면 top 10 정도 노려보세요.

2022.05.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스펙 괜찮기 때문에 당락은 sci 저널 유무에 달려있을 듯
없으면 괜찮지만 누구나 가져오는 스펙 느낌?

2022.05.23

y 3.8중반/4.3에 sci로 spk인기랩으로 와있습니다. 전문연등 문제로 미박을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동기, 1-2년 선배중 저보다 높은학점들중에서 다이랙트로 탑스쿨을 가는것은 못봤습니다. 물론 유학준비를 안했어서 지인들한테만 소식을 들은거라서 제가 모르는것일수도 있겠죠.
주변에 git나 cmu같이 10~20위권은 간경우있는데 다들 학점도좋고 학부연구생하면서 꽤좋은 논문썼습니다. 탑스쿨 어드미션은 윗분들말대로 쉽지않은것같아요.. 석사까지하면서 주변 교수들 추천서도 확실하게받고 '눈에띄는' 논문을쓰지않는이상에는요. sci급 논문도 솔직히 편차가 엄청심해서, 보통은 상위 몇퍼센트 저널인지를 보게됩니다.
분야마다 %도 다르고 매트리얼사이언스쪽은 3%는돼야 괜찮은저널이라 하는반면, 로보틱스같이 분야가 좁은곳은 10%저널들도 괜찮다 생각합니다.
눈치보는 정약용*

2022.05.25

톱대학은 특별한 실적없으면 불가능. 일단 20위 권으로 석사하고 논문 좀 제대로된거 쓰고 박사를 가면 모르겠네요.

2023.03.30

다이렉트 미박 말고 석사후 박사를 추천드립니다. 수치상으로 봤을때 비슷한 스펙으로 탑스쿨 붙었습니다.
가능하다면 좀더 개인적으로 조언드리고 싶지만, 한가지 분명한것은 목표하신 학점이 탑스쿨 진학에 부족한건 사실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연구실적을 죽어라 끌어올리면 가능합니다. 그 기회를 석사학위과정 하면서 극대화하면 되고요. 학점, 토플 gre등 보다 연구적으로 어필할수 있는것에 몰빵해서 준비해보세요.
SCI논문이 타겟이 되면 안되고, 탑저널 급에 개제하는것을 목표로 해야합니다. 고만고만한 SCI를 목표로 할거면 3편이상을 타겟으로 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3.03.30

앗 제가 좀 실수가 있었네요 말씀하신 top3급을 말한게 아니고, top5~8정도를 말한거에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