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유학 준비는 어떻게 시작하는 건가요?

2025.11.16

2

210

저는 서울대에서 6학기 동안 사회과학을 전공하다 현재 군복무 중에 있습니다. GPA는 좋은 편입니다. 영어로 수업 혹은 세미나를 듣거나 리딩을 하는 데 큰 어려움을 느끼지는 않지만, 토플 혹은 GRE를 응시한 경험은 아직 없습니다. 집안으로부터 경제적으로 포용적인 지원을 받기는 어렵습니다. 자교 대학원생 분들과 다양한 경로로 교류하다 보니, 국내 인문사회과학 계열 대학원에서 공부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해서는 무지하지 않습니다.

근래 국내외 석사과정을 건너뛰고 곧바로 해외 대학원 박사과정에 지원하거나, 석사과정 중에 계속 박사과정에 지원하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다고 (혹은 차라리 유행하는 듯하다고) 주변으로부터 조언을 들었습니다. 오랜 번민 끝에 연구자의 길을 걷겠다고 결정을 내렸고, 그 길을 먼저 걸어간 선배들도 주변에 계시지만, 막상 미국 유학을 불과 2-3년 후에 갈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한국 밖에서 살아본 적 없는 저로서는 얼마간 막막한 심정이 듭니다. 보다 순수 인문학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writing paper를 잘 쓰면 별다른 경력이 없더라도 괜찮다고 알고 있는데, 이것이 보다 사회과학적인 분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인지 모르겠습니다. 한편 이제부터라도 경력을 쌓자고 생각하니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군대에서 문득 그런 고민을 하다가 이렇게 김박사넷에 처음 회원가입을 하고 이처럼 막연한 질문을 드립니다. 무엇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어떻게 정보를 모을 수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11.16

일단 해당 분야에서 유학 성공한 사람들의 cv를 모으고 무엇을 바탕으로 유학에 성공했는지 파악을 해보세요. 일단 학과 교수님부터 확인.

2025.11.17

석사는 입학이 쉬울 듯? 석사로 펀딩 못받고 와도 ta 하면서 학비 면제 받다가 박사하시는 분도 봤고 (교육학쪽임).
정확히 무슨 과인지 몰르지만 학부 수준에서 바로 해볼만한건 간단한 논문 공모전 같은 거 시도해보는거? 통계지식이 있긴해야겠지만(예를 들면 아동청소년패널 학술대회? ).
꼭 상을 받지 못하더라도 거기서 사용한 자료랑 분석, 논문을 저널에 투고해보는 경험들 (요즘은 영어로도 쉽게 바꿀수있으니).
그런 경험들을 잘 녹여내면 석사는 토플 최저만 맞춰도 될 거 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