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탑스쿨은 국내석사 후 미박 지원자를 비선호하는 경향이 있나요?

2025.01.21

8

1988

탑스쿨(top10)의 경우는 다이렉트 박사를 더욱 선호하고, 국내석사후 미박 지원자는 잘 선호하지 않다는 경향이 있다고 들었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그러면 국내석사후 미박을 준비하는게 오히려 더 마이너스가 되는 걸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1.21

석사가 플러스면 플러스지 마이너스 되는 일은 결코 없습니다. 일종의 관련 경력(어찌보면 가장 관련성이 높은)인데 상식적으로 마이너스가 될까요?

대댓글 2개

2025.01.21

아하 감사합니다! 김박사넷에서 누가 그렇게 말씀하셨는데 근거없는 이야기였나보군요

2025.01.22

석사를 했는데도 연구성과가 미흡하면 마이너스일 수 있습니다. 학부 다이렉트는 그만큼 연구 경험을 쌓을 기회가 적다는걸 어느 정도 감안해주거든요

2025.01.21

와보니깐 skp yk 석사 출신이 엄청 많고 다이렉트는 별로 없네요

대댓글 1개

2025.01.21

오 확실히 탑스쿨 skp 석사 루트로 많이 가시는군요!

2025.01.22

탑스쿨은 아니고 TOP30에 재학중인데 한국인 박사과정 동기들은 전부 석사까지하고 오긴했습니다

2025.01.22

일반적으로 한국석사를 해왔다고 디메리트를 주는건 아닐겁니다. 흔히 말하는건
- 한국 석사 후 강력한 publication 레코드를 갖고온경우 : 무조건 이득, 한국 석사후 미박노리는 것중 가장 흔한일
- 한국 석사후 publication 레코드 없지만 방문연구원 경력 혹은 '강력한' 추천서를 갖고온일: 이또한 꽤나 많은일입니다.
- 한국 석사후 pulbication 레코드도 없고 타경력이 없음: 이 부분이 글쓴이분이 염려하는 부분입니다.
마지막 과정의 경우 혹자는 2년경력이 있는데도 연구경력이 없으면 오히려 안좋게보는 경우도 있다고 말하는것같습니다. 이에 대해서 저도 잘은 모르겠네요. 미국도 thesis를 내는 석사과정이 있긴하지만, 대체로 석사과정 자체가 캐시카우라는 인식도 좀있어서 한국 석사도 인정을 덜받을순있을듯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해도 오히려 석사경력 자체가 마이너스 요소일지는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 아니라고는 생각하지만 제 의견을 일반화 할순없으니까요.

2025.01.22

그런 경향은 없어요. 국내석사 잘하고 해외 탑스쿨 박스로 가시는 분들 많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