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기업 인턴 vs 연구실 인턴

2023.09.30

4

484

SKP EE 계열 재학중인 3학년입니다.
이번 겨울에 삼성전자 인턴을 해야할지 자대 연구실에서 인턴을 해야할지 고민중 입니다. 학기중 연구실 연참을 해봤는데, 교수님들께서 학부생들에게 푸쉬하시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졸업까지 방학이 이번 겨울과 내년 여름 두번 남아서 방학을 알차게 보내야 할 것 같습니다. 두개 모두 그렇게 빡쎄지 않다고 했을 때, 어떤 것을 하는게 미국 유학 지원시 도움이 될 것 같나요?

현재 학점은 3.7/4.3
학부인턴 2회 ML/CV 연구실에서 진행, 이론&논문 스터디 후 발표
중소기업 ML 연구팀 인턴 3개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3.10.01

이미 학부 인턴 2회 하셨으니 대기업 경험이 낫지 않을까요? 페이퍼가 나온다면 미박 진학에 가장 도움이 되겠지만, 인턴을 한다고 페이퍼가 나온다는 보장이 없으니깐요. 둘다 빡시지 않다고 하셨기 때문에 경력 자체로는 삼성전자가 더 도움될것 같아요.

2023.10.01

인턴뿐이더라도 연구실 경험이 훨씬 낫습니다. 말과 서류로 어쨋든 뭔가를 했다고만 설득할 수 있으면 되거든요. 반대로 미국 박사 입시에서 회사 경력은 영향이 0입니다. 관심도 없어요.

2023.10.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가됏던 진학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관심을 나타낼 수 있는 거면 좋습니다.

2023.11.17

뭐가됐던 인턴 횟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실적이 중요함.
실적이 보이지 않는 기업 인턴같은 경우는, 그 기간동안 뭘 배웠고 어떻게 활용할수있는지가 중요한거고.

미박 입시에 회사 경력은 영향이 없다는것도 뭘 모르고 하는 얘기임.
오히려 회사를 다녔음에도 다시 공부를 하겠다고 오는 경우를 더 높게사기도 하고, 중간에 안나가 떨어질거라고 더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