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기본적인 예절을 못배워서 그래요. 심지어 건물 복도에서 다른 연구원 공간이 가까운데도 쩌렁쩌렁하게 전화하는 애들도 많습니다. 점점 에티켓이 없어지는 나라가 되가고 있어요.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8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7 - 뭔놈이 의대가놓고 여기 들어와서 대학원생 비하하고있냐 ㅋㅋㅋ 자격지심 있음? 남 비하하는 사람들은 자존감 낮은거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5 - 의사들의 사회학적 이해 수준과 차별적 언사, 천룡인 마인드는 잘 알고 있었으나 글쓴이가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네.
한 20년 전에 과고 나와서 지금 이공계 교수인데 솔직히 나보다 공부 못했던 애들이 맨날 저러고 앉아 있으니 같잖고 참 자존감 낮다 싶음. 정신 좀 차려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7 - 돈 쫒아 의대 갔으면 그냥 열심히 자격증 따고 돈벌면 됩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3 - ????퀄시험을 끝낸지 4개월이나 지났는데 컨택한 후로 처음하는 1:1회의였다고요?
교수님이 님이 무슨 연구를 하는지 모른다고요???
그거 님이 잘못하고 있는거임. 교수님이 물어볼때까지 그냥 가만히 있지말고 계속 주제 관련해서 미팅 잡으려고 노력하세요.
학생들이 이렇게 소극적이어서 자꾸 문제 생기는거임.
주제 얘기할 때는 자료 철저히 만들어서 교수님이 짧은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그리고 저런 얘기가 나온다는건 님이 하는 연구를 왜 꼭 그렇게 해야하는지, 기존 것과 비교해서 뭐가 다른지, 그렇게 하면 왜 더 좋은지 등을 설득하라는 얘기예요. '나 이거 한다'가 아니라 '나 이거 이러한 이유로 한다'를 명확히 밝히라는 뜻이예요. 님의 연구가 네이처급 좋은 주제라 할지라도 교수님을 납득시키지 못하면 안 돼요.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4 - B가 하거나 공동하는게 나을듯. 요즘은 execution도 엄청 중요함. 아이디어 내기는 쉬움 ㅋㅋ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3 - 생각보다 다들 B라고 하셔서 놀랍네요. 제가 CS/AI분야이긴 하지만 실 작업량은 A가 훨씬 많거든요. (10배이상 많은 것 같네요) 통상 컨퍼런스페이퍼가 짧아서 그런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최소 공동저자는 될 줄 알았는데..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5 - 이건 무조건 B죠.
A한테 공동주저자를 주겠다면 말릴 일입니다.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3 - 사실 작성자분이 A인게 (혹은 A가 정답이라 생각하는게) 좀 투명하게 보여서 다들 B라고 한결 더 단호하게 말하는거 같기도 하네요ㅎㅎ
실 작업량 (소요한 시간) 보다 얼마나 대체불가능한 기여를 했는지 를 생각해보시면 좀 더 받아들이기 쉬우실지도 모르겠습니다.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0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 위에 사람들 말 너무 믿지는 마셈. 자기가 못갔다고해서 남들도 못가는건 아닌데 일단 무조건 안됀다는 사람이 많은거같아요 ㅋㅋㅋㅋ
일단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고 설계를 잘하셔야되요. 분야가 데싸면 박사진학시 연구실적이랑 추천서가 가장 중요할건데 (인더스트리 경력은 플러스, 요즘은 긍정적으로 많이 봐요) 그걸 최고로 뽑아낼수있는 석사를 가시는게 가장 중요해요. 탑티어 논문은 머스트고요. 미국 석사는 생각해보셨나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0 - 헉.. 아직 본인과 경쟁자들이 객관화 안되신것같네요.. 경쟁자들은 MIT, stanford, caltech, … 미국 최우수 대학 관련학과 출신 + 연구경험 다수. 그중 못뽑힌 사람들이 석사까지 관련학과에서 하고 다시 지원. 해외 탑 대학 괴물같은 지원자들 (skp, 칭화대, 동경대, IIT, 취리히공대…) 과 경쟁해야합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0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디스플레이/배터리/반도체패키징 관련 대학원생 모집
2024.09.06
저희는 다양한 발광소재(납/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 유/무기 할라이드 화합물, 나노소재, 형광체 등) 및 이차전지소재(양/음극제, 전고체배터리)를 합성하고 분석합니다. 또한 소재의 특성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차세대 디스플레이, 광전자소자, 센서, 에너지소자)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소재를 다루는 만큼 딥러닝, 머신러닝 등 AI를 활용하여 신규 기능성소재를 효율적으로 탐색하[한양대 신소재공학부] 대학원생 모집
* 연구실 소개
저희는 다양한 발광소재(납/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 유/무기 할라이드 화합물, 나노소재, 형광체 등) 및 이차전지소재(양/음극제, 전고체배터리)를 합성하고 분석합니다. 또한 소재의 특성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차세대 디스플레이, 광전자소자, 센서, 에너지소자)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소재를 다루는 만큼 딥러닝, 머신러닝 등 AI를 활용하여 신규 기능성소재를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있습니다.
* 주요 연구 분야 및 모집인원 (5-6명)
-. QD 온실리콘 디스플레이 (QLEDoS)
: 포토리소그래피, ALD 박막공정, 전하수송층 개발, QLED 소자
-. 신규 발광소재 탐색: AI/ML을 활용한 소재탐색 및 합성, 광전자분광분석
-. 친환경 신규 발광소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
: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이용한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PLD 박막공정
-. 광전자소자 응용
: LED, PD, 센서, IR detector, 신틸레이터, 3D printing 등 광학소재의 특성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 응용
-. 이차전지 (이차전지 인력양성 사업)
: 양/음극제, 전고체 전해질 개발 및 분석
-. 반도체 패키징 (반도체 특성화 대학원)
: 솔더 접합공정을 포함한 반도체 패키징, 방열소재 개발을 통한 반도체 소자성능 향상
** 한국화학연구원(KRICT)-한양대학교(HYU) 학-연협력 공동연구과제 파견 학생 모집 중(대전 화학연구원 파견 근무, 2명)
자세한 내용은 연구실 홈페이지 (http://funmat.org/) 참고.
* 연구분야 키워드
#디스플레이 #배터리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퀀텀닷 #반도체 #패키징 #이차전지 #머신러닝
* 졸업생 정보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SK 이노베이션, LG화학 등 대기업
한국조폐공사,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소
* 연구실 지원 방법
박사후 연구원, 석사/박사과정 대학원생, 학부생 연구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이력서(CV), 성적증명서을 이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이메일 주소: imwonbin@hanyang.ac.kr
- 연구실 홈페이지: http://funmat.org/
* 자격 조건
우리 연구실은 물리, 화학, 신소재, 화학공학, 에너지공학, 전기전자공학 등 다양한 전공분야의 융합을 중요시합니다. 관련 분야에 열정이 있는 분이라면 얼마든지 환영입니다.
* 대우 조건
- 국내외 학회 참여 지원
- 등록금 및 생활비 지원
-
130 51 22402 -
3 1 1338 -
43 10 15644 -
7 14 1902
한양대 신소재공학과 면접 질문 김GPT 0 2 3702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랩실 추천 김GPT 2 2 998-
0 1 1538
한양대 추가 모집하던데 김GPT 1 1 850
대학원 스펙 김GPT 0 3 5385-
125 46 29130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41 31 48455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49 34 99821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3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90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40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4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5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1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25 - 노력이란 무엇일까?
19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0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10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14 - 아픈거도 죄입니까? 인간이 밉습니다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1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9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37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9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32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19 - 다들 컨택 후 확답 몇 개씩 받아두시나요?
10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11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9 - 낮은 학점 대학원 진학 문의 드리고 싶습니다
9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19 - 학부연구생 양다리
10
2024.11.12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