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1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늦으면 시발 가지말던가 이런글 왜올림?
답정너임?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7 - 어중간하게 학부만 나온 사람은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기에는 애매하고요.
제대로된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면 30~40대까지 1저자 논문도 좀 쓰고, 연구비라도 제대로 한번 따본 사람이 되야 의미 있겠죠.
필드에서 축구잘하는 것과 훌륭한 축구감독은 인과관계가 없는 것 처럼, 대통령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논문을 쓰기 위한 제품 개발ㅋㅋ정부 과제로 20억 10억써서 만들면 아무도 안사용 합니다. 상품성이 하나도 없어요.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6 - rnd예산이 포퓰리즘이라니요. 이러니 예산 삭감하는거지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2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1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5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0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9
[2025년 하반기 이차전지 분야 석/박 및 통합 과정(GIST/전남대 등 연계) 지원자 모집]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24.09.06

(2025년 상반기 마감, 하반기 지원 가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센터 이차전지 연구그룹에서 석/박사/석박통합과정 대학원생 모집합니다.
1. 주요 연구 분야:
- 폐전지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차세대 재사용/재활용(양·음극 리사이클링 및 업사이클링) 및 전지 성능 복원
- 차세대 수계/유기계 이차전지 신소재(양극·음극·분리막 등)/공정(건식·습식)/통합 시스템 개발
- 이차전지 성능 향상을 위한 전기화학 시스템 설계
- 차세대 에너지 저장용 멤브레인 및 전기화학 시스템 개발 연구
1) 차세대 전지용 양/음이온 교환막 및 바이폴라막 개발
2) 친환경 에너지 저장을 위한 멤브레인 기반 전기화학 시스템 개발
-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을 이용한 이차전지 상태 진단 및 예측 연구
1)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전극의 결정구조에 대한 XRD 빅데이터 수집 실험
2) (빅데이터 활용) 인공지능/머신러닝 기반 이차전지 상태 진단 및 예측
2. 모집 요강:
1) 협력 대학의 대학원 진학 후 연구소 파견
2) 협의하에 연구 시작 시간은 앞당겨 조정 가능
3. 연구환경/장학조건/대우:
- 다양한 배터리 분야(양극/음극/분리막/차세대 전지/계산화학/머신러닝/인공지능 등)의 전문가들에게 지도를 받고 협업 연구 가능
- 13개의 연구시설*((구축예정포함)100억 이상 최신 장비 및 시설 확보) 기반 적극적 연구 활동 보장
(*13개의 연구시설 : 1) 유·무기 전지소재 합성실, 2) 분리막 합성·코인셀 제작실, 3) 흐름 전지 ·대용량 셀 평가실, 4) 분석실, 5) 코인셀 평가실, 6) 초저습 드라이룸, 7) 전극 제작실, 8) 인공지능·계산화학 서버실, 9) 전지소재 양산 실증 연구동, 10) 고전압 ·대용량 전지 평가실, 11) 탈탄소 압축 공기 공급동, 12) 특수가스 공급실, 13) 대용량가스 공급실)
- 연수장려금
(세전기준-4대 보험 / 퇴직금 등 포함) 석사-약 2600 만원/년, 박사-약 3300 만원/년
(급여기준) 석사-약 2100 만원/년, 박사-약 2600 만원/년
- 논문출판 및 국내/외 학회 참가 지원, 수당 지급
- 타지역 학생 기숙사 제공가능 (협의 필요)
4. 졸업(연수)생으로 연구 후 그간 진로 현황:
졸업생 배터리 3사 취업(SK ON, LG Energy Solution, Samsung SDI)
인턴 포함-Hyundai Motor, SK Innovation, SK ON, LG Chem, LG Energy Solution, Samsung SDI, Umicore 등 입사
5. 협력 대학:
- GIST, 전남대학교 등
1) 학위 기관 협의 가능
2) 석사/박사과정 또는 통합 지원 가능 (석/박사 통합 과정 진학 우대)
* GIST 지원 시, speaking 성적은 반영되지 않으며, TOEIC, NEW TEPS, iBT TOEFL, IELTS 중 택 1의 성적이 필요함.
6.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삼소로 270번길 25
7. 학생연구원 지원자격:
- 학사/석사 졸업예정자 또는 학사/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입학기준 타 기관 및 산업체에 취업되지 않은 자
- 관련 전공: 공학계열(신소재, 재료, 화학, 물리학, 화학공학, 에너지공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및 이외 전공도 협의 가능)
- 학점 기준 또는 어학 기준을 충족하는 자
학점 기준 - 전(全) 학년의 학점 백분위 평점 환산 시 80점 이상
어학 기준 - TOEIC: 730 / TOEIC speaking, OPIc: IM3 이상
* 어학기준 제출면제 :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아일랜드, 남아공) 소재 대학(원)에서 1년 이상 재학하여 학위를 취득한 자(졸업예정자 포함)
ex) 학점: 85점(어학 제출 X) → 지원가능
학점: 78점, TOEIC: 900 → 지원가능
학점: 78점, TOEIC: 700 → 지원불가능
8. 지원방법 및 문의:
- jyma@kier.re.kr (메일 참조 2개 등록: jspark9191@kier.re.kr, kmj7814@kier.re.kr)로 서류 제출 후 협의
- 제출 서류: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자유양식), 수강과목 및 석차 표기된 성적증명서, 영어 성적 자료
- 지원형태 (석사/박사/석박통합) 및 지원 희망 학교(전남대/전남대&GIST) 기입
- 지원 희망자 상시 모집 중 (실제 지원 접수 및 전형 기간은 개별 상의)
지방대 석사 진학 고민중입니다. 김GPT 1 10 5717-
3 8 1814
이차전지 박사 미국 취업 김GPT 6 7 1762
UNIST 전기 1차 지원 김GPT 0 10 3098
한양대 미래자동차 김GPT 0 3 5441
이차전지 연구실 김GPT 1 3 7829
이차전지 대학원 지원 김GPT 0 11 3249
2025전기 지금 컨택 김GPT 0 4 490
카이스트 로봇학제/미래자동차 김GPT 1 1 3836-
172 20 73950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91 25 13180-
334 70 94183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교수로 임용되기 위한 십계명 - 하이브레인 펌
17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교수 특
72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6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1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9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0 - 랩실 출퇴근시간
12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6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9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4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9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7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9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1

미국 박사과정 평균합격률 12%, 극악의 난이도죠.
우리의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교육"👨🎓 뿐입니다.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