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정도면 정신병인듯
인천대 가천대보다 낮은데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38 - 과고시절 돌이켜보면 그 안에서도 어떤 친구는 압도적 재능으로 자습때 맨날 잠만자도 성적 잘 받고, 어떤 친구는 극성엄마가 학원 뺑뺑이 돌려도 중하위 못벗어남.
뭐 동창충 최하위들도 연대 성대는 갔으니 그친구들도 똑똑한 애들이긴 했지만..
무튼 머리 팍팍돌아가는 반짝반짝한 친구들은 누가 가르쳐도 잘 하고, 나중에 크고보니까 환경적으로 부모 재력/학력/유전도 중요하지만 모나지 않게 기르는 극단적이지 않은 집안분위기도 엄청 중요한 것 같음.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0 - 뭔가 국가별로 연구자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을 나열한 느낌인데 진짜 별로임 ㅋㅋ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3 - 1억에 평타 이상 논문 1~2편임. 1천에 1편은 말이되나ㅋㅋ 연구비 1억에 열편이나 쓴다고? 석사 1인 인건비만 해도 연 1천만이 넘는데?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바이오고 지금은 포닥중입니다. 저도 작성자분과 동일한 고민을 꽤 많이 했었고, 실재로 선배든 후배든 학위과정에서 동일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저는 이런 의문이 드는 이유가 바이오가 갖고있는 특성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과학은 정확한 메커니즘과 증거 및 재현 등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바이오는 그 특유의 복잡성 때문에 완전히 이해하고 무언가를 행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오분야는 특히나 변인통제에 힘을 쓰는 형태로 발전해 온 것이겠죠.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작성자분의 고민은 바이오분야라면 누구나 갖고있는 고민이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받아드려 그 안에서 확실한 결과를 만들기 위해 완전한 실험 디자인을 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물론 한 분야를 깊게 파다보면 소위 말하는 통찰력이라는게 생겨 그 찍기가 맞을 확률이 상당히 올라가긴 합니다.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9 - 댓글 보면 한국이 왜 이런거는 후진국인지 알수있음. 대학원 갔으면 학부 학벌 타령할 시기는 지났는데 아직도 학부타령하고있음 ㅋㅋㅋ 주로 실적 부족한 애들이 학벌 타령하는듯.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20 - 딱딱하게만 보면 그냥 아쉬운 쪽이 접고 들어가는 것이긴 한데, 그래도 요즘 애들이 영 부탁하는 법을 잘못배운것 같아요.
"교수님, 제가 집안이 경제적으로 넉넉치 못해서 알바를 하고있는데 인턴과 대학원 생활을 시작하면 어떡해야하는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정도면 될텐데..
존경받는 스승과 성실한 제자 이런 낭만이 점점 사라지는게 아쉽긴 합니다.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2 - 인턴을 뽑지를 말던가 뽑아놓고 일도 시키면서 무급으로 부려먹을 생각 하네 ㅋㅋㅋㅋ 생각하는 수준이 노가다에서 사람 뽑아놓고 배운다고 생각하라고 하면서 돈 안주는거랑 똑같음.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5 - 니가 교수 입장이 되어봐라 인턴 깔짝하고 타대 지원하려는 애들이 9할이다. 뭔 일 시켜 ㅋㅋㅋ 학부생 인턴한테 무슨 일을 시켜???? 수준도 안되는데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0 - 그래 뽑지 마세요 그럼 ㅋㅋㅋㅋ 인턴 뽑아주는게 자원봉사한다고 생각하는 교수가 있는데 진짜 노가다 반장이랑 마인드랑 하는말이 똑같음.
그게 뭐 본인들의 한계인듯.
나는 학부생 애들 최대한 챙겨주고 최대한 월급을 주려고하는데 안그런 사람이 많다는게 안타깝네. 보상에 대해 물어보는거 자체가 기분잡친다는 사람은 진짜 인성 글러먹은듯.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5 - 별로에요 누른사람은 속이 1평남짓인듯 ㅋㅋㅋ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9 - 결과 나오지도 않았는데 속이 어떻게 1평인데 ㅋㅋㅋㅋ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11 - 진짜 대학원 입학보다 랩실 컨텍이 어려워요
저라면 컨택된 포스텍으로 팝니다.
카이스트 포스텍 면접이 겹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8
이공계출신 미래에는 무조건 박사가야된다고 생각하는데, 제 생각이 뭐가 틀린건지좀 짚어주세요
2020.09.16

안녕하세요 학부생 나부랭이 입니다.
요즘 아래와 같은 생각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선배님들...제 생각이 뭐가 틀린것인지 짚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과거 부모세대에는 사회전반적으로 기술력도 ㅎㅌㅊ에 고등학교만 나와도 일자리 빵빵하고 열심히 일해서 먹고살수 있었는데,,
지금은 개나소나 대학감. 솔직히 사회적인 상황만 놓고보자면 지금의 대졸이랑 부모세대의 고졸이랑 비숫한것처럼 보임.
더군다나 이공계 학부에서 전공서적으로 백날 배워봐야 깊이있게 공부하는 애들은 손에 꼽을정도고 실제 산업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도 알수없음.
기술은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변하고 고도화되고있음. 학부생이 할수있는 일은 솔직히 없다고봐도 무방함.
혹자는 빠르게 취업해서 업무를 배우는게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실험하고, 연구하는것보다 가치있다고 하며, 학사들도 경력이 쌓이면 박사급을 씹어먹을수 있다고 말함.
그런데..... 학부생 주제에 산업현장에서 빠르게 배워봤자 박사급 인재들의 전공지식과 데이터 분석능력등은 따라잡을 수 없다 생각함.
아무리 기업의 양산기술과 학계에서의 연구는 다르다 하더라도, 전공분야에 대한 능력은 학계출신들이 출중하다고 생각함.
앞으로는 고도화된 기술력과 전문성을 가지고있는 이공계 인력들만 살아남을것이라 생각함.
또한 AI기술력+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통해서 고졸, 전문대, 학사들은 칼바람의 길에 놓일것이라 생각함.
구글에서도 인력을 뽑을때 여러 요소중 코딩실력과 알고리즘문제풀이 실력등을 90%이상 반영한다고 함.
한 분야의 진짜 기술자들을 뽑는 식으로 기업체들이 채용 시스템을 바꿔나가는 중임.
실제로 요즘 채용트렌트를 보면 석박사급들을 요구하는 기업들이 상당히 많이 보이고
몇몇 기업들은 몇년전부터 학사는 뽑지도 않고 대놓고 석사 이상부터 지원하라고 못박아놓음
하이닉스의 몇몇 직무는 석사 이상만 배치한다고도 함..
결국 전공지식과 기술력이 빠방한 박사급들만 살아남을것으로 봄.(물박사 제외)
---------------------------------------------------------------------------------------------------------------------------
막연히 위와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요...
제 생각이 뭐가 틀린것이고 어떠한 부분이 오류인지 지적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3 8 20514
이공계는 대학원이 필수인가요 김GPT 2 12 4895
문과 학부 나와서 공학 박사 중인데 김GPT 2 6 7754-
9 12 12515
이공계 석사생활을 잘못보냇으면 김GPT 0 10 1739
미래에 대한 고민 김GPT 1 7 2255-
1 15 5175
박사까지 하는 것이 옳을까요 김GPT 1 6 2605-
0 5 2095 -
125 46 29427 -
216 34 27928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명예의전당 147 21 1926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3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5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22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8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7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37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4 - 카이스트 가을학기 서류 결과
3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3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5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22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8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7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37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4 - 카이스트 가을학기 서류 결과
3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0.09.16
2020.09.16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