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CE는 경쟁이 그리 세지않고 석사라 어느학교든 가능성이 있습니디. 그래도 누구나 가고싶은 학교는 연구경험도 없는 지원자면 툭툭 자를 수 있으니 탑10급을 가긴 어려울겁니디. 2. 장학금 보장된 상태로 가는건 사실상 아예 불가능합니다. 다만 미국가서 한두학기 버티면서 열심히 RA/TA를 구하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장학금의 개몀이 한국과 다릅니다. 3.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야죠. 인턴이든 뭐든 연구경험하세요.
대댓글 3개
2025.06.22
댓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한 학기 정도라도 학부 연구생을 한다면 지원 시 도움이 많이 될까요?
2025.06.22
항상 something is better than nothing이죠. 하다못해 CV에 Research Experiences 섹션을 만들 명분이 생기잖아요.
2025.06.22
감사합니다
2025.06.22
1. 경력 없이는 좋은곳 가기 힘듭니다. 2. 좋은 곳을 못가면 장학금 기회도 적고 돈 내고 다닐만한 가치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연구경험이 최우선입니다. 무조건 논문 적는다는 생각으로 해야되요.
대댓글 21개
2025.06.22
되-돼 그리고 좋은곳 기준이 애매하지만 탑 30-40안에만 들면 설카보다 훨씬 좋은 환경서 연구할 수 있음. 집에 연1억도 못지원해주거나 그거 지원해준다고 힘들어질 형편이면 안가는게 맞음. 그리고 웬만해서는 최소 1년은 학비 생활비 전부 자비로 해야함. 그 이후로 연구실 컨택하고 ra로 받아야지. 만약 첨부터 일부라도 펀드 기대를하고 싶으면 토플 105이상 gre330이상을 받으면 가능함 gre중요성이 떨어진다해도 펀딩 가능성에는 영향이 있음
2025.06.22
네 진심 어린 말씀 감사합니다.
2025.06.22
30-40른 오바고 10-20 정더는 가야 괜찮은 교수들이 많아요. 밑으로 내려갈수록 더 올라가기 오래걸립니다
2025.06.22
올라가기 오래 걸린다는 말씀이 어떤 말씀인가요?
2025.06.22
최종 목표가 취직이던 교수던 시작을 낮은 곳에서 하면 나중에 올라가기가 더 힘들어요
2025.06.23
네, 알겠습니다. 현실적으로 논문은 쉽지 않아보이는데 제 스펙으론 어느 정도까지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2025.06.23
50위권은 가능해보이는데 돈 값어치를 하냐 그건 또 모르겠네요. 저라면 한국에서 어떻게든 연구경력을 쌓고 지원할꺼같아요.
2025.06.23
돈도 문제시면 당장 낮은 학교 가는건 절대 비추드립니다. 돈만 날릴 가능성이 매우 높아요.
2025.06.23
낮은 학교 기준은 탑100 입니다. 탑50만 되어도 향후 박사도 좋은 곳으로 가기 서울대보다도 쉬워집니다. 다른 연구기회도 많고요.
제 경험담입니다.
2025.06.23
그건 전혀 아니에요. 현재 미국 상황 잘 모르시는거 같은데 낮은 학교 가면 석사가 너무 많고 교수도 좋은 사람이 많이 없어서 돈만 날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50위권보다 서울대가 훨씬 낫죠, 이상한 미국 뽕 버리시길.
2025.06.23
두 분 다 감사합니다. 젊은 제인 오스틴 님께 하나만 더 여쭤보고 싶은데요. 저는 사실 목표가 top40 안에만 들어가면 된다 인데요, ECE로 지원 해도 간당간당한 스펙인가요? 논문을 제외하고는 학점, IELTS, GRE, 다른 활동 등등을 최대한 챙길 수 있는 건 다 챙기려고 하고 있거든요. 판단 부탁드리겠습니다.
2025.06.24
솔직히 스펙이 뛰어난게 하나도없으신데 (ielts, 학점, gre 이런건 기본입니다) 미국 석사들 중엔 돈만내면 그냥 다 받아주는곳도 있으니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곳 가서 돈낭비 안하려면 더 열심히 해야겠죠?
2025.06.24
네, 시간 내서 댓글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2025.06.24
화이팅입니다. 길게 보고 열심히하세요.
2025.07.02
제인 오스틴은 국박 중이라 저러는 거 같은데 무조건 미국 석사가 낫습니다. 저도 미국 석사 준비 중이지만 부모님 두분 다 교수시고 주변에 미박출신 정말정말 많은데 전부 지원해줄 형편되면 미국으로 석사 가라고 합니다. 다른 분 말씀대로 탑 40-50까진 무조건 설카보다 미국이 나아요(열심히 한다는 가정하에). 설사 2년내내 펀딩 못받는다고 해도 연구실 컨택 후 열심히 참여하고 연구경험 쌓으면 무조건 설카 출신보다 박사 좋은 것에서 좋은 조건으로 합니다. Rec letter나 커뮤니티가 아예 달라져요. 대신 최소 2억은 집에서 지원해줄 수 있어야합니다 석사 2년 기준이에요.
2025.07.02
연구실 컨택하라는 말은 펀드를 못받더라도 해당 연구실에서 연구참여 기회를 얻으라는 말이에요. 이렇개 하면 스펙이 떨어져도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변에 아는 분들도 탑 3,40레벨에서 이렇게 해서 탑 5-탑10수준 풀펀딩 박사 갔어요.
반대로 생각해보세요 한국 spkyk+ist에서 말레이시아, 우즈벡 탑스쿨 석사 뽑을까요 지거국 석사 뽑을까요..? 연구실적이 좀 더 있더라도 큰 차이 안나면 보통 자국 석사에 더 기울게 돼있어요. 추천서도 훨씬 강력하고요
2025.07.02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일단 50 이내에 들어갈 만한 요건을 갖춰야 한다는 말씀이신데 저의 스펙으로 가능할 지 아님 입시 정보에 대해 혹시 조금이라도 아시는 것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2025.07.02
제 분야는 stem중에 엄청 인기분야는 아니라 아마 다를 겁니다. 근데 말씀하신 인공지능 분야가 순수분야라면 아마 많이 빡세서 탑 70-80까지 써보시는 게 나을 수도 있어요. AI, CS, 반도체, 로보틱스는 stem중에서 많이 빡세다고 들은 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ai순수분야가 얼마나 유망한지는 의문이긴 하나 현 상태로 봤을 때는 탑 100이어도 국내보다 미국이 나을 거 같긴하네요. 아니면 캐나다도 고려해보세요
2025.07.03
네, 댓글 감사합니다. 석사 지원 시에 어떤 스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2025.07.03
솔직히 저도 학점이 좋은 편은 아니나..학점이 그래도 젤 중요할 거 같네요. 랩실 프로젝트 참여경험이나 논문이 있다면 제일 크겠지만 석사 지원자는 잘 없는게 일반적이니 그다음은 아무래도 학부에서 볼만한 게 그거겠죠..?
이게 국내는 학벌이 좋고 안좋고에 따라 학점도 다르게 보는거 같긴한데 솔직히 미국도 그러는진 모르겠습니다 저도 sk yk중 하나고 이 중 하나 졸업하면 (특히sk) 어드밴티지가 있단 말도 있으나 잘 모르겠네요.아마 gpa숫자 자체가 더 클거 같고 작성자분 수준이면 손해는 없는 수준 같습니다.만약 학점이 안좋으면 gre로 커버하면 된다고 들었어요
다만 제가 이전에 말했던 분야들은 다를 수 있습니다. Cs는 일단 국내만 봐도 학부생이 sci 4,5편 쓰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 말도 안되긴한데 실제로 꽤 있습니다..김재철 이런 곳 찾아보시면 많을거에요. 어느분야 가시는진 정하셔야겠지만 관심가는 스쿨의 ms중인 사람들 스펙을 한 번 봐보세요.
제 생각에 자비는 잘 준비하시면 탑 40-80사이에 붙으실 수 있을 거 같은데 펀드는 현실적으로 석사동안은 힘드실 수 있을거 같습니다. 저도 자비로 준비 중이에요
2025.07.03
네, 저는 cs로는 안 쓰고 eecs로 쓸 것 같아요. 혹시 이 분야에 대해서 좀 잘 아시는 게 있으신가요? 그리고 관심가는 학교에 ms 쓰는 분의 스펙은 어떻게 볼 수 있는 건가요? 그런 정보는 잘 안보이는 것 같아서요
2025.06.22
네 잘 숙지하겠습니다. 시간 상 객관적으로 논문은 쓰기 어렵다고 판단이 되는데, 소규모 프로젝트 같은 경험은 지원할 때 도움이 될까요?
대댓글 2개
2025.06.22
놉 닥논문
2025.06.22
그럼 논문 이외의 것들은 아얘 도움이 안된다는 말씀이신건가요?
2025.06.25
요새 조지아텍 석사 돈만 내면 받아준다고 학생들이 불만이 많던데 한번 지원해보세요. 저도 석사 1학기 쌩으로내로 1학기 동안 RA찾아서 지금은 박사다니고 있습니다.
대댓글 3개
2025.06.26
혹시 괜찮으시면 개별적으로 쪽지를 좀 드려도 될까요? 저의 상황을 잘 아실 것 같아서요
2025.06.28
네
2025.06.28
여기서는 쪽지가 안 되는데 여기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open.kakao.com/o/s8ecb7Dh
2025.06.21
대댓글 3개
2025.06.22
2025.06.22
2025.06.22
2025.06.22
대댓글 21개
2025.06.22
2025.06.22
2025.06.22
2025.06.22
2025.06.22
2025.06.23
2025.06.23
2025.06.23
2025.06.23
2025.06.23
2025.06.23
2025.06.24
2025.06.24
2025.06.24
2025.07.02
2025.07.02
2025.07.02
2025.07.02
2025.07.03
2025.07.03
2025.07.03
2025.06.22
대댓글 2개
2025.06.22
2025.06.22
2025.06.25
대댓글 3개
2025.06.26
2025.06.28
2025.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