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적으로, 그 동안 꿈꿔왔던 제 자신의 삶과 지금 이대로 유지되버릴 수도 있는 제 삶의 간극이 너무 커서 매일 술만 마시고 있습니다.
주변에선 대기업이라고는 하는데, 막상 직장인 커뮤니티같은 글들 보면 사람들 모두 중소기업이랑 다를게 뭐냐 라며 욕을 하구요....
연구자로써 제가 너무 우울해지고, 비참해지고 그래서 여기에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하고자 한번 글을 써봤습니다.
사람들에게 피해주긴 싫으니, 일단 열심히 일은 해야겠지만, 석사출신 연구원들과 일을 하는 것이 과연 저의 연구자로써의 성장에 긍정적인가?
하는 생각이 항상 듭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그냥 아예 취업이나 할까 라는 생각으로 지원서를 작성하고, 면접을 보는 일상을 보내기도 하고,
또, 그래도 연구자로써 회사 이력은 남기지 말자..라는 생각으로 국내 포닥에 지원하기도 하고,,,, 갈팡질팡 중입니다....
이직을 준비할까요? 아니면 포닥 결과 나올때까지 계속 지원을 해볼까요?
제 삶의 방향성에 대해 조언 좀 해주시거나
혹은, 제가 잘못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 더 모질게, 따끔하게 충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조급한 아리스토텔레스*
2022.04.14
Up to you
IF : 5
2022.04.14
안녕하세요, 3년차 박사 회사원입니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자기 처한 상황에 대해 욕을 합니다 ㅋㅋㅋㅋ 막상 중소기업 경험 없으면서 중소기업같다 욕하는 사람이 태반이 넘을걸요. 그건 신경 쓸 부분은 쓰고 아닌 부분은 그냥 흘리세요.
그와중에도 박사급 인력을 일부 넣었다는 건 그사람들에게 시킬 일도 있다는 이야기일겁니다. 그리고 학석사 출신이라도 회사 연구에 specific하게 능력계발을 잘 했다면 갓 들어온 박사보단 훨씬 일 잘할 것 같은데요. 다만 박사가 많은 부서(가 있다면)에 비해 거기가 한직일 수는 있습니다. 퇴근도 제때 하신다 하니...(눈물) 술 그만 드시고 부서 내 분위기나 사내에서 그 부서의 위치 등등을 잘 판단해보셔서, 부서나 아예 회사 탈출도 염두에 두고 각도를 잘 재 보세요.
제 회사가 그런 분위기인진 모르겠지만, 여기는 석사출신 박사출신 학사출신 따지기 시작하는 순간 앞에선 오오 박사님해도 뒤에선 저사람 왜저래...하는 분위기가 있습니다. 저희는 능력제라(네 그 그룹 맞습니다...) 박사도 일 못하면 깔아야됩니다. 박사님도 같이 일하는 분들의 능력이나 성격을 모르겠으나 최종학력에 대한 약간의 편견 내지 부심이 있으신지도 모르겠습니다. 김박사넷에서 얘기하는 연구자의 역량이랑 회사 연구소 연구자의 역량은 충분히 다를 수도 있습니다. 그 지표가 학력이랑 꼭 상관이 있지는 않습니다. 요구 역량도 학교에서보다 더 다원적이구요.
결론: 박사의 아이덴티티로 보통 말하는 박사가 할 일을 하고싶으신 성향이시면 앞으로 어찌되든 일단 미련 안남게 포닥 추천합니다.
2022.04.14
제가 감히 이런말을 하는게 맞을지 모르지만, 인터넷에 기대서 조금 냉정하게 판단할때 분야는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해당스펙이 생각보다 월등하게 뛰어난것은 아닐수도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특히 어떤연구재단것을 신청한건지 모르지만, 학국연구재단에서 진행하는건 상당히 힘듭니다.
저도 spk에서 학위를 받았지만, 주변에 NCS급을 쓴경우, 혹은 Sci Robot 정도를 비롯해 5편정도 쓴 경우 등 해당지원사업에서 모두 탈락했습니다. 그만큼 국내에서 좋은실적을 갖고 졸업하는 학생들이 많은것도 사실이죠..
한예로 spk내에서 유명한 연구실에서 해외포닥 준비하는 사람들은 Sci Robot이나 TRO정도는 내고 졸업하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분야가 조금 다르실수있긴하지만 대충 어떤정도인지 감은 오실것같습니다.
연구소, 기업 모두 좋은곳이니 현명한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2.04.14
본인이 교수가 될만한 스펙인지 객관적으로 한번 돌아보시는건 지도교수랑 한번 말 잘해보는것도 좋아보입니다. 학교무관 교수라는 직업을 얻고자 하시는건지, 아니면 연구중점학교 임용을 바라보는건지 등도 사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되기도 하고요.
열정만으로 교수를 할수잇는것도 아니고, 또 반대로 실력만있다고 교수라는 자리를 얻는 것도 아닌것은 잘 아실겁니다. 물론 어나더래벨의 실력이면 시기의 차이는 잇을뿐 학교로 갈수잇는길은 열려있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2022.04.14
어떻게든 미국으로 포닥 나가서 논문 2-3편이라도 쓰고 회사로 오든가하셈ㅋㅋ 지금아니면 못나감 인생에서 다시는
2022.04.14
해외 포닥 나갔다 와서 회사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1. 네임밸류 있는 기관으로 해외 포닥 나갈 경우 나이가 많은 편이 아니라면 포닥 나간 동안의 기회비용 (사기업 연봉 - 포닥)이 있는거지 교수 못되도 리스크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그리고, 매칭펀드 같은 오퍼 찾지 말고 풀펀드 해주는데 찾으세요. 국내포닥은 리스크 매우x매우 큽니다.
2. 2월 졸업자면 거진 한달은 단체교육 받고 이제 팀 적응하기 시작하는 수준 아닌가요? 본격적으로 일 시작 안하셨을 것 같은데요. 어느순간 적응 좀 한거 같으면 새로 박사오면 시켜야지 하고 박아둔 골때리는 일들 풀기 시작할겁니다. 그 때 역량 보여주냐 못 보여주느냐에 따라서 회사 내에서의 미래가 달라질겁니다. One of them이 되거나 올라가거나. 기회를 안주면... 그런팀에서 박사 왜 뽑았는진 모르겠으나 팀 옮겨달라고 하던가 회사 옮겨야죠. 참고로 박사 비율 25%면 회사 연구소에선 낮은편 아닙니다. 석사 역량하고 오버스펙 얘기는 회사 좀 더 다녀보고 생각하시는게...
대댓글 1개
IF : 5
2022.04.15
공감합니다. 역량과 오버스펙이라 저도 위에 좀 순하게 쓰긴 하지만 회사생활에 박사타이틀부심은 정말 최악인듯...
진지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04.15
회사 자체가 박사를 잘 받지 않는 곳이고 잘 활용하지 못 하는 곳이라면 그런 감정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요. 일 시작한지 아직 얼마되지 않았는데, 회사에서의 본인가치 및 회사수준 판단을 좀 미뤄두는게 좋지 않을까요?
전 미박 후 미국탑 화공/재료 회사에서 일하는 중인데, 정확히 학석박 비율은 모르다만 절대 절반 안됩니다. 여기 다수 박사학위자가 UMN, UMich, UCSB, PSU, UPenn이고 Stanford, MIT도 섞여 있는데, 박사부심 가지고 자신을 학석사와 구별하는 사람 못 본 것 같아요..
2022.04.1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고자 노력하는자는 이루는 법
2022.04.17
먼저
(인력 문제) 좋은 대학, 대학원 나와 박사들 우글거리는 곳에 살다 회사에 가보면 세상에 박사가 왜 이리 없나 싶을 겁니다. 세상은 그런 곳입니다. 소위 우리나라 5위권 내 드는 대기업이 아니면 회사 내 연구인력은 석사나 학사인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전산"이란 책을 한번 기회 있으면 찾아보세요. 느끼시는 부분이 많을 겁니다.
(펀딩, 프로포잘문제) 10번 해서 1번 되는 것이 프로포잘입니다. 관련 분야 산학연 커뮤니티를 만들고 교류를 많이 해 놔야 연구 사업도 잘됩니다. 미국도 마찬가지지만, 프로포잘만 좋아서는 쉽지 않습니다. 자신의 해당 분야의 커뮤니티가 정부나 국가사업에 기여를 해야 합니다. 국가 사업 PD들과도 교류를 해야 합니다.
박사란 것은 이제 누가 나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리드하는 리더란 것입니다. 작은 회사든 큰 회사든 박사 타이틀을 가지고 회사에 들어왔다는 것은 최소 연구소장 정도는 바라보면서 리더쉽을 발휘해야 합니다. 아랫 사람이 석사든 학사든 이제 박사로서 가르칠 수 있는 능력도 키우셔야 합니다. 이제 당신은 누군가에 의해 도움을 받는 사람이 아니라 자기 조직을 지키고 가르치고 발전시키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어느 회사든 박사가 필요 없는 곳은 없습니다. 필요한 곳이 되게 만드는 것입니다. 박사 필요한 곳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이 필요한 사람이란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보통의 지도 교수님들은 박사 졸업자를 위해 하시는 말씀은 이제 당신이 혼자 날아야 할 때란 것을 이야기 하지요.
건투를 빕니다.
2022.04.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회사 연구소는 '연구'보다는 '개발'에 더 무게를 둡니다. 그래서 박사보다는 석사가 많죠.
명석한 아인슈타인*
2022.04.20
교수가 목표면. 논문 쓸수 있는 연구소로 가세요. 회사 연구서던 국영연구소던. 그리고 왜 교수가 되고 싶은지 모르겠으나 연구 중심대학이 아니여도 연구는 할수 있습니다. 본인만 능력되면 연구비도 충분히 받을 수 있구요. 문제는 괜찮은 대학원생을 받기 힘들다는 것 정도인데. 혼 자서도 연구 할수 있는 스타일이면 상관 없습니다. 중요한건 왜 교수가 되고 싶은지 정말 내가 생각하는 교수의 삶과 실제 교수가 됬을 때의 삶이 비슷할지 판단 하는 겁니다.
2022.04.14
2022.04.14
2022.04.14
대댓글 1개
2022.04.14
2022.04.14
2022.04.14
대댓글 1개
2022.04.15
2022.04.15
2022.04.15
2022.04.17
2022.04.18
202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