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부는 컴공이었고, 대학원은 AI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학부시절 때부터 여러 인턴십도 다니고, 개발 동아리에서 다양한 학과 친구들과 교류하면서 '컴공-AI 루트가 정말 메리트가 없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AI의 코어를 연구할만큼의 인재가 아니기도 하고, AI 그 자체보다 세상의 다른 문제를 AI로 해결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데 학부 때부터 컴퓨터, AI만 접해와서 타 분야의 도메인 지식이 없습니다 그냥 저는 gpt로 대체될 수 있는 인간입니다 AI를 전공하시는 모든 분들이 코어를 연구하진 않으실텐데, 그럼 다른 도메인은 어떻게 메꾸시나요? 차라리 다른 학과에 입학하고 AI를 곁가지로 배우는 것이 나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8.26
AI + 다른 도메인 연구한다는게 무슨말인가요? 좋은 AI 랩에서 AI 연구하는 사람 대부분은 AI 그 자체를 연구합니다.
대댓글 2개
2025.08.26
의료영상처리로 예를 든다면 컴공을 전공한 저보다는 의사가 AI를 배워서 연구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 같습니다 금융AI로 예를 들면 경제학부 학생이 AI를 배워서 연구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 같고 만약에 인공지능 그 자체를 연구한다해도 수학과, 물리학과 전공생들이 더 유리할 것 같고...그런 생각이 듭니다
2025.08.26
AI + X 는 원래 처음 하다보면 아는게 하나도 없으니 막막해요. 그래서 협업이 필수기도 하고요. 그래도 AI연구자들이 AI에 대한 insight가 있으면 충분히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사람들도 많고요.
그리고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기초지식 (특히 학부 레벨은 별거 아니에요) 보다는 문제해결 능력이 훨씬 중요해요. 너무 자괴감 안 느끼시길 바랍니다.
2025.08.26
사실 당장 연구에는 컴공지식이 크게 필요 없는건 사실입니다. 오히려 수학적 지식이 많이 필요하죠. 하지만 졸업 이후 취업을 하게 되면, 기업에서 연구만 하는것이 아니라 그 연구 결과를 프로덕트로 만들텐데 그 과정에서 컴공 지식이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8.27
저도 이 분 말씀 동의합니다
2025.08.26
전공한게 무익하지는 않겠죠 학부생 정도로 세상의 실전 문제 를 태클할 실력이 있는 것도 천재 가 아닌 이상에야... 학부생은 고급 전공지식일 뿐 문제해결력은 또 다르죠.
2025.08.26
이미 이정도 생각하는것만해도 왠만한 박사과정들보다 나은듯 ㅋㅋ 실제 필드에서 일해보시면 다양한 문제들을 만나고 그걸 해결하는 보람이 있을겁니다
2025.08.26
대댓글 2개
2025.08.26
2025.08.26
2025.08.26
대댓글 1개
2025.08.27
2025.08.26
2025.08.26
202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