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대 예비 석사생입니다. 입학을 앞두고 걱정이 많은데 혹시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연구 주제와 호기심은 많은편이고 이제부터 논문을 위한 자세를 준비를 하려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C.A로 수강하는 연구 방법론이나 통계 과목 역시 잘 수강할거지만 매번 새 논문을 작성하려고 하면 또 그 연구에 맞는 통계를 공부해야할 것 같습니다. 수업은 일반적인 것으로 논문은 분야가 있으니 그에 맞는 통계가 존재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효울적인, 그니까 석사를 잘 수료하기 위해선 통계를 원리 중심의 이해라기 보단 '기교'로써 용도, 목적, 특수조건 등으로 정리만 해두는 것이 맞을까요?
경영 분야에서도 혹시 기존 논문의 통계 사용을 개선한다는 목표로 새 논문을 작성하기도 하나요? 이러면 통계적 원리 역시 잘 알아둬야 할 것 같긴 합니다..
논문 심사시 통계 방법론에 대한 질문도 나올 것 같은데 이걸 준비하기 위해서라도 통계는 잘 공부해야할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8.25
꽤나 명확하면서도 어려운 질문들을 하고 계시네요. 뻔한 대답을 원하는 건 아니실테고. 해당 분야는 잘 모르겠지만, 경영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는 통계 및 분석 개선 등을 다룬 논문이 많아요.
랩을 들어가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고민이라고 생각이 들긴 하는데, 현재 시간이 나는 거라면 저는 공부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는 관점임은 분명해요. 다만 이를 얼마나 수용해주는 분야인 지가 관건인데.. 경영이면 딱딱할 것 같기도 하고요.
대댓글 1개
2025.08.25
답변 감사합니다. 결국 제가 택할 분야에 따라 통계의 깊이가 달리진다는 말씀이시군요.... 제가 미리 관련 분야 논문을 읽고 파악을 해놔야 갰네요.. 혹시 답변자님은 통계를 어떻게 대하고 계신가요?
2025.08.25
괜히 미리할필요없음. 거기 하드하게 하는 편이니 커리 잘 따라가세요
대댓글 1개
2025.08.26
네 감사합니다. 막상 수업 시작하면 잘 따라 갈 것 같긴 합니다만.. 2년간 통계에 대해 어떤 자세를 가지면 좋을지 아는게 좋을 것 같아서 이렇게 작성합니다 ㅎㅎ
2025.08.27
통계학과가 아닌이상 통계의 기본을 다 공부하기에는 너무 시간이 없고, 수업을 듣는거면 수업 듣는거에 충실, 연구실에서는 논문에 사용하는 통계를 쓸 때, 기교/기술 먼저, 그리고 논문 글 작성때 원리 공부를 하는게 시간 효율이 좋을겁니다. 그리고 원리 공부도 원 책을 찾는 경우는 ref 찾는 정도이거나 진짜 기초도 없을 때구요, 다른 사람들이 이 통계를 비슷한 논문에 어떻게 썼는지, 그 사람이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ref 타고타고 가면서 공부하는게 효율적이에요.
대댓글 1개
2025.08.28
정말 답변 감사합니다. 수업 충실과 연구 시에는 기교 그후에 원리. 그 원리도 원책을 보기보단 타인들음 어떻게 썼는지를 보면서 보기! 정말 감사합니다!
2025.08.25
대댓글 1개
2025.08.25
2025.08.25
대댓글 1개
2025.08.26
2025.08.27
대댓글 1개
2025.08.28